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올바른 자기 이해!

황성주 박사............... 조회 수 2459 추천 수 0 2011.05.12 15:27:38
.........

황성주 박사의 "3박자 건강"

 

58. 올바른 자기 이해!

 

"가정·사회의 불화 해결 실마리는 책임의식에서 찾아야"

 

인간은 누구나 자기자신만이 아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간은 누구나 실수하면서 살아간다. 인간 됨됨이의 위대성은 실수하지 않는 데 있는 것이 아니다.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 거목은 썩은 부분도 많다는 옛말이 있듯이 아무리 존경받는 사람이라도 치명적인 약점과 나름대로의 한계를 가지고 살아간다. 이렇듯 인간에게는 자기자신을 바르게 파악하는 지식과 능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자기자신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올바른 자기이해는 그 사람을 위대하게 만든다.

 

링컨이래 미국의 가장 도덕적인 대통령이고 평가받고 있는 카터 대통령의 책상에는 항상 ‘모든 책임은 여기서 종결’이라는 글이 적혀 있었다고 한다. 소인은 책임을 전가하고 대인은 책임을 진다는 말이다.

 

현대는 거인이 없는 시대이다. 한강다리가 끊어지고, 백화점이 무너지고, 가스폭발사고가 일어나고 아무도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현대인이 받는 스트레스 중의 하나는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를 인정하기가 죽기보다 싫다는 것이다.

 

이른바 자기자신에게 정직할 수 없는 중병을 집단적으로 앓고 있는 것이다. 가정이나 직장에서 불화 중 많은 부분이 ‘내가 잘못했소’, ‘모든 것이 내 책임입니다’, ‘미안합니다’ 등 진심 어린 한 마디로 해결될 수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끝내 싸움으로 폭발하는 엄청난 대가를 치르고 있는 것이다. 이런 심리는 우월감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깊은 열등감에서 근원되는 것이다.

 

일이 조금만 잘 되면 모든 것이 내 탓이고 일이 잘못되면 남의 탓이요 사회구조의 탓으로 돌리고 싶은 것이 이런 콤플렉스형 인간의 자연스런 생리다.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를 인정하는 날이면 자신의 체면이나 명예가 손상당한다고 굳게 믿고 있다. 일종의 심한 노이로제 증세라 할 수 있다. 물론 완벽주의에서 나온 발상일 수도 있고 책임 한계가 분명치 않은 다원적 사회의 달갑지 않은 유산일 수도 있다.

 

자신이 책임지지 않는 한 변명이나 합리화밖에는 다른 대안이 없다. 물론 정당한 이유가 있다면 당당하게 해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진실의 바탕을 벗어나는 경우 설사 변명이나 임기응변으로 위기가 극복되었다해도 자기자신은 속일 수 없으니 결과는 항상 찜찜할 수밖에 없다. 인간은 누구나 실수할 수 있고 잘못 판단할 수도 있다. 나도 평범한 인간임을 보여주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4324 어떤 선교 file 고훈 2005-10-28 1822
24323 무덤에서 발견한 희망 file 임한창 2005-06-16 1822
24322 비전과 현실의 관계는? [1] 이정수 목사 2002-11-24 1822
24321 지혜 이주연 목사 2013-12-07 1821
24320 분노의 힘 김필곤 목사 2013-06-26 1821
24319 20년만의 진실 낮은울타리 2013-01-29 1821
24318 물 부족에 몰이해 까지 이주연 목사 2010-03-15 1821
24317 절망과 좌절 file 신경하 2007-12-01 1821
24316 자일(Seil) file 설동욱 2006-02-20 1821
24315 무속 알림이에서 예수 알림이로 김장환 목사 2013-02-21 1820
24314 구한 것을 받으라 김장환 목사 2013-02-04 1820
24313 생각해보라 김장환 목사 2012-11-03 1820
24312 천국으로 보낸 재료 이동원 목사 2009-05-20 1820
24311 사랑하니까, 그리고 또 사랑하니까 고도원 2008-12-05 1820
24310 [지리산 편지]한국의 젓가락 문화와 황우석 교수 팀 김진홍 2005-05-28 1820
24309 [마음을] 뼈대가리 래리 2007-07-21 1820
24308 자녀의 전설이 되는 부모 file 임종수 2005-02-19 1820
24307 자신을 뛰어넘는 기도 file 이상화 목사(드림의교회) 2014-02-26 1819
24306 마음의 통 공수길 목사 2013-11-10 1819
24305 돌아와야 산다 김장환 목사 2013-08-09 1819
24304 인간 자석 김계환 2012-01-04 1819
24303 우리는 너무 많은 것을 누리고 있지 않습니까? 박동현 교수 2010-01-30 1819
24302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전할 말씀 이동원 목사 2009-06-15 1819
24301 [지리산 편지] 느헤미야의 개혁운동 김진홍 2006-06-27 1819
24300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토저 2007-06-19 1819
24299 보혈의 꽃 용혜원 2004-11-03 1819
24298 온유한 사람 김장환 목사 2013-10-07 1818
24297 나의 버킷 리스트를 찾아 떠나는 설악 여행1 이주연 목사 2013-08-20 1818
24296 재조명된 팬다곰의 엄지 김계환 2013-01-09 1818
24295 탄소년도측정이 노아의 홍수를 지지한다 김계환 2012-07-08 1818
24294 오사카-고베-교토 여행기(2) 이정수 목사 2009-11-28 1818
24293 헬렌 켈러의 소원(4) 이주연 목사 2009-07-06 1818
24292 하나님 앞에 나아올 수 있는 자격 브리스코 2009-06-08 1818
24291 하나님이 주신 식물 김짐홍 목사 2002-10-02 1818
24290 평화의 하나님 file 신경하 2008-03-29 1818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