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환경문제와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생명환경자연 조용훈 교수............... 조회 수 3777 추천 수 0 2010.05.24 23:28:55
.........
출처 :  

환경문제와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조 용 훈  (한남대 기독교학과 교수)

 

환경위기는 여러 가지의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과학기술의 발전, 산업경제의 확대, 정치행정의 실패 등 사회구조적인 원인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 근본에는 무제한의 물질적 풍요로움에서 행복을 찾으려는 현대인의 가치관에 문제가 놓여 있다. 왜냐하면 과학기술과 산업경제는 인간의 물질적 욕망의 충족을 위한 방향으로 발전되고 확대되기 때문이다. 결국 인간이 물질의 소유와 소비에서만 행복을 찾으려 할 경우 소비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고, 그에 따라 제한된 지구자원은 더 빨리 고갈될 것이며 동시에 오염물질의 배출량도 비례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잘못된 소비행태로 인한 환경문제 가운데에서 대표적인 것은 일회용품 쓰레기 문제다. 편의주의적 가치관에 따른 일회용품의 확산은 막대한 자원낭비와 한 번 사용하고 나면 바로 쓰레기가 된다는 점에서 큰 문제거리다. 주지하듯이 자판기의 종이컵은 20년, 알루미늄캔은 100년, PET병은 100년, 컵라면 스티로폼 용기는 500년이 지나야 자연상태에서 분해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1년 한 해동안 우리나라에서 쓰고 버린 일회용 기저귀가 6억개, 종이컵 28억개, 알루미늄 접시 4억개, 카메라 100만개 등 수량으로 치면 매일 4톤 트럭 4천대분이나 된다고 한다. 1991년 발생한 우리나라 쓰레기 중에서 일회용품 쓰레기가 20%나 차지하고, 유원지에서는 절반 가량이 일회용품 쓰레기라고 한다.

유한한 지구는 무한한 인간의 탐욕과 욕망을 충족시킬 수 없다. 그렇다면 환경윤리의 첫 과제는 무한한 인간욕망에 근거하고 있는 현대인의 소비생활방식에 대한 문제제기와 대안제시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런 배경에서 '지속가능한 소비'(sustainable consumption)가 논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속가능한 소비'란 지구자원의 유한성과 자연의 정화능력의 한계를 염두에 두는 환경친화적 소비생활을 일컫는다. 지속가능한 소비란 물질을 악마화하여 무조건적인 소비의 포기를 강요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이원론적 사고는 기독교 사상과 거리가 멀다. 사실 사람은 일정한 재화의 소비없이 생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을 향유할 수도 없다. 적당한 소비는 국민경제의 활성화에도 도움이 된다. 지속가능한 소비가 문제삼는 것은 필요 이상의 소비와 사용가치보다 소유가치를 중요시하는 잘못된 소비행태이다.

현대인의 잘못된 소비양태는 다음 몇 가지로 설명된다.

첫째, 분수에 넘치는 과소비 혹은 낭비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분수란 개인이나 국민의 평균소득 수준을 의미한다. 말하자면 과소비란 자신의 소득이나 사회의 평균소득을 넘어서는 과다한 소비를 뜻한다. 둘째, 필요해서가 아니라 남에게 과시하기 위한 과시소비가 있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사회적 성공을 거둔 사람들일수록 자신의 성공을 과시하고 싶어한다. 셋째, 남을 무비판적으로 따라하는 모방소비도 있다. 상류계층에 속하고자 하는 욕망에 이끌려 그들이 구매하는 브랜드나 드나드는 백화점, 음식점을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유행에 지나치게 민감한 것도 모방소비의 원인이 된다. 넷째, 판매원의 유혹에 넘어가는 맹종소비가 있다. 다섯째, 무계획적인 즉흥소비가 있다. 여섯째, 자포자기성 실망소비도 있다. 특히 하층계급이 느끼는 상대적 빈곤감은 자칫 실망소비로 이끌게 된다.

지속가능한 소비란 환경을 생각하는 합리적이고 비판적이며 윤리적인 소비행위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최소한의 물질소비로 최대한의 삶의 만족을 얻으려는 경제적인 소비행위라고 말할 수 있다. 재화나 용역의 사용가치를 소유가치보다 중요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합리적이고 건전한 소비행태를 통해서 우리의 내면은 물질적 탐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국민경제 구조는 건강해지며, 자연환경은 더 잘 보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스도인과 교회는 이같은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즉, 새로운 생활양식을 모색하고 실천하는데 사회에 모범이 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25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92] 시간의 척도 어거스틴 2010-05-25 3333
2124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91] 시간의 세가지 다른 점. 어거스틴 2010-05-25 2807
» 생명환경자연 환경문제와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조용훈 교수 2010-05-24 3777
2122 생명환경자연 하나님 은총, 그 새로운 발견 -녹색은총과 붉은색 은총 이정배 교수 2010-05-24 2453
2121 생명환경자연 환경목회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김영락 목사 2010-05-24 2186
2120 생명환경자연 창조의 완성은 인간이 아니라 안식 김균진 교수 2010-05-24 2195
2119 생명환경자연 창조세계의 보전과 그 신학적 성찰 김경재 교수 2010-05-24 2305
2118 생명환경자연 시편에 나타난 창조신학 이경숙 교수 2010-05-23 2819
2117 생명환경자연 환경문제에 대한 성경적 고찰 전광식 교수 2010-05-23 2943
2116 사회역사경제 노동은 축복인가, 저주인가? 강원돈 2010-05-23 2363
2115 가정결혼양육 가정교회와 쉐마(신 6:4~5) 왕대일 목사 2010-05-23 2755
2114 가정결혼양육 크리스천 결혼 예비학교 모효남 목사 2010-05-23 6002
2113 목회독서교육 그리스도인과 책읽기 모효남 목사 2010-05-22 2452
2112 사회역사경제 기독교 세계관 박병길 목사 2010-05-22 3168
2111 성경적재정원리 축복받는 십일조의 자세 신상래 목사 2010-05-22 4777
2110 가정결혼양육 고령화 사회의 노인의 문제 송길원 목사 2010-05-21 3636
2109 사회역사경제 기독교 세계관으로 바뀌어야 한다 박성일 목사 2010-05-21 2216
2108 사회역사경제 복지, 정치, 민주주의 고세훈 교수 2010-05-21 2078
2107 가정결혼양육 TV는 바보상자인가.TV는 가정에서 추방해야할 존재인가. 김혜림 기자 2010-05-21 2875
2106 논문신학성경 함석헌의 생애와 사상에 관한 연구-김성수 file 김성수 2010-05-21 3398
2105 성경적재정원리 십일조의 비밀 신상래 목사 2010-05-20 4739
2104 가정결혼양육 예절이란 무엇인가? 한갑수 박사 2010-05-20 2488
2103 가정결혼양육 행복한 가정의 7가지 열쇠 양은순 교수 2010-05-20 2933
2102 가정결혼양육 제직의 가정생활 임택순 목사 2010-05-20 2358
2101 가정결혼양육 우리들의 자녀교육은 무엇이 문제인가? 장만기 원장 2010-05-20 2259
2100 가정결혼양육 청소년 문제와 상담자의 자세 한승호 교수 2010-05-20 3065
2099 정치건강취미 커피의 매력 file 이상미 기자 2010-05-19 2400
2098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90] 시간이 창조되기 이전 어거스틴 2010-05-18 2787
2097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89] 세계가 창조되기 이전 어거스틴 2010-05-18 3121
2096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88] 하나님의 영원한 시간 어거스틴 2010-05-18 3432
2095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87] 육적(肉的) 오류에 찬 사람들 어거스틴 2010-05-18 3103
2094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86] 마음에 주시는 말씀 어거스틴 2010-05-18 2753
2093 성경적재정원리 하나님께서 베팅하시는 자 신상래 목사 2010-05-18 3347
2092 성경적재정원리 성경 최고부자의 재테크 노하우 신상래 목사 2010-05-18 4472
2091 목회독서교육 [나의 서재-김남준 목사 열린교회] 난 치열하게 공부하는 ‘고 3 학생’ file 이태형 기자 2010-05-16 3796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