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카이스트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뉴스언론 신동식 목사............... 조회 수 1633 추천 수 0 2011.04.13 23:38:36
.........

카이스트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신동식 목사(빛과소금교회, 기윤실 정직윤리운동본부장)

 

한국의 과학 영재를 키운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던 카이스트에서 심각한 문제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벌써 3명의 학생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비참한 일이 발생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각 영역에서 영재라는 소리를 듣던 친구들이었습니다. 이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을 정도로 괴로움을 느꼈던 것은 경쟁에 대한 두려움이었습니다. 스스로 낙오 될 것 같은 두려움이 이들로 하여금 영재의 자리에서 싸늘한 존재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이들이 이러한 상황에 이른 것을 두고 사람들은 서남표 총장식의 카이스트 운영방식이 원인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현재 카이스트는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하여 학점과 연계된 등록금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데, 학생들은 명목상 기성회비와 수업료를 내야합니다. 기성회비로는 지난해까지 학점 3.3 이상 올해부터는 약간 완화된 2.95를 넘기지 못하면 학기당 약 150만원을 내야합니다. 만일 학점 3.3 이상이면 기성회비는 한국장학재단에서 나오는 이공계 국가장학금을 받는 것을 통해 면제됩니다. 또한 수업료의 경우 학점이 4.3만점에 3.0을 넘으면 면제가 되고, 3.0 아래는 0.01점당 약 6만원의 수업료가 추가됩니다. 그래서 만일 학점이 2.0이면 최고 약 600만원의 수업료와 약 150만원의 기성회비를 합하여 최대 연 1500만원을 납부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학생들은 피가 나는 노력을 해야만 합니다.

 

noname01.jpg 

* 출처 : 경향신문

 

이것은 참으로 무서운 제도입니다. 사람이 돈 앞에 얼마나 나약해질 수 있는지, 돈이 가지고 있는 힘은 참으로 대단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현실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학점을 얻지 못하여 과도한 등록금을 내야한다면 그 스트레스는 상상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학생들은 영재의 영광이 아니라 학점을 위해 이전투구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에서 학점이 아니라, 돈이라는 문제의 이면을 보아야 합니다. 학점을 받지 못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등록금을 내야 할 때 학생이 느끼는 압박감은 단지 돈이 아니라 자존감에 대한 심각한 타격일 것입니다. 한참 꿈을 가지고 비상하여야 할 시기에 학점이 그들의 날개를 꺾어 버리는 것입니다. 사실 그 자리에서 더 이상 날 수 없다면 그 곳에서 나오면 되는데, 또 그것은 학생의 자존감이 용납하지 못하는 일입니다. 결국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학생들은 극단적 선택을 감행한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여기서 끝날 것 같지 않아 보입니다. 카이스트 내부 게시판에 올라온 1학년 학생의 고뇌 글에 수 백 명의 학생들이 동의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더 이상의 슬픔이 없기를 바랄 뿐입니다. 하지만 카이스트에서 일어난 일은 빙산의 일각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 해 230명의 대학생이 자살을 한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는 의대생들의 자살도 많다고 합니다. 제 페이스북에 올라온 글을 소개합니다.

 

“좋은 학교와 학과에 진학한 학생, 예를 들어 의대생도 자살률이 높습니다. 많은 경우는 허무함이 원인이라고 합니다. 만약 인생의 목표가 하나님의 영광과 하나님의 기쁨이 되는 것이라면 허무함이 있을까요? 우리나라처럼 점수에 의해 학교와 학과가 갈린다면, 그들의 달란트 또는 삶의 의미가 너무 메마르리라 생각합니다. K대 의대를 나온 한 내과 의사가 있었습니다. 얼마 전 그 선배는 우울증으로 모든 것을 버리고 시골로 이사를 갔습니다. 선배 왈 ‘내가 원하지 않았고 어려웠다’고 하더군요. 힘들어서 우울증이 걸렸는데 지금은 본인이 원하는 것 하고 있습니다.”

 

다음 세대를 책임지어야 할 지성인들이 스스로 생을 끝내고 있습니다. 오랜 시간 고생해서 마침내 그 목표를 달성하게 됐다고 생각했는데, 끊임없이 다가오는 경쟁의 스트레스와 밀물처럼 들어오는 허무함이 이들을 우울증에 빠지게 했고, 이들은 마침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해야 이러한 비극을 막을 수 있겠습니까? 인생의 낭떠러지에서 구출하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첫째로 자신의 존엄성을 가르치지 않는 기초 교육을 회복해야 합니다. 현재 우리의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교육 과정에는 자유로운 생각과 탐험이 없습니다. 철저하게 줄서는 교육만 있습니다. 여기에 더하여 사교육의 현장은 동물 사육장과 같습니다. 어디에서도 인간의 존엄성은 중요하지가 않습니다. 온갖 감언이설로 학생들을 쇠뇌 시킵니다. 여기에 무지한 학부모들은 덩달아 춤을 추고 있습니다. 교육의 우선은 인간의 존엄성인데 학교를 다닌 아이들에게서 이것을 빼앗아 버립니다. 다시금 불행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자신이 얼마나 존엄한 존재인지를 가르쳐야 합니다.

 

둘째는 각자의 달란트를 발견하고 기다려주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성경은 조급하면 궁핍하여진다고 말합니다. 돈으로 학생들을 몰아세우는 비인격적이고 추악한 교육은 사람을 피폐하게 만들고 마침내 말라 죽게 만듭니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전 공동체의 몰락을 가져오게 합니다. 지금 우리 사회에 서로에 대한 따스함이 얼마나 된다고 생각합니까? 냉기가 돌고 있습니다. 그 예 가운데 하나가 부자들 중 살아있을 때의 기부자가 한 명도 없다는 것입니다. 한 형제와의 대화중에 중국도 이러한 기부자가 있는데 한국은 한 명도 없다는 이야기를 듣고 마음이 씁쓸하였습니다. 자신만 누릴 줄 알지 이웃을 누리게 할 줄은 모르는 사회는 불쌍한 공동체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결과가 주어진 것은 우리 교육의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교육은 마땅히 각자의 달란트를 발견하게 해주고 조급하지 않게 기다려주어야 합니다.

 

셋째 참된 성공의 가치를 세워야 합니다. 엘리트 학교와 높은 학점, 선호하는 직장과 연봉이 성공의 가치가 아닙니다. 참된 성공에 대한 이러한 자유시장주의적 접근은 인간을 정글 속 짐승으로 만들어 버립니다. 성공은 자신이 기쁨을 누리는 것과 이웃에게 기쁨을 나누어주는 삶에 있습니다. 무엇을 하든, 이 두 가지의 조화가 있다면 그는 성공한 사람입니다. 돈과 명예와 권력이라는 천한 가치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이러한 굴레에서 해방되지 않으면 불행한 일이 반복될 것입니다.

 

지금은 3명이지만 여기에 끝날 것 같지 않는 예감이 듭니다. 교육의 현장에 있는 분들이 좀 더 각성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꽃도 피우지 못한 제자들이 낙엽처럼 떨어지는 슬픔을 계속 보게 될 것입니다. 해당 학생들이 박약하다고 몰아세우는 어리석음을 반복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한 학생들을 바로 가르치고 세우는 것이야말로 선생의 일입니다. 제가 간곡하게 부탁드리고 싶은 것은 참된 성공이 물질의 만족이 아님을 우리가 정직하게 가르쳐야 한다는 점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그리스도인에게는 그 누구도 가질 수 없는 가치가 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을 즐거워하는 일입니다. 죄 짓는 것 외에는 다 거룩한 일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이 모든 것을 즐거워하십니다. 우리가 이 땅에서 감당하고 사는 것은 하나님을 즐거워하고, 하나님을 즐겁게 하는 것입니다. 이 가치가 분명하다면 우리는 쉽게 우리의 삶을 포기하지 않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늘 우리와 함께하십니다. 그곳이 어떠한 자리이든지 하나님은 우리와 동행하십니다. 이 사실을 기억하고 살아야 합니다. 우리가 힘들고 지칠 때 그리고 모든 것을 놓고 싶을 때 하나님을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이것이 하나님을 즐겁게 하는 일인가? 우리 시대의 아픔 가운데, 하나님을 영원토록 즐거워하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의 삶을 다시 점검하였으면 합니다.

 

카이스트에서 일어난 이번 일을 통하여 카이스트만이 아니라, 우리의 모습도 다시금 살펴보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슬픔의 당사자가 우리 가족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모두 정신을 차리고 아픔을 막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11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77) 전북 내장산 file 최용우 2011-05-05 953
7210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76) 강원 설악산 file 최용우 2011-05-05 897
7209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75)경기 가평 운악산 file 최용우 2011-05-05 860
7208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74)울산 신불산 file 최용우 2011-05-05 816
7207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73) 광주 무등산 file 최용우 2011-05-05 785
7206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72)부산 금정산 file 최용우 2011-05-05 1029
7205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71) 경남 합천 가야산 file 최용우 2011-05-05 780
7204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70)경북 문경 희양산 file 최용우 2011-05-05 781
7203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69) 강원 삼척·동해 두타산 file 최용우 2011-05-05 883
7202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68) 전남 담양·전북 순창 추월산 file 최용우 2011-05-05 1146
7201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67) 서울 도봉산 file 최용우 2011-05-05 953
7200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66)경북·구미·구미산 file 최용우 2011-05-05 703
7199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65)지리산 file 최용우 2011-05-05 636
7198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64)강원 인제·홍천 방태산 file 최용우 2011-05-05 878
7197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63) 경남 밀양·울산 울주 재약산 file 최용우 2011-05-05 890
7196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62)소백산 file 최용우 2011-05-05 764
7195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61)전남 신안군 홍도 ‘깃대봉’ file 최용우 2011-05-05 832
7194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60)전북 고창 선운산 file 최용우 2011-05-05 1006
7193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59) 충청도 천태산 file 최용우 2011-05-05 1515
7192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58)강원 춘천·화천 오봉산 file 최용우 2011-05-05 916
7191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57)경기 포천 백운산 file 최용우 2011-05-05 850
7190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56) 경남 통영 미륵산 file 최용우 2011-05-05 1097
7189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55)경북 김천 황악산 file 최용우 2011-05-05 951
7188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54)전남 해남 두륜산 file 최용우 2011-05-05 813
7187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53)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 file 최용우 2011-05-05 709
7186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52)강원도 정선·평창 백운산 file 최용우 2011-05-05 1284
7185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51)경기·강원 화악산 file 최용우 2011-05-05 768
7184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50) 울진·삼척 응봉산 file 최용우 2011-05-05 1005
7183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49)서울 북한산 file 최용우 2011-05-05 677
7182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48)충남 공주 계룡산 file 최용우 2011-05-05 825
7181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47)대구 달성군 비슬산 file 최용우 2011-05-05 666
7180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46)강원 홍천군 가리산  file 최용우 2011-05-05 844
7179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45)충남 예산군 덕숭산 file 최용우 2011-05-05 744
7178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44)울릉도 성인봉 file 최용우 2011-05-05 733
7177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43)전북 장수 장안산 file 최용우 2011-05-05 1278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