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기독교의 절기, 부활절

인기감동기타 조동천 목사............... 조회 수 4174 추천 수 0 2010.04.23 19:16:50
.........
출처 :  

기독교의 절기, 부활절

 

메시아의 탄생과 부활을 통해 영생을 바라는 기독교 내에서 부활절은 성탄절과 함께 가장 중요한 양대 절기이며 교회력의 중심 축을 이루고 있다. 성 고난 주간의 금요일에 죽어 장사되신 주님이 사흘만에 죽음을 이기시고 부활하신 것을 기념하는 주일을 가리킨다. 기독교 내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승천을 역사적 사건으로 받아들이고 이 믿음을 통해 주님 안에서 세상의 끝날에 우리도 부활하여 그 옛날 에덴 동산보다 더욱 좋은 천국에서 살게 될 거라는 복음의 진정성을 증거해 주는 결정적 사건으로 간주된다.

 

현대의 부활절 행사는 성탄절 행사와 더불어 자본주의 시장 경제 속에서 너무 많이 세속화되어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교회에서 부활절 기념행사로 음악회나 egg hunting 같은 이벤트들이 개최되나 그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와의 영적 만남과 성숙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각 연령층의 문화적 욕구를 해소하는 데에 그치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부활절을 기대하며 준비하는 많은 종교 행사들(고난주간 기도회, 금식, 금욕 생활 등)에 비해 부활절 자체를 이해하고 기념하는 직접적인 행사를 찾아보기 힘든 모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현재 시행하는 부활절 행사들도 극히 제한되어 있고 이러한 제한성으로 인해 진부하고 명목뿐인 행사로 전락해 버리기까지 한다.

 

사실 부활절은 그 기원과 유래에서부터 기독교 역사와 문화 형성의 특색을 보여주고 있으며 세계 각국의 부활절 행사들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있음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1. 부활절의 기원과 유래

 

부활절을 의미하는 영어 ‘Easter’는 고대 앵글로 색슨어인 Eastre와 Ostara의 합성어로서 튜튼족이 숭배한 새벽과 봄의 여신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2세기 경 기독교 선교사들이 그 지역에 복음을 증거하러 들어가서 이러한 원주민들의 종교 절기를 알게 되었고 그들을 개종시킬 목적으로 그 이방 절기를 통해 기독교를 점증적으로 전파시켰을 것이라는 설이 설득을 얻고 있다. 성탄절과 마찬가지로 초대 기독인들이 자신의 생존과 복음 전파를 위해 기존에 존재하던 이방신의 축제일에 맞춰 그들의 성일을 지키면서 세상 속에 파고들었던 것과 같은 맥락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부활절의 정확한 시기에 대해서는 교회들간의 주장이 서로 팽팽하게 맞서 3세기까지도 교회 논쟁의 불씨가 되기도 하였다.

 

지금의 부활절은 A.D 325년 니케아 종교회의에서 언제나 유월절 기간이어야 한다는 동로마 교회들의 주장과 반드시 주일이어야 한다는 서로마 교회의 주장을 통합하여 유대교의 종교력 춘분 다음에 오는 일요일로 정해지게 되었고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부활절의 유래와 기원은 기독교의 특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기독교가 세상 속에 심겨져 사랑을 전파하고 복음을 증거하는 과정들은 기존부터 있었던 유대교나 특정 종교법을 바탕으로 상대를 윽박지르고 강요하는 방법이 아니었다. 오히려 세상을 이해하고 겸손하게 각 지역과 시대에 맞는 문화들을 포용하고 수용하여 지금의 모습들을 만들어갔으며 선교를 가능케 하였다. 배척과 무시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께서 죄인된 인간과 세상을 향해 무한하신 사랑으로 자신을 희생하셨듯이 자신을 낮추고 각 문화를 섬겨, 기독교 영성을 통해 정화시키고 변화(Transformation)시켜갔던 것이다.

 

이러한 기독교의 역사는 우리가 무조건 거부하고 배제하는 혼합주의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가능케하며 포스트모던 시대에 새로운 대응책을 간구할 수 있는 여지를 던져준다.

 

2. 부활절 토끼와 달걀

 

그림이나 인터넷 사이트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부활절 토끼는 현대의 발명품이 아니다. 이 상징은 앞에서도 언급했던 앵글로 색슨족의 여신이었던 ‘Eastre’의 세속적 상징 동물이 바로 토끼였다. 이 토끼 상징은 독일인들에 의해 처음으로 미국에 소개되었는데 초기 미국 교계에서는 무시되다가 남북 전쟁 이후 카톨릭 교회에서 받아들이면서 부활절의 상징이 되었다. 한국 교회에서 가장 친숙한 달걀 나누기는 원래 새해에 행해졌던 것이나 유대의 종교력으로 새해가 시작되는 때가 주님이 고난받았던 기간이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주님의 부활을 기념하는 부활절의 상징이 되었다. 사실 달걀은 여러 서양 이방 종교에서 새로운 생명의 잉태를 의미하는 상징물로 사용되었고 후대에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상징물로 교회에서 받아들여졌다. 부활절 달걀의 껍질은 예수께서 사흘 동안 머무신 바위무덤을 상징하고 달걀 껍질의 채색은 인간의 죄를 대속하기 위해 흘리신 피를 상징했던 것에서 기인한다. 부활절 달걀 채색에 대한 많은 유래들이 있으나 대표적인 이야기로는 남편을 잃고, 살던 집조차 빼앗겨 살 길이 막막했던 어느 불우했던 부인을 친절한 마음 사람들이 돌보았다고 한다. 부인은 고마운 마음에 친절한 마을 사람들을 축복하는 글과 성구를 적어 나누어 주었고 이것이 점점 보편화되었다고 한다. 이때 달걀을 붉게 채색하였는데, 이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여준 희생의 피를 상징하였고 마을 사람들의 고마운 마음을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에 비교한 것이었다. 현대 미국교회에서는 이런 달걀을 채색하여 숨겨두고(요즘엔 플라스틱 달걀 속에 캔디나 초콜릿을 넣어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아이들에게 찾게 하는 달걀 찾기, 달걀 굴리기 등의 행사에 응용되어 시행되고 있다.

 

3. 부활절의 각국 행사

 

한국교회와 미국 교회에서는 보통 부활절 연합 예배와 음악 예배를 드리는 것으로 부활절을 기념하는데 너무 천편일률적인 행사여서 그 의미가 반감되는 느낌을 많이 받게 된다.

 

사실 세계의 부활절 행사와 풍습은 참 다양하다.

 

영국 북부 지역의 초기 기독교 풍습 중에는 부활절 아침에 남자와 여자의 역할을 바꾸어 서로를 이해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러한 역할 바꾸기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더욱 사랑할 수 있었다.

 

유럽 전역에 펼쳐졌던 이방 종교문화중 하나는 봄을 알리기 위해 산과 들에 나가 횃불을 켜들었던 행사가 있었는데 이러한 행사가 유럽 지역 교회의 부활절 행사로 정착되었다. 예수 그리스도 부활의 아침을 밝히고 알린다는 상징을 지니고 있다. 또한 중세와 근대의 부활절 아침에는 목회자나 사제들이 각 가정의 집과 음식을 축복해 주는 축성식이 있었고, 부활절을 일찍 맞이하기 위해 아이들끼리 서로서로 일찍 깨우는 풍습도 있었다. 러시아에서는 기나긴 사순절 기간이 끝난 것을 기념하여 모든 교회가 가장 즐기는 운동경기에 함께 참여하기도 하였다. 부활절 행사와 관련된 재미있는 옛 세시풍속도 있다. 영국 북부 지역에서는 부활절 아침에 남자들이 퍼레이드를 하면서 모든 여성들을 세 번 들어올릴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답으로 여성들은 동전이나 키스를 상대 남자에게 선물하기도 하였다.

 

부활절 행사가 일회적 행사에 그치지 않고, 지루한 시간 때우기 식의 연례적 행사가 되지 않고, 모두에게 의미 있고 새로운 영적 변화를 줄 수 있는 행사가 되기 위해선 각 교회들의 다양한 모양의 계획(단순한 음악예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성극 예배, 낭송극 예배, 묵상 예배 등의 시도)과 부활절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이 뒷받침되었을 때 부활절 행사는 모든 성도들과, 함께 하는 이들에게 진정한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할 수 있는 귀한 기독교의 명절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조동천 목사  미국생활 설교 예화집<우리동네 가나안 이야기>  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18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60 하나님의 아름다움 어거스틴 2010-04-24 3190
2017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59] 하나님은 어떻게 찾을 수 있는가 어거스틴 2010-04-24 3016
2016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58] 하나님이 계시는 곳 어거스틴 2010-04-24 3283
» 인기감동기타 기독교의 절기, 부활절 조동천 목사 2010-04-23 4174
2014 가정결혼양육 혼전 섹스를 유혹하는 일곱가지 거짓말 엘리스 프라일링 2010-04-23 4813
2013 가정결혼양육 재혼에 관하여 라황용 목사 2010-04-23 2697
2012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57] 기억속에 계시는 하나님 어거스틴 2010-04-22 3373
2011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56] 진리를 소유하고 있을 때 어거스틴 2010-04-22 2844
2010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55] 지복의 삶 어거스틴 2010-04-22 3335
2009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54] 모든 사람은 행복을 원한다 어거스틴 2010-04-22 2764
2008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53] 복락과 기억 어거스틴 2010-04-22 2678
2007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52] 재인식이란 무엇인가 어거스틴 2010-04-22 2571
2006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이용도 file 한기호 전도사 2010-04-21 2290
2005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이세종 조영란 기자 2010-04-21 1380
2004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썬다 싱 file 조영란 기자 2010-04-21 3356
2003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51] 기억과 재인식 어거스틴 2010-04-19 3251
2002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50] 기억력에 있어서도 위대하신 하나님. 어거스틴 2010-04-19 2761
2001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49] 망각의 기억. 어거스틴 2010-04-19 2990
2000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48] 현존하지 않는 것도 기억한다 어거스틴 2010-04-19 2616
1999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47] 감정의 기억 어거스틴 2010-04-19 2584
1998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46] 회상에 의한 회상 어거스틴 2010-04-19 3137
1997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45] 수학에 관한 기억 어거스틴 2010-04-19 13271
1996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44] 배운다는 것 어거스틴 2010-04-18 3164
1995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43] 기억 속의 비감관적인 것 어거스틴 2010-04-18 2809
1994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42] 정신적인 것에 대한 기억 어거스틴 2010-04-18 3236
1993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죠지 뮬러 file 김연심 전도사 2010-04-18 2739
1992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이성봉 목사 file 한기호 전도사 2010-04-18 3000
1991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존번연 file 한기호 전도사 2010-04-18 2222
1990 수필칼럼사설 저는 화장 안합니다 기일혜 2010-04-16 3289
1989 가정결혼양육 세워지는 집 무너지는 가정 라황용 목사 2010-04-16 2565
1988 가정결혼양육 배우자 선택을위한 아홉가지 테스트 키스 앤드슨 2010-04-16 4197
1987 가정결혼양육 성공적인 데이트의 비결 나석권 교수 2010-04-16 2421
1986 가정결혼양육 튼튼한 가정의 출발은 올바른 결혼관에서 이상배 2010-04-16 2787
1985 목회독서교육 목사의 아내가 되는 조건 이건숙 사모 2010-04-15 3795
1984 선교화제현장 [한국의기독교성지1] 한국기독교순교자기념관(양지) [1] 다람지 2010-04-15 11459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