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실패한 사실보다는 해석이...

김필곤 목사............... 조회 수 2673 추천 수 0 2011.04.23 13:09:40
.........

실패한 사실보다는 해석이...

 

'패배 감각 지수'라는 말이 있습니다. 세상을 살면서 당하는 실패나 패배에서 느끼는 좌절감을 지수(指數)로 나타낸 것입니다. 좌절감을 전혀 느끼지않는 상태를 제로(0), 혹심하게 느끼는 상태를 마이너스 10, 오히려 발전적 계기로서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상태를 플러스 10으로 한다면, 유태인계가+5, 영국이나 독일 등 게르만계 미국인이 +3, 라틴계 미국인이 -2로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나무 하나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반복되는 계절의 변화를 맛보야 하듯이 인생의 과정에는 실패나 패배는 당연히 걸어가야 할 다리 중에 하나입니다. 실패할 때 체념이나 절망, 자조(自嘲)로 합리화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실패할 때 끝장이라는 패배감을 가지고 부끄러워 할 필요도 없습니다. 살면서 감기를 앓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실패할 때 사람들은 맨먼저 그 현장에서 도망하고 싶어합니다. 결혼 실패, 사업실패, 신앙실패, 진학실패, 연애실패 등 실패를 하면 우선 그 현장에서 도피하면 모든 것이 해결될 걸로 생각합니다. 자동차 연수하다가 사고를 당하면 다시는 핸들을 잡기 싫은 것이 인간의 마음입니다. 무엇인가 의욕을 가지고 하다가 다른 사람들로부터 비난의 소리를 들으면 "그만두자 집어치우자 돈주나
밥주나?"하며 떠나버리면 된다고 생각하기가 쉽습니다. 스탈린이 집권을 시작하자 마자 제일먼저 한 일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것은 자기의 어린 시절에 알았던 친구를 하나씩 다 죽여 버리는 일 이었다고 합니다. 그의 실패했던 부끄러운 과거를 영원히 다 묻어 버리기 위해서였다고 합니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 나의 실패가 드러나고 다른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게 되면 분노하게 되고 수치심을 느낍니다. 그래서 이것을 처리하기 위하여 과거의 실패를 망각하거나 실패를 미화시킵니다. 그러나 실패를 억지로 망각 할 필요도 그럴듯하게 미화시킬 필요도 없습니다. 사실 성공보다는 실패를 통하여 우리는 더 많은 기름진 인생을 경험하게 됩니다. 영국의 시인 L. 모리스는 "하나의 고상한 실패가 많은 저속한 성공보다 낫다"고 하였고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빌 게이츠는 "성공을 축하하는 일이 좋은 일이긴 하나 보다 중요한 건 실패에서 교훈을 얻는 일이다. 당신이 실패했을 때 당신은 보다 창조적이 되고 밤낮없이 보다 깊이 천착하고 보다 열심히 생각하게 된다." 사람들은 어찌된 일인지 성공만을 추구합니다. 어떤 경우에도 실패를 용납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자녀를 기르는 부모 입장에서도 자녀들이 성공하기만을 바랍니다. 그러다 보니 실수할 기회를 박탈해
버려 결과적으로 실패에서 얻는 교훈을 피부로 체험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전쟁은 전술에서 질지라도 전투에서 이기면 되는 것입니다. 문제를 봄으로 그 문제를 뛰어 넘을 수 있는 능력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헬렌켈러는 보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고 듣지못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것은 통하여 인류에 그 고통의 현장에서 살지 않은 사람은 결코 남길 수 없는 정신적 유산을 남겨 놓았습니다. 아인슈타인은 대입 떨어지고 남에게 조롱거리가 되었지만 그 경험은 그를 위대한 과학자가 되게 하는데 오점을 남기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링컨은 초등학교도 제대로 다니지 못한 사람입니다. 그는 많은 실패를 경험한 사람입니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은 링컨을 결코 패배자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갈릴레오는 양복점 직공이었고 이스라엘 베긴 수상은 폴란드 빈민촌의 장난꾸러기였으며 이집트의 사다트는 가난한 농부로 반역죄에 처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아무도 갈릴레오는 양복점 직공으로 부르지 않고 베긴 수상을 장난꾸러기로, 사다트를 반역자로 부르지 않습니다. 발명왕 토마스 에디슨은 매우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고 합니다. 그가 초등학교에 다닐 때 담임교사가 머리가 너무 나빠서 아무리 가르쳐도 안되니 집에서 가르쳐 보라고 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의 어머니는 낙심하지 않고 열심히 가르치며 약해지지 않도록 힘을 달라고 하나님께 간절히 기도했답니다.

11 살이된 에디슨은 기차 한 모퉁이에서 신문팔이를 하면서 실험을 하다가 기차 내에 불을 일으켜 차장에게 따귀를 맞고 한쪽 귀의 청력을 잃기도 했지만 어려운 처지에서도 그는 굴하지 않고 노력하여 2천여종 이상의 발명품을 내서 발명왕이 되었습니다. 그는 늘 기도하고 감사하는 신앙의 사람이었는데 전구를 발명하고 완성할 때까지 무려 12만번이나 기도하고 1만번이나 실험을 했다고 합니다. 한번 실패하면 3시간을 기도했던 그였지만 1914년 66세되던 해 미국 뉴저지주의 웨스트 오래곤에 있는 그의 실험실이 몽땅 불에 타버렸습니다. 그 때 그는 아들에게 "잿더미 속에도 위대한 가치가 있다. 나의 모든 실수는 다 불타버렸고 새롭게 출발하게 되었으니 하나님께 감사한다"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페스탈로치는 25세에 고향 취리히에서 멀지 않은 곳에 이상촌을 건설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습니다. 빈민학교 설립, 80명의 고아를 모아 교육시켰지만 실패했고, 20년 동안 이상적인 학교를 꿈꾸었지만 그의 두 직원의 반목과 불화로 문닫았습니다. 그러나 아무도 그의 인생을 실패자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인생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어떤 사건이 일어난 사실보다는 그 사실을 해석하는 해석 작업입니다. 예수님을 배반하고 도망간 베드로를 찾아 오셔서 삶의 동기와 소명을 회복하시는 예수님은 한 해의 끝에도 우리를 찾아 오십니다. 중요한 것은 과거가 아닙니다. 과거를 해석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현재의 자세입니다.

실패한 사실보다는 해석이.../김필곤 목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2460 한 주간의 은혜 김필곤 목사 2011-09-24 2676
32459 샬롬’의 근원 최낙중 목사 2011-06-11 2676
32458 오늘이 곧 미래다 장학일 목사 2011-05-13 2676
32457 우리편에 계시는 여호와 - 시124편 이동원 목사 2011-01-19 2676
32456 고정관념 깨기 한태수 목사 2010-09-06 2676
32455 어떻게 평안을 소유할 수 있는가 존 맥스웰 2010-04-16 2676
32454 [산마루서신] 나귀를 타신 예수 file 이주연 2008-04-14 2676
32453 세 종류의 인간 스타일 김학규 2013-08-26 2675
32452 하나님을 기쁘시게 이주연 목사 2013-06-18 2675
32451 변화시키는 하나님 김장환 목사 2013-05-05 2675
32450 노래하는 종달새 김장환 목사 2011-02-19 2675
32449 예수님의 손 김장환 목사 2010-03-25 2675
32448 하나님의 나라는 파티 이재기 2010-01-02 2675
32447 민들레 꽃 피다 김장환 목사 2009-11-03 2675
32446 어느 대장장이의 기도 이동원 목사 2009-11-02 2675
32445 1%의 행복 징검다리 2006-12-26 2675
32444 위대한 스승 공수길 목사 2013-08-24 2674
32443 민들레 씨앗 file 김민수 목사 2013-05-13 2674
32442 6가지 덕행 김장환 목사 2012-02-19 2674
32441 행복한 교회 김장환 목사 2010-11-19 2674
32440 거룩이란 이주연 목사 2009-02-28 2674
32439 예배와 성령 김인철 2004-04-15 2674
32438 주님이 기뻐하십니까? 서정호 목사(영암교회) 2013-09-14 2673
32437 바다가 바다인 이유 file 임화식 목사(순천중앙교회) 2011-09-14 2673
» 실패한 사실보다는 해석이... 김필곤 목사 2011-04-23 2673
32435 [지리산 편지] 선한 목자와 악한 목자 [1] 김진홍 2006-08-26 2673
32434 항생제 내성 이제 끝 김계환 2012-07-27 2672
32433 거짓말 경쟁력 김필곤 목사 2011-06-03 2672
32432 이순신에 대한 일본의 기억 전병욱 목사 2010-09-23 2672
32431 가정을 지키는 신호등 이광호 목사 2010-05-12 2672
32430 이순신 장군의 일기 김장환 목사 2010-04-30 2672
32429 불변하는 영원한 사랑 김학규 2010-03-30 2672
32428 달고 오묘한 믿음의 말씀! 이정수 목사 2010-01-03 2672
32427 기도의 힘 복음 2005-09-05 2672
32426 신앙의 열매와 생명력을 원하셨다 권혁승 교수 (서울신대 구약학) 2012-11-10 2671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