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명설교 모음

택스트 설교

설교자'가 확실한 설교만 올릴 수 있습니다.

성령 세례와 심판

누가복음 정용섭 목사............... 조회 수 2499 추천 수 0 2010.08.05 00:24:56
.........
성경본문 : 눅3:7-17 
설교자 : 정용섭 목사 
참고 : http://dabia.net/xe/325855 

emoticon

 

예수님과 세례 요한의 관계는 특이합니다. 누가복음에 따르면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와 요한의 어머니 엘리사벳이 친척 지간이었습니다. 요한이 예수님보다 먼저 출가해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했습니다. 예수님도 곧 출가해서 요한에게 세례를 받았는데, 요한의 영향을 받았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두 사람은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제자들이 서로 중복되기도 합니다. 죽음마저도 비슷합니다. 요한은 헤롯에 의해서 참수형을 당했으며, 예수님은 빌라도에 의해서 십자가형을 당했습니다. 양쪽 모두 30대 초반에 목숨을 잃었습니다.

 

복음서가 말하는 세례 요한의 역할은 주님의 길을 준비하는 것이었습니다. 이사야 40:3절 이하를 인용해서 요한을 ‘광야에서 외치는 자의 소리’라고 했습니다. 거기에 따르면 세례 요한은 주의 길을 곧게 하는 사람입니다. 골짜기가 메워지고 모든 산과 작은 산이 낮아지고 굽은 것이 곧아지고 험한 길이 평탄해지는 것입니다. 빈부의 차이가 줄어들고, 강한 자와 약한 자의 차이가 없어집니다. 정의와 평화가 실현되는 세상을 가리킵니다. 누가복음은 이런 세상을 이미 앞에서 마리아의 찬가를 통해 제시했습니다. 그 찬가는 예수님을 임신한 마리아가 요한을 임신한 엘리사벳을 찾아갔을 때 부른 노래입니다. 마리아가 임신한 예수님은 능력의 주님이십니다. 그는 교만한 자와 권세 있는 자를 끌어내리고 비천한 자를 높이십니다. 굶주린 자를 배불리고, 부자를 빈손으로 보낸다고도 했습니다.(눅 1:46-56) 광야에서 외치는 자의 소리인 세례 요한은 주님의 길을 준비하기 위해서 바로 이 메시지를 설교해야만 했습니다.

 

세례 요한의 설교

 

세례 요한의 설교는 기본적으로 ‘회개의 세례’입니다.(눅 3:3) 말과 생각에만 머물지 말고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으라는 겁니다.(눅 3:8) 삶의 실제적인 변화를 요청하는 설교입니다. 요한은 두 가지 사실을 지적하는 것으로 설교를 시작합니다. 하나는 이스라엘의 종교적 기득권을 해체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돌들로도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게 하실 수 있으니 아브라함의 후손이라는 사실에 안주하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어처구니없기도 하고 기분이 나쁘기도 한 설교입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아브라함의 후손이라는 사실에, 즉 하나님의 선민이라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요한은 지금 그것을 부정합니다. 이를 요즘 우리의 입장으로 바꿔 말하면, 예수 믿는다는 것을 특권으로 생각하지 말라는 설교와 비슷합니다.

 

다른 하나는 심판의 긴급성입니다. 요한은 세례를 받으러 몰려드는 이스라엘 민중들을 향해서 ‘독사의 자식들’이라고 독설을 퍼부었습니다. 먼 곳까지 찾아온 사람들인데, 다독거리면서 위로해 줘도 시원치 않을 판에 심한 어조로 책망하고 있습니다. 요한은 민중들의 마음이 어떤지 전혀 개의치 않고 노골적으로 할 말을 했습니다. 당신들이 심판을 피할 생각으로 세례를 받고 싶어 하지만 이미 도끼가 나무뿌리에 놓여 있다고 했습니다. 이제는 도끼를 휘둘러 나무뿌리를 잘라내서, 불에 던지는 일만 남아 있습니다.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길도 없고 여유도 없으니 공연히 요령을 피우지 말라는 겁니다.  

 

종교적 기득권의 해체와 심판의 긴급성 앞에서 민중들은 요한에게 물었습니다. “그러면 우리가 무엇을 하리이까?”(눅 3:10) 요한은 눅 3:11-14절에서 세 부류의 사람들을 거론하면서 이 질문에 대답합니다. 1) 부자들을 향해서, 여유 있는 옷과 먹을 것을 없는 사람들에게 나누라고 합니다. 2) 세무 관리들을 향해서, 정당한 세금을 징수하라고 합니다. 3) 군인들을 향해서, 공권력으로 남의 재산을 강탈하지 말라고 합니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소유를 독점하지 말라. 둘째, 양심을 속이지 말라. 셋째, 권력을 남용하지 말라. 

 

사실 요한의 이런 설교는 특별한 건 아닙니다. 이미 구약의 예언자들이 선포한 것들입니다. 문제는 이런 설교가 잊혀졌다는 겁니다.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았습니다. 아무도 이런 주제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모두 자기 안일에 도취해 있었습니다. 이런 현상은 어쩔 수 없습니다. 개혁과 혁명의 시절이 아닌 때에는 모두 자기의 생존을 위해서 전력투구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게 사람의 본성이기도 하고, 한계이기도 합니다. 문제는 이런 자기만을 위한 생존법칙이 극단에 달하면, 일종의 정글의 법칙인데, 생존 자체가 위태로워진다는 것입니다. 그런 위기를 미리 알아차리는 사람들이 예언자들입니다. 지진이 날 때 먼저 알아차리는 동물들이 있듯이 영적 촉수가 예민한 예언자들이 그런 위기에 아주 영민한 이들이었습니다. 요한이 바로 그런 일을 했습니다. 그는 지난 날 예언자들이 외쳤던 정의와 평화를 다시 삶의 중심 주제로 끌어들였습니다.

 

그의 설교는 당시 사람들에게 강한 울림이 되었습니다. 요한의 설교에 동의하든지 않든지 그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요한의 설교가 그대로 실행된다면 세상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었을 테니까요. 그래서 사람들은 세례 요한이 바로 그리스도인가, 하는 궁금증과 또한 그랬으면 좋겠다는 기대를 하게 되었습니다. “요한, 당신이 바로 우리가 기다려야 할 그리스도인가?”

 

물세례, 불세례

 

요한은 자신이 그리스도가 아니라고 대답했습니다. 직접 “아니오.”라고 대답하지는 않고 간접적인 방식으로 부정했습니다. 그는 물로 세례를 베풀지만, 능력이 더 큰 이가 오셔서 성령과 불로 세례를 베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앞으로 올 능력이 큰 이의 신발 끈을 풀만한 깜냥도 되지 못한다고 말한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요한은 그리스도가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그리스도를 기다리는 사람이었습니다. 누가복음(7:18 절 이하)과 마태복음(11:2 절 이하)에 따르면 옥에 갇힌 요한은 제자를 예수님에게 보내서 “오실 그이가 당신이오니이까, 우리가 다른 이를 기다리오리까?” 하고 물었습니다. 이 질문에 예수님께서도 직접 “내가 그리스도다.” 하고 대답하지는 않으셨습니다. 대신 예수님에게 일어난 일들을, 즉 치유와 축귀 등을 전하라고 대답하셨습니다. 이런 현상은 예수님이 회당에서 읽으신 이사야 61:1 절 이하의 말씀을 가리킵니다.(눅 4:18,19) 즉 그리스도가 행할 구원의 현실들이 예수님에게 일어났다는 뜻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몇 성경 구절과 신학적인 근거에서 볼 때 당시에 예수님과 세례 요한이 경쟁 관계였다는 게 분명합니다. 예수님과 요한이 직접 다퉜다는 게 아니라 “그리스도가 누구냐?” 하는 문제로 제자들과 주변 사람들의 생각이 분분했다는 것입니다. 세례 요한이 그리스도다, 또는 예수님이 그리스도다 하는 주장들이 서로 오갔습니다. 오죽했으면 한참 세월이 흐른 뒤의 역사를 담고 있는 사도행전에도 세례 요한을 추종하던 사람들이 남아 있었겠습니까.(행 19:1-6)

사람들이 예수님과 요한을 혼동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입니다. 양쪽 모두 하나님의 구원을, 하나님 나라를, 그의 통치를 똑같이 선포했기 때문입니다. 초기 기독교는 이런 사태를 분명하게 정리해야만 했습니다. 요한은 주님이 아니라 주님의 길을 예비하는 사람일 뿐이라고 말입니다. 그의 설교가 아무리 사람들의 심금을 울린다고 하더라도 예수님과는 비교할 수 없다고 말입니다. 둘을 평면에 놓고 비교할 수 없는 이유는 존재론적 토대가 달랐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근거해서 복음서 기자들은 요한의 세례를 물의 세례로, 예수님의 세례를 성령의 세례로, 즉 불의 세례로 규정할 수 있었습니다.

 

물의 세례와 성령의 세례는 무엇이 다를까요? 왜 질적으로 다르다고 말하는 걸까요? 이걸 설명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이건 겉으로 확 표시가 나는 게 아닙니다. 양쪽 모두 새로운 삶을 향한 전환이라는 점에서 똑같습니다. 요한은 주님의 길을 예비하는 ‘광야의 외치는 자’입니다. 길을 곧게 하는 역할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길을 곧게 하는 것 자체가 바로 주님의 일이고 그를 통해서 일어나는 구원론적 사건이기도 합니다. 소유의 독점, 양심의 기만, 권력 남용을 막는 일은 바로 요한의 설교이기도 하고, 동시에 주님의 설교이기도 합니다. 여기서 하나의 선을 그어놓고 요한의 일과 주님의 일을 경계 지을 수 없습니다. 예수님도 요한과 비슷한 설교를 하셨고, 그렇게 사셨습니다. 마태복음 5-7장의 산상수훈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세례와 불세례는 삶의 형식이 아니라 삶의 질에서 갈립니다. 이 차이를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이 차이를 모르면 요한의 제자로 사는 것이나 예수님의 제자로 사는 것이나 다를 게 하나도 없습니다. 극단적인 휴머니스트로 사는 것이나 기독교인으로 사는 것이나 다를 게 없습니다. 그 차이를 봅시다.

 

세례 요한이 행한 물세례는 외부적인 강요에 그 특성이 있습니다. 그것은 법질서를 바르게 세워나가는 작업입니다. 개인의 양심에 불을 지피는 일입니다. 요한은 광야에서 낙타털옷을 입고 메뚜기와 석청을 먹으면서 사람들에게 불을 토하듯이 설교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양심이 찔렸겠지요. 새롭게 살아야겠다는 결단을 했겠지요. 이런 정도의 변화만 온다 하더라도 썩 괜찮은 세상이 될 겁니다. 그러나 그 이상은 아닙니다. 뭔가 새로운 세상이 오는 것 같지만 다시 불의한 세상으로 돌아갈 겁니다. 양심이 살아 있는 지도자를 만나면 조금 정신을 차리다가 구태의연한 지도자를 만나면 다시 양심을 포기합니다. 양심이 살아날 때만 잠시 반짝이다가 다시 그렇고 그런 세상과 타협하게 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세상살이입니다.

 

예수님의 성령 세례는 심층적인 차원에서 오는 생명의 요구라는 사실에 그 특성이 있습니다. 성령의 세례는 바로 생명을 얻는 것입니다. 요한의 세례도 역시 생명의 세계와 연결되는 거 아닌가 하고 생각할 분들이 있을 겁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요한이 말하는 그런 세계가 우리에게 실현되었다고 하더라도 참된 생명을 얻는 것이 아닙니다. 요한이 말하는 물의 세례, 회개의 세례가 가장 잘 갖추어진 공동체는 가족입니다. 가족 사이에는 부자도 없고 가난한 자도 없고, 부당한 세금을 걷는 일이나 공권력으로 강탈하는 일도 없습니다. 가족 공동체에서 참된 생명을 경험하시나요? 거기서 참된 만족이 가능한가요? 상대적으로 만족스러울 수는 있겠지만 절대적으로 만족스럽지는 못합니다. 수도승들이 출가를 하는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습니다. 

 

성서가 말하는 참된 생명, 즉 영생은 사람의 능력과는 전혀 다른 차원에서 주어집니다. 그것은 창조자에게서만 가능합니다. 그것은 부활의 주님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그것은 우리의 노력으로 만들어가는 게 아니라 준비하고 있다가 주어질 때 받을 뿐입니다. 그래서 은총이라고 말합니다. 그런 은총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을 성령의 세례라고 말합니다.

성령 세례는 곧 불세례라고도 합니다. 물은 씻는 능력이지만 불은 변화의 능력입니다. 불은 화학적 변화를 일으킵니다. 물세례는 삶의 형식이 바뀌는 거지만 불세례는 삶의 질이 바뀌는 것입니다. 우리 자신의 능력으로부터 하나님의 은총으로 삶의 자리가 질적으로 바뀌는 것입니다. 물세례를 도덕적 변화라고 한다면 불세례는 존재론적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그런 변화를 가리켜 ‘새로운 피조물’이라고 표현했습니다. 현대신학자 폴 틸리히의 용어를 빌리면 ‘new being’, 즉 ‘새로운 존재’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그 이전에 자기가 자랑하고 의존하던 모든 것들을 배설물로 여긴다고(빌 3:8) 했습니다. 절대적인 것 앞에서는 모든 게 상대적인 것이 될 수밖에 없으니, 바울의 표현은 아주 정확한 겁니다.

 

심판, 생명의 완성

 

물세례는 실증적인데 반해서 불세례에 대한 저의 설명은 관념적으로 들릴지 모르겠습니다. 그렇게 들리는 게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그건 어쩔 수 없습니다. 불세례를 통해서 얻게 될 그 참된 생명이 아직 확연하게 드러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지금 우리는 참된 생명과 그렇지 않을 것을 확연하게 구별할 수 없습니다. 어느 정도 구별한다고 해도 생명 아닌 것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습니다. 완전한 구별은, 그리고 거짓 생명의 완전한 제거는 마지막 심판에서 일어납니다. 그 마지막 심판의 주인은 성령과 불로 세례를 베푸시는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그가 하실 일에 대해서 누가복음은 이렇게 설명합니다. “알곡은 모아 곳간에 들이고 쭉정이는 꺼지지 않는 불에 태우시리라.”(눅 3:17)

 

혹시 쭉정이가 아닐까 하는 걱정이 있으신가요? 공연한 걱정입니다. 만약 우리가 쭉정이라면 불에 들어가는 것이 오히려 구원입니다. 쭉정이가 곳간에 가면 견딜 수 없습니다. 우리 안의 쭉정이를 불에 태우는 게 구원이 아닌가요? 쭉정이 이야기는 사람들에게 겁을 주려는 게 아닙니다. 오히려 기쁨의 메시지입니다. 거기서 우리의 생명이 완성된다는 기쁜 소식입니다. 거기서 우리의 기다림이 끝납니다. 심판은 저주가 아니라 오히려 하나님의 축복입니다. 구원이고 은총입니다. 생명의 완성인 부활이 현실로 드러나는 사건입니다. 그 때가 와야 우리는 생명의 알곡으로 변화될 것입니다. 이것을 약속으로 받는 것이 성령세례이며, 불세례입니다. 바로 이 사실에 자신의 운명을 걸고 살겠다는 분명한 이해와 결단이 선다면 여러분은 성령과 불로 세례를 받은 사람들입니다. 이런 사람들은 주님을 찬양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직은 마지막 심판의 때가 오지 않았습니다. 지금 우리는 여전히 잠정적인 생명을 살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여전히 불안합니다. 불평등합니다. 여전히 자유롭지 못합니다. 여전히 외롭습니다. 우리는 주님이 다시 오실 때까지 여기서 그 주님의 길을, 그 생명의 길을 준비해야 합니다. 그 준비는 세례 요한의 물세례입니다. 무슨 말인가요? 소유를 독점하지 않도록 하십시오. 양심의 소리에 민감하게 살아가십시오. 공권력을, 사회적 지위를 남용하지 마십시오. 그렇게 주님이 오실 길을 준비하면서, 설레는 마음으로 참된 생명이 완성될 주님의 재림을 기다리십시오. 대림절 셋째 주일입니다.(대림절 셋째 주일, 2009.12.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경본문 설교자 날짜sort 조회 수
3921 요한계시 여자와 남은 자손 계12:1-17  강종수 목사  2017-05-07 171
3920 마태복음 누구든지 나를 인하여 실족치 않는 자는 복이 있도다. 마11:1-6  김경형 목사  2017-05-07 311
3919 마태복음 저가 네 길을 네 앞에 예비하리라 하신 것이 마11:7-10  김경형 목사  2017-05-07 185
3918 에배소서 약속있는 첫 계명 엡6:1-3  강종수 목사  2017-05-07 570
3917 히브리서 징계는 참 아들임의 표식 히12:5-8  강종수 목사  2017-05-10 267
3916 사무엘하 내가 찾아야 할 므비보셋 삼하9:1-13  전원준 목사  2017-05-14 516
3915 요한계시 적그리스도의 정치적 환난 계13:1-10  강종수 목사  2017-05-14 113
3914 마태복음 지혜는 그 행한 일로 인하여 옳다 함을 얻느니라. 마11:11-19  김경형 목사  2017-05-14 328
3913 마태복음 수고하고 무거운 짐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마11:11-29  김경형 목사  2017-05-14 553
3912 신명기 생사화복 신30:11-15  강종수 목사  2017-05-14 547
3911 데살로후 성도의 직업관 살후3:1-12  박조준 목사  2017-05-16 394
3910 디모데후 너는 다르게 살라 딤후3:1-5  박조준 목사  2017-05-16 686
3909 마태복음 진리는 행위로 말한다 마11:19  강종수 목사  2017-05-17 170
3908 사무엘하 은혜와 승리 삼하10:1-13  전원준 목사  2017-05-18 504
3907 고린도전 남의 유익을 구하라 고전10:23-33  강승호 목사  2017-05-19 618
3906 요한계시 큰 거짓 선지자의 출현 계13:11-18  강종수 목사  2017-05-21 179
3905 마태복음 인자는 안식일의 주인이니라. 마12:1-8  김경형 목사  2017-05-21 231
3904 마태복음 안식일에 선을 행하는 것이 옳으니라 마12:9-21  김경형 목사  2017-05-21 309
3903 신명기 기독교 가정교육 중심 신6:6-13  강종수 목사  2017-05-21 287
3902 마가복음 감사는 우리 각자의 변화산이다. 막9:2-8  허태수 목사  2017-05-22 465
3901 마가복음 내가 바라는 딱 한 가지 막10:46-52  허태수 목사  2017-05-22 419
3900 요한계시 지금은 플루토스가 눈을 뜰 때 입니다 계3:17-19  허태수 목사  2017-05-22 254
3899 요한복음 혹시 그대가 이 사람 아닙니까? 요5:1-13  허태수 목사  2017-05-22 268
3898 마가복음 전혀 다른 백부장의 시선(視線) 막15:29-39  허태수 목사  2017-05-22 286
3897 누가복음 앞으로 어떻게 살면 되겠습니까? 눅10:25-37  허태수 목사  2017-05-22 274
3896 마가복음 시선의 높이가 믿음의 높이입니다. 막15:29-39  허태수 목사  2017-05-22 440
3895 요한계시 21세기의 계시와 믿음의 숙제 계3:17-19  허태수 목사  2017-05-22 139
3894 사사기 모압으로 내려가지 마라. 룻1:1-18  서한수 목사  2017-05-23 420
3893 창세기 하나님이일하시게하라 창37:5-11  강승호 목사  2017-05-24 551
3892 마가복음 복음을 믿으라 막1:14-15  지희수 목사  2017-05-25 437
3891 신명기 십계명의 3계명 말씀 신5:11  이한규 목사  2017-05-26 263
3890 신명기 주일성수의 축복과 개념 신5:12-15  이한규 목사  2017-05-26 646
3889 신명기 대인관계 관련 십계명 신5:16-21  이한규 목사  2017-05-26 342
3888 에배소서 영혼의 치료약 엡4:31-32  이한규 목사  2017-05-26 485
3887 고린도전 은혜 받은 자에게 있는 것 고전15:3-10  이한규 목사  2017-05-26 539

설교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