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일천번제에 대한 오해

수필칼럼사설 빛소리............... 조회 수 2861 추천 수 0 2010.02.05 18:45:21
.........
출처 :  
솔로몬의 일천번제에 대한 설교자에 대한 비판이 있어서 한마디 하겠습니다.
솔로몬왕이 일천번제를 드렸을때, 소를 단번에 일천마리를 드렸느냐 매일 한마리씩 천일을 드렸느냐? 하는 문제인데
목회자가 단번에가 아니라, 천일동안 매일 드렸다는 것에 대해서 목회자가 무식하게 설교한다.....그런 분이 계셨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과연 목회자가 무식해서 그런 설교를 할까요? 저도 후자쪽에서 설교하는 목사지만 그렇게 단번에 드렸다는 것이
억지요. 후안무치입니다.

영어번역으로 단번에 즉 한번에 일천마리를 드렸다는 것에 동조하는 주장을 가지신 분이 혹있습니다.
그러나 그게 맞다라고 단정 지을만한 근거는 없습니다. 공동번역에도 보면 
솔로몬은 그 제단에 번제물을 천마리나 바친적이 있다.......그렇게 나옵니다.

천마리나 바친적이 있다를 어떻게 보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뜻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천마리를 한꺼번에 바친적이 있냐? 아니면 천마리를 매일 같이 바쳤느냐는 보기 나름이요. 해석하기 나름입니다.
오히려 후자쪽이 훨씬 더 정확성에 가깝습니다.

원문에도 보면-영문보다 원문이 더 정확하겠죠? 영문이 완벽한 번역이라고 볼 수도 없으니 말입니다-
한꺼번에 바쳤다는 말보다 오히려 후자 쪽에 더 가깝습니다.
그 이유를 몇가지 근거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1)원문에보면 드렸다라는 말의 아라 : hl;[;-죄송합니다 히브리어가 깨졌네요-라는 말로 사용되어 있는데 이 말 뜻은 올라가다...기어오르다 등등 많은 뜻이 있습니다. 다시말해서 드리기 위해 매일 올라갔다, 어디를요. 성전이겠죠.
다시말해서 성전으로 매일 올라갔다라는 표현이 더 가깝다는 것입니다.

2)혹시 소 한마리를 태워 보신 경험이 있습니까?
사람의 시신을 태울때 현대 화장문화로 보면 거의 2시간 정도가 걸린다고 봅니다. 소는 어떻겠습니까?
사람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릴겁니다. 특히 제사법대로 소를 잡고 예식대로 한다면 1마리 잡는 시간이 최소한4시간은 걸릴거라고 봅니다.
그런걸 가만하면 번제로 드렸다니까 잡아서 태운다고 가정할때,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제사장이 다 동원된다 하더라도 하루에 천마리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아니 불가능한 일입니다. 특히 그 당시로서는.

3)그 당시 솔로몬 시대의 성전으로 과연 천마리를 잡을 수 있고 태울 수 있는 여건과 환경이 되었을까? 절대 불가능한 여건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무리 현대식 시설로 구비되어 있다고 해도 천마리를 한꺼번에 잡아서 태울만한 시설은 그 당시에 불가능했습니다.

이로 미루어 보건데 하루에 한마리씩 천일동안 드렸다는게 더 설득력을 가집니다.
그리고 오히려 초기 솔로몬의 신앙으로볼때, 충분히 그러고도 남았을 겁니다.
1년에 365일로 잡으면 천일은 약2년7개월 정도 되는데 충분히 가능한 일이죠.
이런 근거로 봤을때, 한꺼번에 천마리의 황소를 드렸다기 보다는 매일 같이 그렇게 드렸다는게 훨씬 근거 있는 말씀입니다.
 
목사가 무식해서가 아니라, 이런 근거로 후자쪽이 더 성경에 뜻과 솔로몬의 뜻에 합당하기에 그렇게 설교하는 것입니다.

한꺼번에 천마리를 드리는 것도 큰 의미가 있겠지만 천일동안 그렇게 매일 드리는 것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루디아님의 의견에 불교식으로 혹은 샤머니즘 식으로 일천번제를 드리는 것이 우리 신앙에 맞지 않다고 하셨는데 일부는 동의합니다.

그러나 신앙이라는 관점에서는 샤머니즘이나 타종교나 우리 기독교가 가지는 공통점도 있습니다. 우리가 기복적이라고 말하는 신앙 반드시 나쁜것 만은 아니지요. 왜냐 하나님께서도 우리에게 복을 주시겠다고 하셨고, 복을 구하라.....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물론, 우리의 중심, 우리의 생각이 가장 중요하겠죠. 우리는 언제든지 샤머니즘 신앙으로 빠질 수도 있고, 우상신앙으로 빠질 수 있는 위험 있습니다. 우리가 무당처럼 타 종교처럼 우상은 섬기지 않지만 우리 신앙이 자칫 그런 종교처럼 빠질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건 우리의 마음가짐과 자세 아니겠습니까?

솔로몬이 한꺼번에 일천마리를 드렸느냐? 아니면 매일 천일동안 드렸느냐? 그것이 중요한게 아니고 본질은 솔로몬의 하나님을 향한 마음 아닐까요?
물론, 정확한 뜻을 아는 것이 나쁘냐? 아닙니다.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그러나 일천번제에 관한 주장은 어떤것이 맞고 어떤 것이 틀렸다라는 흑백논리에 적용시키는 것은 좀 무리가 있다는 제 개인적인 판단입니다.

그것도 목사가 모르냐? 그런 엉터리 해석을 하고 설교하는 목사가 있냐?
그렇게 말하면 곤란하다는 이야깁니다.
저도 일천번제 매일같이 드렸다고 가르치는 목사로서 제가 잘못 가르치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5 논문신학성경 방언에 대한 이해 이광호 목사 2010-02-07 2742
1844 논문신학성경 청소년 분노 치유를 위한 기독교교육 모델 연구 기독교교육연구소 2010-02-07 2798
1843 논문신학성경 레위기 25장의 안식년법과 희년법 양용의 교수 2010-02-07 4124
» 수필칼럼사설 일천번제에 대한 오해 빛소리 2010-02-05 2861
1841 주보회보신문 설 명절에 사용하는 전도 글 안도현 목사 2010-02-05 2593
1840 주보회보신문 감사의 4원리 (시편100편) 이한규 목사 2010-02-05 3107
1839 주보회보신문 십자가에 못 박혔다는 말의 의미 file J. I. 패커 2010-02-05 2741
1838 주보회보신문 천국의 암호 로버트 콜만 2010-02-05 2977
1837 주보회보신문 한국 꿀벌과 필리핀 꿀벌 이정수 목사 2010-02-05 2683
1836 주보회보신문 예배를 성공하는 방법 이한규 목사 2010-02-05 2802
1835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10] 값진 진주 어거스틴 2010-02-04 2988
1834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9] 계시에의 접근 어거스틴 2010-02-04 2784
1833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8] 플라톤파에 의한 득실 어거스틴 2010-02-04 3109
1832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7] 그리스도에 대한 착각 어거스틴 2010-02-04 2879
1831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6] 그리스도만이 구원에 이르는 길 어거스틴 2010-02-04 3360
1830 선교화제현장 [이만열 제언]이원론 극복과 작은교회 운동 실천이 한국교회 대안 이만열 교수 2010-02-03 2335
1829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5] 하나님과의 만남을 방해하는 것 어거스틴 2010-02-01 3048
1828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4] 악의 정체 어거스틴 2010-02-01 3659
1827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3] 피조물 속에 존재하는 참과 거짓 어거스틴 2010-02-01 3376
1826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2] 정화된 하나님의 개념 어거스틴 2010-02-01 3683
1825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1] 하나님을 찬양 어거스틴 2010-02-01 3011
1824 논문신학성경 생태여성신학과 지구화 문제 김애영 박사 2010-01-31 2615
1823 논문신학성경 삼위일체와 현대신학의 과제 황돈형 2010-01-31 2674
1822 논문신학성경 레위기 25장의 안식년법과 희년법 김병하 2010-01-31 4119
1821 논문신학성경 사도행전대로 본다면 한국교회는 부흥한 적이 없다 성기문 2010-01-31 2461
1820 목회독서교육 문자주의적 해석에서 성경 구출하기 정병진 2010-01-31 2583
1819 논문신학성경 솔로몬이 실패한 원인은 무엇인가? 오세택 목사 2010-01-31 2825
1818 목회독서교육 청중의 문화적 시각을 고려한 설교 장영일 목사 2010-01-29 2338
1817 논문신학성경 조상 제사에 대한 선교적 대응 김경환 2010-01-29 2711
1816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요한 까시아노 조나단 에드워드 2010-01-29 3191
1815 논문신학성경 올바른 기독교장례문화 정착을 위한 제언 최종구 2010-01-29 3412
1814 영성묵상훈련 영성개발과 복음적 설교 김기홍 목사 2010-01-29 2328
1813 논문신학성경 목회자의 자아의식에 관한 연구 file 이윤우 목사 2010-01-28 3456
1812 논문신학성경 구약을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file 이희학 박사 2010-01-28 3109
1811 목회독서교육 새로운 설교의 가능성 -영화로 설교한다 file 하정완 목사 2010-01-28 3051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