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고전예화 76. 퇴고( 推敲 )의 古事

이정수 목사............... 조회 수 1699 추천 수 0 2009.09.18 22:07:26
.........
명문장이란 < 자기 심중에 떠오른 바로 그것! >을 그대로 잘 드러낸 문장입니다. 천하의 명문장치고 일필휘지로 단번에 씌여진 것은 없습니다. 있다면 그것은 우연입니다. 따라서 일필의 우연을 바랄 것이 아니라 이필, 삼필, 아니면 수백필을 하여서라도 < 자기 심중에 드러난 바로 그것! >이 나타나도록 가필하고 개필하는 것이 문장법의 원칙입니다.

중국의 문장가 구양수는 초고를 문설주에 걸어 놓고 들면 날면 읽고 고치었고, 러시아 문장을 가장 아름답게 썼다는 뚜르게네프는 어떤 작품이든지 초고를 서랍에 넣어두고 석 달에 한 번씩 거내보고 고쳤고, 훼밍웨이는 < 노인과 바다 >를 수 백번 고쳐 썼다고 합니다. 아무튼 두 번 고친 것이 한 번 고친 것보다 세번 고친 것이 두 번 고친 것보다 낫습니다. 이렇게 < 자기 심중에 떠오른 바로 그것! >을 꼭 그대로 드러내기 위하여 문장을 고쳐가는 작업을 < 推敲 >라고 합니다. 이렇게 문장을 고쳐가는 것을 < 퇴고 >라고 부르는데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얽혀 있습니다.

鳥宿池邊樹 僧鼓月下門 ( 조숙지변수 승고월하문 )
밤새는 못가 나무 숲에 깃들고, 청량한 달빛 아래 문 두드리는 스님

위의 시는 당나라 시인 가도의 敍景詩인데 이 시의 바깥짝 < 僧鼓月下門 >은 원래 < 僧推月下門 >이었습니다. < 두드릴 고,鼓 >가 아니라 < 문을 밀칠 퇴, 推 >였습니다. 즉 < 달빛 아래 문을 두드리는 스님 >이 아니라 < 달빛 아래 문을 밀치고 있는 스님 >이었습니다. 시인 가도는 처음에 < 승퇴월하문 >이라 써놓고 아무리 읊어보아도 마음에 들지 않아서 문 밀칠 퇴 대신에 문 두드릴 고로 바꾸어 보았습니다. 그래서 < 승고월하문 >이라 읊어보니 괜찮기는한데 웬지 아까 것인 < 승퇴월하문 >이 더 좋은 듯 하였습니다.

시인 가도는 퇴로 할까? 고로 할까? 망설이던 중 어느날 노새를 타고 거리에 나갔습니다. 가도는 노새 위에 앉아서도 퇴로 할까? 고로 할까? 에만 열중 하다가 부윤의 행차가 오는 것을 보지 못하고 그만 부딪치고 말았습니다. 가도는 불경죄로 부윤 앞에 끌려 갔습니다. 그리고 자기가 시를 짓다가 퇴로 할가? 고로 할까? 하는 문제에 몰두하다가 그만 이런 불경죄를 저지르게 되었노라고 사죄 하였습니다.

부윤이 가도의 사정 이야기를 다 듣더니 파안대소하고 잠시 생각한 후에 “ 이보시게, 그건 문 밀칠 퇴보다 문 두드릴 고가 더 나은 것 같소이다 ”라고 하였습니다. 이 부윤은 다름 아닌 당대의 문장가로 이름 높은 韓退之(한퇴지)였습니다. 이 사건으로 한퇴지와 가도는 그 자리에서부터 문우가 되었고, 가도가 승퇴월하문을 승고월하문으로 고친 것은 물론이요, 이후로 후인들이 문장을 고치는 것을 < 퇴고 >라고 일컫게 되었습니다. < 이태준, 문장강화, 창작과 비평사, 189-190 쪽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6720 고전예화 74. 물 위의 남자, 구름 위의 여자 이정수 목사 2009-09-18 1711
26719 고전예화 75.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조건 이정수 목사 2009-09-18 2015
» 고전예화 76. 퇴고( 推敲 )의 古事 이정수 목사 2009-09-18 1699
26717 고전예화 77. 자아실현, 자아창조의 의미 ? 이정수 목사 2009-09-18 1885
26716 고전예화 78. 좋은 글쓰기를 위한 훼밍웨이의 충고 이정수 목사 2009-09-18 2431
26715 고전예화 79. 성인 아동의 여섯가지 모습 이정수 목사 2009-09-18 1674
26714 보다 단순하고 간소한 삶 이정수 목사 2009-09-18 1959
26713 물 한방울의 힘 고도원 2009-09-20 1633
26712 1%의 법칙 고도원 2009-09-20 2078
26711 사소한 행복의 순간들이 모여서 고도원 2009-09-20 1384
26710 고향의 감나무 고도원 2009-09-20 1480
26709 남자는 고무줄 여자는 파도 고도원 2009-09-20 1716
26708 무정란(無精卵) 고도원 2009-09-20 1321
26707 고향에 가고 싶다 고도원 2009-09-21 1681
26706 꼬마 철학자 고도원 2009-09-21 1412
26705 태풍이 지나간 뒤 고도원 2009-09-21 1349
26704 아침 공기 고도원 2009-09-21 1108
26703 하루에 한번 땀을 흘려라 고도원 2009-09-21 1245
26702 비타민을 꼭 드세요 고도원 2009-09-21 1315
26701 바로 지금 이순간 고도원 2009-09-21 1601
26700 완벽한 기회는 없다 고도원 2009-09-21 1387
26699 자부심 고도원 2009-09-21 1456
26698 나는 달린다 고도원 2009-09-21 1419
26697 달리는 축제(祝祭) 고도원 2009-09-21 1199
26696 귀가 들리지 않았기 때문에 [2] 고도원 2009-09-21 1531
26695 하루 열두번의 포옹 고도원 2009-09-21 1608
26694 주님을 위하여 헌신하는 그리스도인 김학규 2009-09-23 3243
26693 시간 낭비가 아니다 고도원 2009-09-24 1414
26692 우산 고도원 2009-09-24 1181
26691 3년 후 , 5년 후 고도원 2009-09-24 1284
26690 성공한 사람들의 실패담 고도원 2009-09-24 1365
26689 정신 건강 고도원 2009-09-24 1273
26688 아빠 냄새 고도원 2009-09-24 1381
26687 기쁨꽃 고도원 2009-09-24 1356
26686 나무 고도원 2009-09-24 1009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