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고전예화 76. 퇴고( 推敲 )의 古事

이정수 목사............... 조회 수 1699 추천 수 0 2009.09.18 22:07:26
.........
명문장이란 < 자기 심중에 떠오른 바로 그것! >을 그대로 잘 드러낸 문장입니다. 천하의 명문장치고 일필휘지로 단번에 씌여진 것은 없습니다. 있다면 그것은 우연입니다. 따라서 일필의 우연을 바랄 것이 아니라 이필, 삼필, 아니면 수백필을 하여서라도 < 자기 심중에 드러난 바로 그것! >이 나타나도록 가필하고 개필하는 것이 문장법의 원칙입니다.

중국의 문장가 구양수는 초고를 문설주에 걸어 놓고 들면 날면 읽고 고치었고, 러시아 문장을 가장 아름답게 썼다는 뚜르게네프는 어떤 작품이든지 초고를 서랍에 넣어두고 석 달에 한 번씩 거내보고 고쳤고, 훼밍웨이는 < 노인과 바다 >를 수 백번 고쳐 썼다고 합니다. 아무튼 두 번 고친 것이 한 번 고친 것보다 세번 고친 것이 두 번 고친 것보다 낫습니다. 이렇게 < 자기 심중에 떠오른 바로 그것! >을 꼭 그대로 드러내기 위하여 문장을 고쳐가는 작업을 < 推敲 >라고 합니다. 이렇게 문장을 고쳐가는 것을 < 퇴고 >라고 부르는데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얽혀 있습니다.

鳥宿池邊樹 僧鼓月下門 ( 조숙지변수 승고월하문 )
밤새는 못가 나무 숲에 깃들고, 청량한 달빛 아래 문 두드리는 스님

위의 시는 당나라 시인 가도의 敍景詩인데 이 시의 바깥짝 < 僧鼓月下門 >은 원래 < 僧推月下門 >이었습니다. < 두드릴 고,鼓 >가 아니라 < 문을 밀칠 퇴, 推 >였습니다. 즉 < 달빛 아래 문을 두드리는 스님 >이 아니라 < 달빛 아래 문을 밀치고 있는 스님 >이었습니다. 시인 가도는 처음에 < 승퇴월하문 >이라 써놓고 아무리 읊어보아도 마음에 들지 않아서 문 밀칠 퇴 대신에 문 두드릴 고로 바꾸어 보았습니다. 그래서 < 승고월하문 >이라 읊어보니 괜찮기는한데 웬지 아까 것인 < 승퇴월하문 >이 더 좋은 듯 하였습니다.

시인 가도는 퇴로 할까? 고로 할까? 망설이던 중 어느날 노새를 타고 거리에 나갔습니다. 가도는 노새 위에 앉아서도 퇴로 할까? 고로 할까? 에만 열중 하다가 부윤의 행차가 오는 것을 보지 못하고 그만 부딪치고 말았습니다. 가도는 불경죄로 부윤 앞에 끌려 갔습니다. 그리고 자기가 시를 짓다가 퇴로 할가? 고로 할까? 하는 문제에 몰두하다가 그만 이런 불경죄를 저지르게 되었노라고 사죄 하였습니다.

부윤이 가도의 사정 이야기를 다 듣더니 파안대소하고 잠시 생각한 후에 “ 이보시게, 그건 문 밀칠 퇴보다 문 두드릴 고가 더 나은 것 같소이다 ”라고 하였습니다. 이 부윤은 다름 아닌 당대의 문장가로 이름 높은 韓退之(한퇴지)였습니다. 이 사건으로 한퇴지와 가도는 그 자리에서부터 문우가 되었고, 가도가 승퇴월하문을 승고월하문으로 고친 것은 물론이요, 이후로 후인들이 문장을 고치는 것을 < 퇴고 >라고 일컫게 되었습니다. < 이태준, 문장강화, 창작과 비평사, 189-190 쪽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369 곡해 이주연 2009-09-26 1037
13368 꾸짖을 대와 칭찬할 때 이주연 2009-09-26 1343
13367 홀로 가벼이 길을 가고자 하면 이주연 2009-09-26 1274
13366 순리를 따라 흐르는 강 이주연 2009-09-26 1386
13365 뱀에게 물렸다면 이주연 2009-09-26 1148
13364 수도자의 삶 이주연 2009-09-26 1445
13363 영적 수행은 바로 지금 이주연 2009-09-26 1286
13362 좋은 나무가 좋은 열매를 이주연 2009-09-26 1694
13361 지갑없는 하루 이주연 2009-09-26 1289
13360 사랑 유지의 최선 이주연 2009-09-26 1408
13359 누가 붙잡고 있다고 이주연 2009-09-26 1170
13358 홀로 가벼이 이주연 2009-09-26 1167
13357 깊은 울음은 이주연 2009-09-26 1333
13356 사람들 속에서도 자기의 세계를 이주연 2009-09-26 1178
13355 선택과 불리움을 받는길 이주연 2009-09-26 1264
13354 믿음을 이주연 2009-09-26 1183
13353 평화를 이루십시오 이주연 2009-09-26 1398
13352 하나님의 선택을 받는 길 이주연 2009-09-26 1730
13351 세가지 즐거움 이주연 2009-09-26 1436
13350 용서 [1] 이주연 2009-09-26 1523
13349 사랑은 주고 받는 것 이주연 2009-09-26 1628
13348 성공을 위한 자기 관리 지침 이주연 2009-09-26 1852
13347 의무라도 기꺼이 행하라 이주연 2009-09-26 1675
13346 행복이 환호하는 인생의 길 이주연 2009-09-26 1518
13345 사라진 거룩한 공간 이주연 2009-09-26 1588
13344 창조주와의 사랑 이주연 2009-09-26 2057
13343 집중의 힘 이주연 2009-09-26 1619
13342 천당은 시작인데 이주연 2009-09-26 1774
13341 꽉 찬 인생 고도원 2009-09-24 1308
13340 가을산 고도원 2009-09-24 1528
13339 성공의 동반자 고도원 2009-09-24 1411
13338 사하라 사막 고도원 2009-09-24 1389
13337 자주 들락거려 다오 고도원 2009-09-24 1228
13336 너도 그렇다 고도원 2009-09-24 1218
13335 나무 고도원 2009-09-24 1009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