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수치가 아닌 능력

김필곤 목사............... 조회 수 2302 추천 수 0 2011.05.08 23:41:21
.........

수치가 아닌 능력

 

범죄인의 생명을 박탈하여 그를 사회로부터 영구히 제거시키는 형벌을 사형. 생명형·극형(極刑)이라고도 합니다. 사형은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형벌입니다. 고대와 중세 때는 사형이 주된 형벌이었습니다. 중세 영국에서는 헨리 8세는 7만 2천 명 가량의 절도범을 사형에 처했고 엘리자베스 왕조시대에는 8만 9천 명이 교수대의 이슬로 사라졌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러나 18세기 서구 계몽주의 사상이 '인간의 존엄성’을 일깨워 주면서 사형은 점차 줄어들기 시작하였고 요즈음은 사형 반대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현재 법률상 모든 범죄에 대해 사형을 폐지한 국가는 독일, 프랑스 등 34개국이나 되고 전시범죄(戰時犯罪), 군범죄를 제외한 일반범죄에 대해 사형을 폐지한 국가는 스위스, 영국 등 18개국이나 됩니다.

사실상으로 사형집행을 하지 않는 국가는 78개국으로 되어 있습니다. 아직도 101개국에서는 사형을 집행하고 있지만 사형을 집행하는 방법은 시대마다 나라마다 다릅니다. 단두대 사형법을 집행하는 나라도 있고 교수형, 사약, 수몰형, 혹은 총살형을 집행하는 나라도 있습니다. 사형을 집행하되 최대한 고통을 적게 주는 쪽으로 나가고 있습니다. 1889년 이후 미국에서는 주로 전기 충격법이 사용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군인은 총살형, 일반인은 교수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최대한 고통을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근대사법제도가 출범한 후 첫 사형선고는, 1895년 3월 29일 권설 재판소에서 녹두장군 전봉준(全琫準)이 교수형을 받은 것이 처음입니다. 옛날에는 우리나라에 참수형이 있었습니다. 지금 서소문(西小門) 근처에 죄수를 죽이는 형장(刑場)이 있었다고 합니다. 형을 집행하는 자는 망나니인데 정식 직명은 행형쇄장(行刑鎖匠)이요, 속칭으로는 회자수라고도 하고 희희닥 거리며 칼을 놀린다 하여 희광이라고도 했다고 합니다. 망나니는 대체로 집행을 유예받은 사형수(死刑囚)가 맡게 마련인데 망나니짓을 하면 일정기간 사형 집행을 연장받는 데다가 집행 전야에 술, 고기, 밥을 실컷 먹을 수 있으며 집행 과정에서 죄인의 가족들로부터 행하(行下=팁)을 받을 수 있기에 망나니 지원을 많이 했다고 합니다. 망나니가 칼을 휘두르며 춤추듯 군중 앞을 돌아다니면 죄인의 가족들이 돈을 던지는데 가급적 이죽거려 사형수에게 고통을 주지말고 단칼에 죽을 수 있도록 해달라는 슬픈 뇌물인 것입니다. 누구나 극형을 받더라도 고통스럽지 않고 죽기를 원할 것입니다.

극형 가운데 가장 고통스러운 극형으로 알려진 형벌은 십자가형입니다. 페르시아에서 사용한 사형법입니다. 이것이 로마에까지 내려와 로마시대에도 자국민에게는 사용하지 않았지만 이방인에게는 십자가 처형을 했습니다. 페르시아에서 십자가 처형을 한 것은 ①신성한 땅에서 죄인을 죽이면 땅이 더러워진다고 믿었고 ②흉악한 죄인은 십자가에 달려서 새에게 뜯기는 고통을 당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십자가의 고통은 처절하였다고 합니다. 많은 백성들 앞에 벌거벗는 수치는 물론 못에 손과 발이 찔리는 고통을 당하였습니다. 채찍질로 고통을 당하였습니다. 당시의 채찍의 끝에는 날카로운 뼛조각, 납, 쇳조각 등을 묶어 놓아서 그 채찍으로 맞으면 살점이 툭툭 떨어져 나갔다고 합니다. 2-3일 동안 바로 죽지 않고 낮의 태양과 밤의 추위의 고통을 당하는 그야말로 말로 피를 다 쏟고 말라죽는 고통과 새와 벌레들이 살을 쪼아먹는 고통을 당했습니다. 그래서 십자가 처형의 모습을 본 사람은 악몽에 시달렸고 로마 군인들도 십자가 이야기를 싫어했다고 합니다. 심지어 로마 황제는 식사시간에 누가 십자가 이야기를 하면 끌어다가 매질을 했을 정도였고 십자가의 고통이 너무 커서 이방인만 십자가 처형을 했지, 로마 시민은 절대로 십자가의 처형을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예수님은 33살의 젊은 나이에 바로 이 십자가형을 당하시고 돌아가셨습니다. 예수님을 따르던 제자들 앞에 수치를 당하였습니다.

군인들은 예수께 자색 옷을 입히고, 가시 면류관을 엮어 씌우고, "유대인의 왕이여 평안할지어다." 하면서 갈대로 머리를 치며 침을 뱉으며 꿇어 절하며 조롱했습니다. 유대교 지도자들은 로마 군인들과 합세해서 예수님을 불법자로 취급하여 두 강도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고는, "저가 남은 구원하였으되 자기는 구원할 수 없도다."라고 비아냥거렸습니다. 일반인들은 극도의 고통과 극도의 치욕에 시달리는 예수님을 보면서 불쌍히 여기는 대신에, 머리까지 흔들면서 "아하, 성전을 헐고, 사흘에 짓는 자여! 네가 너를 구원하여 십자가에서 내려 오라." 하면서 모욕을 퍼부었습니다. 어쩌면 이 십자가는 수치일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십자가는 결코 수치가 아니었습니다. 능력의 십자가, 자랑의 십자가, 영광의 십자가였습니다. 우리의 죄의 문제, 영혼의 문제, 우리의 죽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십자가였습니다. 고린도전서 1장 18절에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얻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십자가는 수치가 아닙니다. 십자가는 실패가 아니라 하나님의 능력입니다. 인생의 죄와 죽음의 문제는 십자가 외에는 풀 방법이 없습니다. 십자가는 우리의 삶의 질을 변화시키는 능력입니다. 700년 전 이사야 선지자를 통하여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신 이유를 설명하였습니다.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을 인함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을 인함이라 그가 징계를 받음으로 우리가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가 나음을 입었도다(사 53:5)"

수치가 아닌 능력/김필곤 목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9625 구찌와 쿠치 사이에서 이동원 목사 2010-05-07 2304
29624 좋은편을 택하는 것 [1] 정원 목사 2010-02-01 2304
29623 땅끝에 남은 자 여운학 2009-04-20 2304
29622 인생 승리는 절망 속에서 쏟은 뜨거운 눈물의 결과입니다. 김필곤 2008-02-06 2304
29621 평생 사명과 믿음 손경구 2005-02-28 2304
29620 아름다운 섬김, 조덕삼 장로님 file 김철규 목사(서귀포성결교회) 2014-01-15 2303
29619 숨겨진 가능성 김장환 목사 2012-08-19 2303
29618 아내의 얼굴 김필곤 목사 2011-05-01 2303
29617 아름다운 벽돌 길을 만든 소년 김장환 목사 2011-01-31 2303
29616 비난의 힘 file 홍정길 목사 2010-07-15 2303
29615 나침반 없는 항해 로이드 2006-11-11 2303
29614 얍복 나루터에서의 승리 이주연 목사 2013-08-05 2302
29613 야곱의 고난 김장환 목사 2013-02-04 2302
29612 어머니의 사랑 김장환 목사 2011-12-16 2302
29611 등잔이 없는 예배 예수감사 2011-11-05 2302
29610 자기 상품화와 십자가 김필곤 목사 2011-10-24 2302
» 수치가 아닌 능력 김필곤 목사 2011-05-08 2302
29608 염분만 가득한 죽음의 호수 김학규 2011-04-19 2302
29607 지혜롭게 기도하기 김장환 목사 2011-01-31 2302
29606 축제의 5월은 흘러가고 전병욱 목사 2010-05-18 2302
29605 네가 원하는 대로 하라 이주연 목사 2010-02-11 2302
29604 그분이 회복하신다 정영진 2009-10-03 2302
29603 신앙 점검 file 설동욱 2006-08-08 2302
29602 커닝·무단횡단·거짓말 가장 크리스천답지 못해 노희경 기자 2013-08-30 2301
29601 정신신체 의학 황성주 박사 2011-05-20 2301
29600 가치 있는 삶 예수천국 2010-12-01 2301
29599 성공한 사람들의 15가지 특징 징검다리 2006-11-15 2301
29598 은혜를 체험하는 길 file 김석년 2004-12-19 2301
29597 암소 아홉 마리 예수은혜 2013-11-21 2300
29596 섬김의 삶 10계명 공수길 목사 2013-08-11 2300
29595 삶은 시간 게임이니 이주연 목사 2013-08-05 2300
29594 작은 틈새, 6개 김장환 목사 2011-05-27 2300
29593 즐거운 대화는 피로회복제! 황성주 박사 2011-04-28 2300
29592 한 몸이 된 온 가족 김장환 목사 2010-12-25 2300
29591 만약 오늘 저녁에 죽는다면 김장환 목사 2010-12-25 2300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