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명설교 모음

택스트 설교

설교자'가 확실한 설교만 올릴 수 있습니다.

순종

창세기 이정원 목사............... 조회 수 2290 추천 수 0 2010.01.31 09:13:23
.........
성경본문 : 창22:3-8 
설교자 : 이정원 목사 
참고 : 참사랑교회 http://charmjoun.net 
2004·03·06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시험은 각자의 분량에 맞는 시험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감당할 수 없는 시험을 주시는 법이 없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무작정 시험을 주시고, 무조건 그 시험을 이겨내라고 하시지 않습니다. 우리에게 맞는 시험, 우리가 감당할 만한 시험을 주시는 것입니다. 초등학생에게 대학 입학시험을 치게 하는 법은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아브라함이 당한 시험은 사람이 당할 수 있는 시험 중에서 가장 어려운 시험이었습니다. 욥도 이러한 시험을 당했었습니다. 우리도 그런 시험을 당하게 되지 않을까 지레 겁낼 필요는 없습니다. 그런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아브라함의 시험을 통해서 우리는 그러한 시험이라도 이겨낼 수 있는 믿음을 배워야 할 것입니다. 오늘 당신은 어떤 시험을 당하고 있습니까? 그 시험은 당신이 능히 이길 수 있는 시험이라는 것을 잊지 마십시오. 그 시험을 이기지 못한다면 우리는 실패한 자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그 시험을 이기면 하나님께서 기뻐하시고 더 큰 은혜와 복을 주실 것입니다.

    믿음은 순종하는 것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그의 사랑하는 아들, 독자 이삭을 번제로 바치라고 하셨습니다. 아브라함은 하나님께서 왜 그런 요구를 하시는지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세상에 아들을 죽이는 아버지가 어디 있겠습니까? 미치지 않고서야 어떻게 그런 일을 할 수가 있겠습니까? 아들을 번제로 바치라는 명령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명령이었습니다.
  이해할 수 없는 이 명령에 대해 아브라함은 얼마든지 이유와 반론을 제기할 수가 있었습니다. 무엇보다도 그 명령은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말씀과 모순되는 것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 아들을 통해서 큰 민족을 이루시겠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아직 결혼도 하지 않은 그 아들을 번제로 바치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러면 하나님의 약속은 어떻게 이루어지겠습니까? 그러므로 이삭을 번제로 바치라는 명령은 도저히 이해할 수도 없고 순종하기 어려운 명령이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하나님은 신실하시고 선하시며 자비로우신 분이십니다. 그런데 그 하나님께서 이런 명령을 내리신다는 것은 너무나도 맞지 않는 일이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이렇게 착하고 사랑스런 아들을 번제로 드리기 위해서 죽인다는 것은 악랄한 살인이 될 것입니다. 이런 일이 과연 공의로우신 하나님께서 명령하신 일일 수가 있겠습니까? 세상 사람들은 뭐라고 하겠습니까? 하나님을 믿는다고 미쳐서 돌아다니더니 결국 완전히 돌아버렸다고 할 것입니다. 그러면 하나님의 영광이 땅에 떨어지고 아무도 그런 하나님을 믿으려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아들 이삭을 번제로 바치라고 하신 명령은 분명히 잘못된 명령이 아니겠습니까? 아브라함은 이런 식으로 얼마든지 이유를 대고 따질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아브라함은 이 시험을 앞에 두고 하나님께 질문하거나 하나님과 논쟁하지 않았습니다. 아브라함도 하나님의 이 명령을 이해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기로 했습니다. 믿음은 내 머리로 이해할 수 없다고 해서 논쟁하는 것이 아닙니다. 믿음은 오직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것입니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뜻에 순종할 때 조금도 억지로 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마음을 다하여 순종하기로 했던 것입니다. 이것이 믿음입니다.
  시험을 당할 때 우리도 이런 자세를 갖게 되기를 바랍니다. 하나님은 언제나 신실하십니다. 하나님은 변함없이 선하시고 의로우십니다. 우리가 하나님에 대해서 다 알지 못하거나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에 대해서 다 이해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이것은 변함없는 진리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명령하시는 일에 대해서 우리가 이해할 수 없다 하더라도 우리는 마음을 다하여 순종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올바른 믿음이요,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믿음입니다.

    믿음은 핑계하지 않는 것
  
믿음은 이해할 수 없는 경우에도 논쟁하거나 질문을 퍼붓지 않고 마음을 다하여 순종하는 것입니다. 믿음은 또 핑계하지 않습니다. 아브라함이 아들 이삭을 번제로 바치라는 명령을 받았을 때 핑계를 대려고 했다면 얼마든지 가능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아브라함은 핑계거리를 사전에 철저히 차단하고 신속하게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했습니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기 위해서 아침 일찍 서둘렀습니다. “아브라함이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나귀에 안장을 지우고 두 사환과 그 아들 이삭을 데리고 번제에 쓸 나무를 쪼개어 가지고 떠나 하나님의 자기에게 지시하시는 곳으로 가더니”(3절) 아브라함은 기다렸다는 듯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 하나님의 명령을 준행하기 시작했습니다. 아브라함이 왜 이렇게 일찍부터 서둘렀을까요? 그것은 자신의 연약함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며, 그렇게 하지 않으면 순종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앞에서 이스마엘과 하갈을 내어보낼 때도 아브라함은 아침 일찍 서둘렀습니다. “아브라함이 아침에 일찌기 일어나 떡과 물 한 가죽부대를 취하여 하갈의 어깨에 매워주고 그 자식을 이끌고 가게 하매 하갈이 나가서 브엘세바 들에서 방황하더니”(21:14) 아브라함은 시간을 끌수록 자신의 마음이 변하기 쉽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순종하기 어려운 명령을 받을 때마다 이렇게 아침 일찍 서둘렀던 것입니다. 천천히 시간을 보내며 순종하기를 미루다보면 이런 저런 핑계 거리가 생길 수 있을 것입니다. 주위의 사람들이 듣고 와서 강력하게 만류할 것입니다. 그러면 나는 순종하려고 했는데 남들이 말리는 바람에 할 수 없었다고 핑계를 댈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아브라함은 이 모든 가능성을 처음부터 철저히 차단했습니다.
  무엇보다 아브라함은 독자 이삭을 번제로 바치는 문제를 사라와 의논해야 하지 않았을까요? 그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지 않겠습니까? 이삭은 아브라함의 아들일 뿐만 아니라 사라가 낳은 아들이기도 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사라와 의논한다면 사라가 뭐라고 하겠습니까? 죽어도 안된다고 싸우면서 말렸을 것입니다. 차라리 나를 죽이라고 결사적으로 매달렸을 것입니다. 그러면 일이 어떻게 되겠습니까? 이것도 아브라함이 이 명령을 순종할 수 없는 결정적인 핑계가 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아브라함은 일이 그렇게 될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사라와도 의논하지 않았습니다. 처음부터 핑계거리를 완전히 차단했던 것입니다.
  아브라함은 처음에 집에서 출발할 때 사환 두 사람을 데리고 떠났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지시하신 곳 모리아산이 보이자 두 사환을 떼어놓고 갔습니다. “제 삼일에 아브라함이 눈을 들어 그곳을 멀리 바라본지라 이에 아브라함이 사환에게 이르되 너희는 나귀와 함께 여기서 기다리라 내가 아이와 함께 저기 가서 경배하고 너희에게로 돌아오리라 하고”(4-5절) 아브라함이 왜 사환들을 떼어놓았을까요? 만일 번제할 장소까지 사환들을 데리고 간다면 아브라함이 이삭을 번제로 드리기 위해서 죽이려고 할 때 이 사람들이 기를 쓰고 말릴 것이 분명했습니다. 그렇게 되면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아브라함이 철저하게 순종하고자 하는 마음이 없었더라면 이 사환들 때문에 순종하지 못했다고 변명할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아브라함은 이것까지도 철저하게 차단했습니다.

    핑계하지 말라.
  
아브라함은 이삭을 번제로 바치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고자 할 때 이렇게 방해가 될 만한 것들을 철저하게 차단했습니다. 이것들을 핑계 삼아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지 않으려는 생각이 추호도 없었던 것입니다. 그러므로 아브라함의 순종은 철저하고 적극적인 순종이었습니다.
  아브라함의 이 자세는 오늘 우리의 자세와 얼마나 다릅니까? 우리는 얼마나 핑계를 잘 댑니까? 오늘 아침 예배시간에 늦으신 분들은 왜 늦으셨습니까? 나름대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설교시간에 조는 성도는 무슨 이유 때문입니까? 다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주일을 지키지 못하는 것이나 십일조를 드리지 못하는 것도 다 나름대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때로 믿음을 지키지 못하고 부끄러운 일을 할 때도 핑계거리는 있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정말입니까? 그렇게 불가피한 이유 때문이었습니까? 진정으로 하나님을 사랑하며 믿음으로 예배하기를 원하는 성도는 이 모든 일을 미리 빈틈없이 준비하고 예배에 차질이 없게 할 것입니다. 다른 모든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께 순종하는 일에 있어서 우리는 얼마나 핑계를 대고 빠져나가려 합니까?
  아브라함은 핑계거리, 방해가 될만한 것들을 철저하게 차단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이 명령에 온전히 순종하고자 했습니다. 이것이 믿음입니다. 오늘 우리도 이런 믿음을 가지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성도들이 되기를 바랍니다.

    독생자를 주신 하나님의 사랑
  
아브라함은 이삭을 번제로 바치기 위해서 사흘 길을 가야 했습니다. 이것이 아브라함에게는 또 하나의 큰 시험이요 고통이었습니다. 그 사흘 동안 이삭과 함께 길을 가면서 아브라함은 그렇게 사랑스런 아들을 죽여서 번제로 바쳐야 한다는 사실을 생각하고 또 생각해야만 했습니다. 아브라함의 마음이 어떠했겠습니까?
  그리고 사환들을 머물러 두고 아브라함과 이삭 단둘이서 산으로 올라갈 때는 이삭이 직접 번제에 쓸 나무를 지고 갔습니다. “아브라함이 이에 번제 나무를 취하여 그 아들 이삭에게 지우고 자기는 불과 칼을 손에 들고 두 사람이 동행하더니”(6절) 이삭은 자기를 태워 하나님께 번제로 드릴 바로 그 나무를 등에 지고 산으로 올라가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 얼마나 기가 막힌 장면입니까?
  놀라운 것은 이 모든 것이 우리를 위해 독생자를 주신 하나님 아버지께서 하신 일을 예표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브라함은 아들 이삭을 번제로 드릴 것에 대해서 사흘 동안 묵상하면서 길을 가야 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내어주실 일을 수천 년 동안 묵상하셔야 했습니다. 이삭은 자기를 태울 나무를 등에 지고 산을 올라갔습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자신이 못박혀 죽으실 십자가를 지시고 골고다 언덕으로 올라가셨습니다. 이삭은 영문도 모른 채 나무를 지고 올라갔지만, 주님께서는 이 모든 것을 처음부터 아시고 하나님 아버지의 계획에 온전히 순종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서 오래 전부터 계획하셨던 대로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기꺼이 우리에게 주셨습니다. 그리고 성자 예수께서는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서 기꺼이 십자가에 달려 죽으셨습니다. 오늘 이 본문을 통해서 우리는 독생자를 주신 하나님의 크신 사랑을 조금이나마 더 깨달을 수 있습니다. 우리를 위해서 십자가에 달리신 주님의 은혜를 조금이나마 더 실감나게 깨달을 수 있습니다. 독생자까지 아끼지 않으시고 우리에게 주신 하나님 아버지의 무한하신 사랑과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서 기꺼이 십자가에 달리신 주님의 크신 은혜를 항상 기억하고 감격하며 감사하는 성도들이 되시기 바랍니다.

    최후의 일격
  
아브라함은 사랑하는 독자 이삭을 번제로 바치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온전히 순종하고 있습니다. 그는 모든 핑계거리와 방해물을 철저히 차단시켰습니다. 그리고 이제 아브라함은 독자 이삭과 단둘이서 모리아산으로 올라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삭이 볼 때 이상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버지는 제사를 드리러 간다고 하면서, 나무도 쪼개어서 가지고 가고 칼과 불도 가지고 가는데 결정적으로 제사에 쓸 양은 준비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래서 이삭은 아버지에게 물었습니다. “이삭이 그 아비 아브라함에게 말하여 가로되 내 아버지여 하니 그가 가로되 내 아들아 내가 여기 있노라 이삭이 가로되 불과 나무는 있거니와 번제할 어린 양은 어디 있나이까?”(7절)
  순간 무심코 던진 사랑스런 아들의 이 질문은 아브라함의 가슴에 비수처럼 꽂혔습니다. 사랑하는 아들 이삭의 이 질문은 시험을 당하고 있는 아브라함에게 가장 힘들고 결정적인 일격이었습니다. 보통 아버지들 같으면 이 순간에 어떻게 하겠습니까? 아마도 이렇게 외치면서 울부짖을 것입니다. “애야, 바로 그 점이 문제란다. 하나님께서는 바로 너를 잡아서 번제로 바치라고 하셨단다. 여기까지 오기는 왔다마는 차마 내 손으로 너를 죽일 수가 없겠구나. 그러니 어서 도망치거라. 차라리 내가 죽는 것이 낫겠구나!”
  그러나 아브라함은 흔들리지 않는 결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물론 이삭의 질문이 비수처럼 그의 가슴을 찔러 견딜 수가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하나님을 신뢰하고 있었습니다. 영문을 알 수 없었지만,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었지만, 아브라함은 이 시험에서 반드시 승리할 것을 믿고 있었습니다. 신실하신 하나님을 신뢰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브라함은 하나님께서 반드시 사랑하는 독자 이삭을 돌려주실 것을 확신했던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준비하실 것이다. 
  
이 확신을 가지고 아브라함은 아들에게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아브라함이 가로되 아들아 번제할 어린 양은 하나님이 자기를 위하여 친히 준비하시리라”(8절) 아브라함은 이렇게 기가 막히는 순간에도 하나님께 순종하기를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사랑하는 독자 이삭은 자기 생명보다 더 귀했습니다. 그러나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명령 앞에서 생명보다 귀한 아들이라도 포기했던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믿음입니다.
  아브라함은 독자를 바치면서까지 하나님의 명령에 온전히 순종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순종은 맹목적인 순종이 아니었습니다. 신실하신 하나님을 온전히 신뢰했기 때문에 순종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아브라함은 자기는 이해할 수 없었지만 하나님께는 반드시 대책이 있으리라고 확신했습니다. 이러한 그의 믿음은 자신을 불태울 나무를 지고 가던 이삭이 던진 질문에도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번제할 어린 양은 하나님이 자기를 위하여 친히 준비하시리라고 대답했던 것입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선하심과 신실하심을 신뢰하며 흔들리지 않는 것이 믿음입니다. 아브라함이 믿음으로 대답한 이 말은 결국 하나님께서 하실 일에 대한 예언이 되었습니다. 얼마나 놀랍습니까?

  이 말씀을 주석하는 사람들은 아브라함이 이렇게 아들을 바치면서 독생자를 주신 하나님의 사랑을 깊이 깨닫게 되었다고 말합니다. 아브라함은 그리스도께서 오시기 훨씬 이전의 사람인데 어떻게 이런 말이 가능할까요? 그러나 주님께서 하신 말씀을 생각해볼 때 우리는 이러한 해석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너희 조상 아브라함은 나의 때 볼 것을 즐거워하다가 보고 기뻐하였느니라”(요8:56) 오늘 우리도 어려운 상황에서 하나님을 신뢰하면서 순종함으로 독생자까지 아끼지 않으시고 내어주신 하나님 아버지의 크신 사랑을 더욱 깊이 깨닫게 되기를 바랍니다. 하나님을 위해 헌신하고 고난을 당하며 손해를 감수해본 성도일수록 하나님의 크신 사랑을 더 깊이 깨닫게 됩니다. 그러나 그런 일을 피하고 외면하는 성도는 하나님의 사랑을 깊이 깨달을 길이 없습니다. 오늘 당신은 어떻습니까?
  만일 당신에게 감당할 수 없는 하나님의 시험이 온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그 때 원망하거나 하나님을 거역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오히려 하나님께서 주신 절호의 기회로 생각하십시오. 그리고 하나님을 전적으로 신뢰하는 믿음을 가지고 이겨내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기뻐하시고 크게 축복하시는 성도가 되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경본문 설교자 날짜 조회 수
2871 에배소서 하나님의 새로운 사회, 교회 공동체 엡2:19-22  김필곤 목사  2010-02-06 2571
2870 창세기 분노의 노예에서 자유로운 길 창4:1-15  김필곤 목사  2010-02-06 2470
2869 마태복음 탐욕으로부터 해방되는 길 마6:19-34  김필곤 목사  2010-02-06 2230
2868 고린도후 인생 3대 낙심에서 해방되는 길 고후4:16-18  김필곤 목사  2010-02-06 2950
2867 요한복음 가장 귀중한 만남 요1:35-42  김필곤 목사  2010-02-06 3045
2866 요한복음 여자여 어찌하여 울며 누구를 찾느냐? 요20:11-18  김필곤 목사  2010-02-06 2513
2865 고린도전 십자가의 능력/ 고전1:18-25  김필곤 목사  2010-02-06 4546
2864 마가복음 과정에서 포기하지 않는 신앙 막4:35-41  김필곤 목사  2010-02-06 2682
2863 예레애가 인생으로 고생하게 하는 것이 하나님의 본심이 아니다 애3:19-33  김필곤 목사  2010-02-06 3737
2862 고린도후 믿음직스러운 자(청지기 같은) 고후8:16-24  최장환 목사  2010-02-06 1729
2861 사도행전 좋은 두려움과 나쁜 두려움 행23:17-35  이한규 목사  2010-02-04 2973
2860 사도행전 칭찬과 격려의 힘 행23:11-16  이한규 목사  2010-02-04 3831
2859 사도행전 담대함의 3대 원천 행23:1-10  이한규 목사  2010-02-04 2657
2858 사무엘상 사랑의 3대 정의 삼상23:13-17  이한규 목사  2010-02-04 2534
2857 사도행전 사명을 따르는 삶의 축복 행22:22-30  이한규 목사  2010-02-04 2909
2856 사도행전 신앙생활의 36계 행22:1-21  이한규 목사  2010-02-04 2426
2855 사도행전 축복으로 가는 비포장도로 행21:27-40  이한규 목사  2010-02-04 2750
2854 사도행전 리더십의 원천 행21:15-26  이한규 목사  2010-02-04 2626
2853 시편 축복의 4요소 시37:22-29  이한규 목사  2010-02-04 2531
2852 창세기 아브라함의 죽음 창25:1-18  이정원 목사  2010-02-03 2902
2851 창세기 결혼과 하나님의 뜻 창24:50-67  이정원 목사  2010-02-03 3067
2850 창세기 결단과 적용 창24:28-49  이정원 목사  2010-02-03 2049
2849 창세기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는 법 창24:10-27  이정원 목사  2010-02-03 4308
2848 창세기 이삭의 결혼 창24:1-9  이정원 목사  2010-02-03 3193
2847 창세기 사라의 매장지 창23:10-20  이정원 목사  2010-02-03 2053
2846 요한복음 나의 주 나의 하나님 요20:24-29  이정원 목사  2010-02-03 2362
2845 누가복음 너희를 위하여 울라 눅23:26-31  이정원 목사  2010-02-03 2661
2844 창세기 롯을 보낸 후 창13:10-15  강종수 목사  2010-02-01 2221
2843 창세기 사라의 죽음 창23:1-9  이정원 목사  2010-01-31 3335
2842 창세기 영광과 축복 창22:15-24  이정원 목사  2010-01-31 1651
2841 창세기 여호와 이레 창22:9-14  이정원 목사  2010-01-31 3278
» 창세기 순종 창22:3-8  이정원 목사  2010-01-31 2290
2839 창세기 시험 창22:1-3  이정원 목사  2010-01-31 1764
2838 창세기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는 사람 창21:22-34  이정원 목사  2010-01-31 2378
2837 창세기 쫓겨난 이스마엘 창21:14-21  이정원 목사  2010-01-31 2077

설교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