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편견의 늪

김필곤 목사............... 조회 수 3257 추천 수 0 2011.05.01 23:59:51
.........
편견의 늪

아이들이 쓰는 말 중에는 범생이라는 말과 날라리라는 말이 있습니다. 범생이는 학교에서 공부도 잘하고 부모님 말씀도 잘 듣는 모범생을 범생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공부도 하지 않고 문제가 있는 아이들을 날라리라고 한다고 합니다. 범생이와 날라리에 대하여 이런 유머가 있습니다. 범생이가 지각을 했습니다. 그러면 선생님은 "오~어제 밤새워서 공부했구나"라고 칭찬을 한답니다. 그런데 날라리가 지각을 하면 "이 쫘아식~어제 뭐하다 이제와 응~!"하면서 매를 맞는답니다. 범생이가 수업시간에 코피나면 "이런 좀 쉬어가며 공부하렴"하고 양호실에 대려다 주지만 날라리가 수업시간에 코피 흘리면 "야 임마! 누가 수업시간에 콧구멍 후비라 그랬어?"라며 두들겨 맞고 "야 이 자식! 바른대로 말해 너 어제 밤에 뭐해써?"하며 괜히 오해를 받는다고 합니다. 범생이가 소풍이나 수학여행 때 어설픈 춤을 춰도 "이야..춤까지 출 줄아네.. 역시 달라.."라고 부러움을 사지만 날라리가 소풍이나 수학여행 때 멋있는 춤을 추면 "저..저..저 꼬락서니하고는 저러니 맨 날 뒤에서 허우적대지..."라는 말을 듣는다는 것입니다. 범생이가 자율학습 빠지며 학원이나 과외 받는다고 하면 "그래 열심히 하렴"하고 격려를 받지만 날라리는 "임마! 자율학습이나 잘해, 돈 썩히지 말고"라는 말을 듣는다는 것입니다.

사람의 편견이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는 말입니다. 한번 모범생이라는 생각을 가지면 그가 무엇을 하든지 잘 보게 됩니다. 그러나 한번 문제아라고 생각하면 그가 무엇을 하던지 문제아의 행동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공부만 잘하면 모든 것을 잘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공부를 못하면 모든 것을 못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이런 것을 편견이라고 합니다. 한쪽으로 기울어진 생각입니다. 학문적 정의로는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해 사실상의 근거 없이 지니고 있는 완고한 의견"입니다. 한가지 것을 가지고 전체로 판단하는 그릇된 생각입니다. 어느 시점에 가지고 있는 생각의 잣대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대도 자신은 그것을 그릇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하고 그렇게 판단하면서 살아가는 것입니다. 소아마비 장애인으로 방송작가가 되어 방송MC로 장애인 문예지 「솟대문학」발행인으로 활동하시는 방귀희씨가 "21세기를 위해 우리가 버려야 할 77가지 편견 버리면 자유로워진다"는 책에는 우리 인간이 가지고 있는 편견을 7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편견, 관습적 편견, 사고적 편견, 성(性)적 편견, 시각적 편견, 문학적 편견, 현상적 편견 등입니다.

철학자 베이컨은 인간 중심적 사고에서 오는 편견 4가지를 말했습니다. 그는 이것을 우상으로 말하고 있는데 종족 우상, 동굴 우상, 시장 우상, 극장 우상 등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는 지금 편견의 늪에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특정 지역에 대한 지역적 편견의 늪이 있습니다. 그래서 특정 지역 사람들은 다 사기꾼이라고 생각하며 자녀를 그 지역 사람하고는 결혼을 시키지 않습니다. 정치인을 뽑으면 그 지역 사람은 절대 뽑지 않습니다. 사람의 외모에 대한 편견이 있습니다. 잘 생긴 사람은 능력있고 선하며 못 생긴 사람은 악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여성과 남성에 대한 편견이 있습니다. 여성이 운전하다가 사고를 당하면 집에서 애나 보지 왜 나와서 길을 붐비게 만드냐고 핀잔을 줍니다. 신세대외 기성 세대에 대한 편견이 있습니다. 늙은 사람은 빨리 죽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이 있습니다. 아침에 장애인을 보면 재수 없다고 합니다. 장애인이 애인과 함께 걸어가면 장애인도 애인이 있느냐고 말합니다. 학벌에 따른 편견이 있습니다. 일류 학교만 나와야 행복하고 출세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부자와 가난한 자에 대한 편견, 교회에 대한 편견이 있습니다. 불완전한 인간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사는 사회에 편견이 없을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편견이 정도를 넘어서면 그 사회는 감정이 지배하는 사회가 되고 삶의 질이 낙후된 편견의 감옥이 되는 부자유스런 사회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인간 사회에 편견의 늪에서 벗어나야 좀더 살만한 사회, 질 좋은 사회가 될 수 있습니다.

편견에서 벗어나려면 먼저는 자신의 시각을 객관화해야 합니다. 부분에서 전체를 보는 시각을 가져야 합니다. 코끼리 전체를 보는 시각입니다. 앎의 범위를 넓히는 것입니다. 편견이란 것은 한 쪽만을 알기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내 경험을 전부라고 생각하지 말고 상대의 또 다른 경험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사람은 자신이 경험한 것이 전부라고 생각하고 그것을 절대화시킬 때 편견의 감옥에서 벗어날 수가 없습니다. 내가 경험하지 않았다고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인간의 경험은 한계가 있습니다.
셋째는 어느 일정한 시점을 중심으로 견해보다는 인생 전체를 통해 바라보는 시각을 가지는 것입니다. 자기 중심적인 사람들은 어느 일정한 시점을 전체로 알고 그것에 얽매여 인생을 바라보고 판단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어릴 때 무능한 사람이라고 어른이 되어서도 무능한 것은 아닙니다. 군대 졸병이라고 사회 졸병일 수 없고 자기의 제자가 교수가 되었다고 자신보다 실력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편견의 늪에서 벗어나는 것은 쉽지 않으나 예수님을 영접하여 주님의 시각을 가지면 조금은 편견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 (고후 5:17)"

편견의 늪/김필곤 목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34630 [산마루서신] 자유인의 여유 file 이주연 2005-02-02 1283
34629 [산마루서신] 이런 시간을 가지십시오 file 이주연 2005-02-02 1249
34628 한 무사의 삶 file 이주연 2005-02-02 1312
34627 [산마루서신] 존재의 이유 file 이주연 2005-02-02 1288
34626 [산마루서신] 진리에 몸을 맡겨야 file 이주연 2005-02-02 1248
34625 자! 우리 수고하십시다 고신일 2005-02-02 1280
34624 인생의 발자취 이문희 2005-02-02 1319
34623 어느 졸업생의 고백 장유람 2005-02-02 1298
34622 예배를 하나님은 기뻐하실까? 정장복 2005-02-02 2617
34621 약점과 결점이 있어도 윤영준 2005-02-02 1327
34620 주님, 사랑해요 김인철 2005-02-02 1211
34619 왜 한계가 있습니까? 신경직 2005-02-02 1353
34618 작은 것부터 감사하는 삶 김서택 2005-02-02 2644
34617 전진과 상승 정명식 2005-02-02 1211
34616 사탄의 유혹 초전 박살 내기 양은식 2005-02-02 2406
34615 치명적인 구슬 웨인 2005-02-02 1301
34614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대희 2005-02-02 1348
34613 메일 책벌레 209호 |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file 마중물 2005-02-03 1505
34612 메일 책벌레 210호 | 즐거운 책 읽기 & 인 간의 일생 file 마중물 2005-02-03 1556
34611 메일 책벌레 211호 | 노른자 계명 file 마중물 2005-02-03 1693
34610 메일 책벌레 212호 | 하나님과 함께 뛰는 나의 후반전 마중물 2005-02-03 2884
34609 [삶의 씨앗:] 짧은 말씀, 깊은 생각 219호 박재순 2005-02-05 1400
34608 [삶의 씨앗:] 짧은 말씀, 깊은 생각 220호 박재순 2005-02-05 1406
34607 [삶의 씨앗:] 짧은 말씀, 깊은 생각 221호 박재순 2005-02-05 1306
34606 [삶의 씨앗:] 짧은 말씀, 깊은 생각 222호 박재순 2005-02-05 1340
34605 [삶의 씨앗:] 짧은 말씀, 깊은 생각 223호 박재순 2005-02-05 1458
34604 [삶의 씨앗:] 짧은 말씀, 깊은 생각 224호 박재순 2005-02-05 1512
34603 [삶의 씨앗:] 짧은 말씀, 깊은 생각 225호 박재순 2005-02-05 2169
34602 사람의 크기 안사무엘 2005-02-06 1246
34601 철저한 순종 리차드포스트 2005-02-06 7486
34600 우리의 율법 vs. 하나님의 기쁨 김서택 2005-02-06 2024
34599 평범한 나, 비범하신 하나님 브라더 2005-02-06 1364
34598 세상에 속하지 않는 그리스도인 김윤희 2005-02-06 1999
34597 무엇을 선택 할 것인가? 데이비드 2005-02-06 2206
34596 하나님과 비극의 문제 빌 하이벨스 2005-02-06 1144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