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사도행전대로 본다면 한국교회는 부흥한 적이 없다

논문신학성경 성기문............... 조회 수 2461 추천 수 0 2010.01.31 00:32:54
.........
출처 :  
진정 이것이 부흥이란 말이더냐?


사도행전대로 본다면 한국교회는 부흥한 적이 없다

 
사도행전은 성령행전(Acts of Holy Spirit)이라고도 부릅니다. 20세기 초에 시작된 오순절운동(pentecostal movement)을 거론치 않더라도, 한국교회의 수적부흥주의론의 핵심구절들 중의 하나를 오늘 우리가 살펴보려는 본문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우선 사도행전 2:37을 먼저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람들이 이 말을 듣고 마음이 찔려서 '형제 여러분, 우리가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하고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에게 말하였습니다. 그러자 베드로는 회개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용서를 받으면, 성령의 선물을 받을 것입니다(표준새번역; 일부 수정)."

그래서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하루만에 신도수가 약 3천 명이 늘었고 계속해서 신자의 수가 늘었다고 합니다. 사실 하루에 약 3천 명의 사람들이 회개하고 신자가 되었다면 역사상 몇 차례 있을까 말까 할 기적같은 이야기 아닐까요?

오순절주의자들은 사도행전 맨 앞부분의 기도하고 성령받고 하는 장면에 초점을 맞출 것이고, 한국교회의 수적부흥주의의 신봉자들은 이 장면이 바로 한국교회가 본받아야 할 역사적 현장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그러나 제가 볼 때 그러한 이해가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이야기가 아닐까 합니다.

이러한 기적적인 현장은 너무 싱겁게 끝납니다(행 2:42-47). "그들은 사도들의 가르침에 몰두하여 서로 교제하고 식사를 하며 기도하는 일에 힘썼다... 사도들을 통하여 기이한 일과 표적이 많이 일어났다. 그리하여 모든 사람에게 두려운 마음이 생겼다. 믿는 사람들은 모두 함께 지내면서 모든 것을 공동으로 소유하고 재산과 소유물을 팔아서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대로 나누어 가졌다. 그리고 날마다 한마음으로 성전에 열심히 모이고 집에서 식사를 같이 하면서 순수한 마음으로 기쁘게 음식을 먹고 하나님을 찬양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모든 사람에게서 호감을 샀다. 주께서는 구원받는 사람을 날마다 더하여 주셨다"(표준새번역, 일부 수정).

너무 조용한 결과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사도행전의 저자의 관심사는 여기서 기이한 일과 표적의 내용이 아니었습니다. 아니 여기서 언급하고 있는 것을 기사과 표적으로 삼고 있는 줄도 모르겠습니다. 소위 기독교적 공동체에 대한 내용은 다음 기회에 더 세부적으로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어쨌듯 기적과 표적적인 일이 초대교회 공동체에 발생한 것만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그리스도의 신앙 속에서 열심히 모이고 음식을 나누고 재물을 나눔으로써 교제하고 하나님을 찬양했습니다. 이러한 놀라운 일(실상 별로 특이하고 기적같지 않은 일)은 한편으로는 이러한 사건들과 삶을 지켜보는 사람들에게 두려움으로, 그리고 호감(好感)으로 나타났습니다. 여기에는 오순절주의적, 혹은 은사주의적 소란함도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소위 수적성장제일주의적 모습들도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는 어떠합니까? 만약 우리나라 교회에 이러한 폭발적인 성령의 역사가 있다고 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한번 상상해 볼까요?

아마 베드로는 당장 교회와 사도들 앞에 다음과 같은 요구를 하였을 것입니다.

1. 걸어다니는 것도 지겹고 매일 이집 저집 돌아다니는 것도 괴롭다. 개인사택을 40평 이상 고급아파트로 바꾸고 3000cc 이상 (외제) 중대형차로 바꿔달라.

2. 예루살렘 성전이나 그 앞에서 예배 보는 것도 지겹다. 성전 건너편 감람산 부지를 부흥회나 작정헌금, 혹은 십일조를 거둬서 새성전을 짓도록 하겠다. 새성전은 세계 최고로 지어야 할 것이다.

3. 구제는 교회의 존재 목적이 아니니, 재산과 소유물은 모두 교회에 바쳐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쓰게 하라.

4. 이제 사도들이나 예수의 제자들 중에 수석사도, 수석제자 등을 두고 카리스마적인 지도력을 구사하겠노라.

5. 성전건축과 관련해서 임직식을 화려하게 거행하고 임직자들에게 후원금과 헌금을 약정하게 하겠노라.

6. 사도들은 하나님의 종이니, 비판하거나 반대하지 말고 그 모든 명령과 요구에 맹종하라.

아마 이런 요구들이 관철되었다면 조만간 사도들의 자제들로 구성된 황태자클럽이 성도들의 마음을 아프게 할 것이며, 사도들간에 각각 교회와 교단과 신학교를 꾸리고, 결과적으로는 자기가 운영하는 교회만 옳고 나머지는 가지도 말고 쳐다보지도 말고 생각하지도 말라고 하지 않았을까요? 결과적으로는 사도들이 자제들에게 담임목회자직을 세습시키려고 혈안이 될 수도 있었겠죠?

초대교회는 공동체의식과 나눔의 정신에 철저했던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헌금을 하나님께 바치지도 않았으며 헌금 때문에 교회 나가기가 괴롭거나 복 받으러 교회 나가지도, 그리고 목회자들의 저주의 말 때문에 두렵거나 괴로워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성령의 기적은 그와 같은 것이었습니다. 재산과 소유는 자발적으로 내어져서 재물이 필요한 사람에게 나누어졌습니다. 이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었습니다.

교회는 죄를 회개하고 구원을 받은 자들의 모임이었습니다. 사도들을 화나게 했던 것은 아나니아와 삽비라 사건이었습니다. 자신에게 속해 있던 재물이었는데도 자신들의 욕심 때문에 성령을 속인 것 때문에 문제가 되었습니다. 헌금의 자발성은 정직성과 곧바로 연관됩니다. 억지로 하는 것은 부정직과 연관된다는 말입니다. 스스로 우러나오는 감정은 속일 것도 없고 부끄러움이나 감추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비교의식이나 자랑하는 마음도 없으며 교만하지도 않습니다. 이것이 자신의 재산을 팔아 신앙공동체에 내놓은 바나바의 마음과 행동과 대조되는 것이었습니다.

사도들과 사람들 사이에 행해졌던 기적들과 치유는 기억되지만, 사도들과 신자들의 고통과 박해와 신앙공동체의 교제와 나눔은 잊혀지게 마련인 것 같습니다. 그저 묵묵히 삶으로서 그리스도의 신앙과 정신을 실천하는 것은 우리가 볼 때 기적과 표적도 아닐 수 있습니다.

멋있는 교회 건물이 올라오는 것도 아니고 수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위세당당한 교회도 아니고 카리스마적인 어떤 지도자가 부상하거나 인기를 끄는 것도 아닌, 단순한 성도들의 삶이었기 때문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한국교회의 부흥은 아니올시다 라고 말해야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3 논문신학성경 레위기 25장의 안식년법과 희년법 양용의 교수 2010-02-07 4124
1842 수필칼럼사설 일천번제에 대한 오해 빛소리 2010-02-05 2860
1841 주보회보신문 설 명절에 사용하는 전도 글 안도현 목사 2010-02-05 2593
1840 주보회보신문 감사의 4원리 (시편100편) 이한규 목사 2010-02-05 3107
1839 주보회보신문 십자가에 못 박혔다는 말의 의미 file J. I. 패커 2010-02-05 2741
1838 주보회보신문 천국의 암호 로버트 콜만 2010-02-05 2977
1837 주보회보신문 한국 꿀벌과 필리핀 꿀벌 이정수 목사 2010-02-05 2683
1836 주보회보신문 예배를 성공하는 방법 이한규 목사 2010-02-05 2802
1835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10] 값진 진주 어거스틴 2010-02-04 2988
1834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9] 계시에의 접근 어거스틴 2010-02-04 2784
1833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8] 플라톤파에 의한 득실 어거스틴 2010-02-04 3109
1832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7] 그리스도에 대한 착각 어거스틴 2010-02-04 2879
1831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6] 그리스도만이 구원에 이르는 길 어거스틴 2010-02-04 3360
1830 선교화제현장 [이만열 제언]이원론 극복과 작은교회 운동 실천이 한국교회 대안 이만열 교수 2010-02-03 2335
1829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5] 하나님과의 만남을 방해하는 것 어거스틴 2010-02-01 3048
1828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4] 악의 정체 어거스틴 2010-02-01 3659
1827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3] 피조물 속에 존재하는 참과 거짓 어거스틴 2010-02-01 3376
1826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2] 정화된 하나님의 개념 어거스틴 2010-02-01 3683
1825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1] 하나님을 찬양 어거스틴 2010-02-01 3011
1824 논문신학성경 생태여성신학과 지구화 문제 김애영 박사 2010-01-31 2615
1823 논문신학성경 삼위일체와 현대신학의 과제 황돈형 2010-01-31 2674
1822 논문신학성경 레위기 25장의 안식년법과 희년법 김병하 2010-01-31 4117
» 논문신학성경 사도행전대로 본다면 한국교회는 부흥한 적이 없다 성기문 2010-01-31 2461
1820 목회독서교육 문자주의적 해석에서 성경 구출하기 정병진 2010-01-31 2583
1819 논문신학성경 솔로몬이 실패한 원인은 무엇인가? 오세택 목사 2010-01-31 2825
1818 목회독서교육 청중의 문화적 시각을 고려한 설교 장영일 목사 2010-01-29 2338
1817 논문신학성경 조상 제사에 대한 선교적 대응 김경환 2010-01-29 2711
1816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요한 까시아노 조나단 에드워드 2010-01-29 3191
1815 논문신학성경 올바른 기독교장례문화 정착을 위한 제언 최종구 2010-01-29 3411
1814 영성묵상훈련 영성개발과 복음적 설교 김기홍 목사 2010-01-29 2328
1813 논문신학성경 목회자의 자아의식에 관한 연구 file 이윤우 목사 2010-01-28 3456
1812 논문신학성경 구약을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file 이희학 박사 2010-01-28 3109
1811 목회독서교육 새로운 설교의 가능성 -영화로 설교한다 file 하정완 목사 2010-01-28 3051
1810 논문신학성경 설교의 다양한 패턴 정인교 2010-01-27 2832
1809 인기감동기타 교회생활지침 운영자 2010-01-27 2543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