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믿음인가? 믿음직함(신실함)인가?

무엇이든 진실............... 조회 수 2059 추천 수 0 2011.07.23 12:04:14
.........

 

 

 7.jpg

이신칭의 바로알자! 

신실함(에무나)과 믿음(피스티스)!

 

 1)     들어가면서

 

오직 믿음으로만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마틴루터의 주장은 종교개혁의 기본골격이다. 중세의 종교인들은 행위로 구원을 얻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었지만 루터의 이 신학은 인간의 행위와 상관없이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인간의 행위의 어쩔 수 없는 부족함을 강조한 교리이다.

 

그러나 이 교리 때문에 현대의 많은 성도들이 행위에 대하여 책임이 없어졌다. 어차피 인간의 행위로는 구원을 받을 수 없고 그래서 예수님께서 오셔서 이 모든 책임을 져주셨기 때문에 우리는 거저 예수님을 입술로 믿기만 하면 구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진짜로 그럴까? 루터가 생각했던 이신칭의가 과연 이것일까? 아니면 루터는 당시의 역사적 배경에서 이런 교리를 생각하였는데 시대가 바뀌면서 왜곡되었을까? 성경에서 말하는 믿음이란 단어의 뜻은 과연 무엇일까? 성경에서 그 뜻을 다시 한번 살펴보자.

 

2)     구약의 에무나

 

구약에서는 믿는다라는 동사는 138번 나오지만

믿음이란 명사는 찾기가 힘들다. 동사가 나오는 예는 다음과 같다.

`hq")d"c. ALß h'b,îv.x.Y:w: hw"+hyB;¥ !mIßa/h,w>  WTT Genesis 15:6

 

(직역) 그가 여호와를 믿었다. 그래서 여호와께서 그것을 아브람의 의로 여기셨다.

 

여기서 쓰인 믿는다란 동사는 아만의 히필 형태인 헤에민(!mIßa/h,)이다. ‘아만이란 동사가 히필 형태를 취할 때 믿는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아만(믿는다)’이란 동사의 명사형은 에무나(hn"Wma,)이고 구약성경에 49번 나온다. 당연히 이 명사는 믿음(faith)이란 단어로 번역되어야 할 것 같은데 실상은 그렇지 않다. 딱 한번 하밬쿸 24절인 경우만 빼고는 모두다 신실함(faithfulness)이란 단어로 번역된다. 왜 그럴까?

 

그것은 이 단어가 모두다 여호와 하나님과 관련해서 나오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여호와 하나님의 믿음이란 말은 말이 되지 않는다. 하나님께 무슨 믿음이 필요하겠는가? 믿음이 아니라 여호와 하나님의 신실함이라 해야 말이 된다.

 

따라서 여호와 하나님의 특성을 드러낼 때는 믿음이 아니라 신실함이란 뜻으로 나타나야 하는 것이다. 구약전체에서 에무나가 주로 이런 용도로 쓰인다. 따라서 믿음이란 단어로 번역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단 한군데 믿음이란 단어로 번역되었는데 그것은 하밬쿸 2 4절이다.

 

`hy<)x.yI Atðn"Wma/B, qyDIÞc;w> AB= Avßp.n: hr"îv.y"-al{ hl'êP.[u hNEåhi  WTT Habakkuk 2:4

 

(개역) 하박국 2:4 보라 그의 마음은 교만하며 그의 속에서 정직하지 못하니라 그러나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직역) 하밬쿸 2:4 보라 마음이 부풀어 그의 영혼이 바르지 않은 자를. 그러나 의인은 그의 신실함으로 말미암아 살 것이다.

 

이 하밬쿸 2 4절은 신약의 로마서 1 17절이나 갈라디아서 3 11절에서 인용하였다. 하밬쿸2 4절의 문맥상으로 볼 때 믿음으로 번역하건 신실함으로 번역하건 별문제가 없다. 오히려 구약 안에서 보면 전체적 일관성으로 볼 때 신실함이 더 합당하다. 49군데 중에서 별다른 이유없이 딱 한번만 다른 단어로 번역했다는 것은 쉽사리 납득하기 힘들다.

 

왜 영어성경이나 우리 한글개역은 갑자기 이곳에서 믿음(faith)이란 단어를 썼을까? 그것은 로마서 1 17절에서의 번역인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 것이다가 오히려 역으로 구약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신약을 먼저 번역하고 그 다음에 구약을 번역한 것이다. 그러면 신약의 상황은 어떠한가 살펴보자.

 

3)     신약의 피스티스

 

구약의 에무나에 대응되는 신약의 헬라어는 피스티스(pi,stij)’이다. ‘피스티스란 헬라어는 신약성경에서 243번 나온다. 거의 모두 믿음이란 단어로 번역되었다. 그러나 로마서 3 3절에서는 개역성경이 미쁘심이란 단어로 번역되었다. 그러나 여기 나오는 미쁘심이란 단어는 바로 하나님의 에무나로서 구약과의 연결을 생각한다면 신실하심으로 번역해야 한다.

 

 (개역) 로마서 3:3 어떤 자들이 믿지 아니하였으면 어찌하리요 그 믿지 아니함이 하나님의 미쁘심을 폐하겠느뇨

(직역) 로마서 3:3 참으로 만일 어떤 사람들이 믿지 않았다고 그들의 불신앙이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폐하겠습니까?

이와 같은 경우가 신약에 제법 나온다. 이 피스티스란 단어가 하나님이나 예수님과 관련될 때 어떻게 번역되어야 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여러 군데서 '믿음'대신에 '신실함'으로 번역되어야 할 것 같다.

 

갈라디아서 2 16절을 살펴보자.

 

BGT Galatians 2:16 eivdo,tej Îde.Ð o[ti ouv dikaiou/tai a;nqrwpoj evx e;rgwn no,mou eva.n mh. dia. pi,stewj VIhsou/ Cristou/( kai. h`mei/j eivj Cristo.n VIhsou/n evpisteu,samen( i[na dikaiwqw/men evk pi,stewj Cristou/ kai. ouvk evx e;rgwn no,mou( o[ti evx e;rgwn no,mou ouv dikaiwqh,setai pa/sa sa,rxÅ

 

(개역) 2:16 사람이 의롭게 되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서 난 것이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는 줄 아는 고로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믿나니 이는 우리가 율법의 행위에서 아니고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의롭다 함을 얻으려 함이라 율법의 행위로서는 의롭다 함을 얻을 육체가 없느니라

 

(직역) 2:16사람은 토라의 행위로 의롭게 되는 것이 아니고 예슈아 마쉬아흐의 신실함을 통하여 의롭게 되는 것을 우리가 압니다. 우리가 예슈아 마쉬아흐를 믿는 것은 토라의 행위가 아니고 마쉬아흐의 신실함으로 의롭게 되기 위함입니다. 이는 토라의 행위로는 어떤 육체도 의롭게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개역성경과 직역성경의 다툼은 의 신실함을 믿음의 다툼이다. 즉 소유격 조사로 번역해야 할 것인가 목적격조사로 번역해야 할 것인가의 싸움이다. 그런데 헬라어 원문 pi,stewj Cristou 는 소유격이다. 왜 소유격으로 번역해야 할 것을 굳이 목적격으로 바꿔 놓았을까? 라틴어 역인 불가타나 시리아역인 페쉬타나 옛날 스페인 번역이나 종교개혁이전의 영어번역인 위클맆이나 제네바성경은 소유격으로 번역하였다.

 

이 구절을 목적격으로 번역한 처음 인물은 마틴루터였다. 독일어번역을 할 때 이 구절을 그는 항상 Glauben an Christum으로 번역하였다. 왜 그는 이런 번역을 선택하였을까? 아마도 그의 이신칭의의 신학이 이런 번역을 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그의 번역 이후로 모든 영어성경은 이 번역을 따르게 되었고 중국어 성경 한국어 성경도 예외가 없었던 것이다. 문법적으로 무리가 있었던 번역인데도 불구하고 그의 신학이 이런 번역을 하게 하였고 그 이후의 모든 성경은 그의 신학을 따라 원문자체를 왜곡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와 관련된 구절들은 다음과 같다

 

( 17:31, 24:24, 26:18, 1:17, 3:3, 3:22, 3:25ff, 3:30f, 16:26, 2:16, 3:2, 3:5, 3:7ff, 3:11f, 3:14, 3:22ff, 5:5f, 5:22; 3:12, 6:23, 3:9, 2:12, 테후 2;13, 3:2, 팀전 1:14, 팀후 1:13, 3:15, 10:38f, 2:1, 계시 2:13, 14:12 )

 

4)     나가면서

 

이상 살펴 본대로 에무나란 단어는 본래 믿음이란 뜻의 단어가 아니었고 신실함이란 뜻의 단어였다. 그러나 신약에서 이 단어가 믿음(피스티스)이란 단어로 사용되었다. 그래서 신약에서는 피스티스가 믿음이란 단어로도 쓰이고 신실함이란 단어로도 쓰인다. 그러므로 믿음(피스티스)의 본래의 뜻은 에무나이며 에무나는 영어의 뜻이 가리키는 것처럼 신실함(faithfulness)이다. 신실함(faithfulness)이란 믿음(faith)이 적당한 상태가 아니고 믿음이 충만한(fullness) 상태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보통 믿음이라 쓰는 그 믿음은 믿음이 충만한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믿음은 항상 충만함을 가져야 하며 나아가서 더 나은 충만함을 향하여 나아가야 한다. 그 충만함의 끝은 예슈아 마쉬아흐의 신실함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신칭의의 신학은 루터가 의도했든 의도하지 안했든 믿음을 행위와 분리시킨 우를 범하였다. 믿음이란 단어와 신실함이란 단어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역할을 한다.

 

신실한 사람은 믿음이 있는 사람이고 신실하지 못한 사람은 믿음이 없는 사람이다. 따라서 믿음이 있는 사람은 그 믿음이 신실한 행동으로 나타나야 한다. 그래서 최후의 심판은 결국 그 사람의 신실한 행위로 심판을 받는 것이다. 자신의 믿음이 행위로 드러난 증거가 하나님 앞에서 자료로 제출되어야 할 것이다.

 

 

에무나가 49 나오는 구약의 용례  Exod. 17:12; Deut. 32:4; 1 Sam. 26:23; 2 Ki. 12:16; 22:7; 1 Chr. 9:22, 26, 31; 2 Chr. 19:9; 31:12, 15, 18; 34:12; Ps. 33:4; 36:6; 37:3; 40:11; 88:12; 89:2f, 6, 9, 25, 34, 50; 92:3; 96:13; 98:3; 100:5; 119:30, 75, 86, 90, 138; 143:1; Prov. 12:17, 22; 28:20; Isa. 11:5; 25:1; 33:6; 59:4; Jer. 5:1, 3; 7:28; 9:2; Lam. 3:23; Hos. 2:22; Hab. 2:4

피스티스가 243 나오는 신약의 용례 Matt. 8:10; 9:2, 22, 29; 15:28; 17:20; 21:21; 23:23; Mk. 2:5; 4:40; 5:34; 10:52; 11:22; Lk. 5:20; 7:9, 50; 8:25, 48; 17:5f, 19; 18:8, 42; 22:32; Acts 3:16; 6:5, 7; 11:24; 13:8; 14:9, 22, 27; 15:9; 16:5; 17:31; 20:21; 24:24; 26:18; Rom. 1:5, 8, 12, 17; 3:3, 22, 25ff, 30f; 4:5, 9, 11ff, 16, 19f; 5:1f; 9:30, 32; 10:6, 8, 17; 11:20; 12:3, 6; 14:1, 22f; 16:26; 1 Co. 2:5; 12:9; 13:2, 13; 15:14, 17; 16:13; 2 Co. 1:24; 4:13; 5:7; 8:7; 10:15; 13:5; Gal. 1:23; 2:16, 20; 3:2, 5, 7ff, 11f, 14, 22ff; 5:5f, 22; 6:10; Eph. 1:15; 2:8; 3:12, 17; 4:5, 13; 6:16, 23; Phil. 1:25, 27; 2:17; 3:9; Col. 1:4, 23; 2:5, 7, 12; 1 Thess. 1:3, 8; 3:2, 5ff, 10; 5:8; 2 Thess. 1:3f, 11; 2:13; 3:2; 1 Tim. 1:2, 4f, 14, 19; 2:7, 15; 3:9, 13; 4:1, 6, 12; 5:8, 12; 6:10ff, 21; 2 Tim. 1:5, 13; 2:18, 22; 3:8, 10, 15; 4:7; Tit. 1:1, 4, 13; 2:2, 10; 3:15; Phlm. 1:5f; Heb. 4:2; 6:1, 12; 10:22, 38f; 11:1, 3ff, 11, 13, 17, 20ff, 27ff, 33, 39; 12:2; 13:7; Jas. 1:3, 6; 2:1, 5, 14, 17f, 20, 22, 24, 26; 5:15; 1 Pet. 1:5, 7, 9, 21; 5:9; 2 Pet. 1:1, 5; 1 Jn. 5:4; Jude 1:3, 20; Rev. 2:13, 19; 13:10; 14: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21 무엇이든 나는, 네가 욕하는 만군의 여호와의 이름으로 나아간다..!! 말씀 2011-08-21 1338
7420 무엇이든 나는 그분의 낯을 피해 도망쳤다 file 삶의 예배 2011-08-21 1133
7419 무엇이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보혈은, 죄인에게 자비를 선포합니다! file 유익한 말씀 2011-08-20 1886
7418 무엇이든 회개를 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할 의지가 없는 것' 입니다. 말씀 2011-08-20 1158
7417 무엇이든 예수님의 우선순위 묵상 2011-08-20 1167
7416 무엇이든 죄 용서를 받은 것과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 묵상 2011-08-20 1008
7415 무엇이든 [만화]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등급입니까? file 삶의 예배 2011-08-20 969
7414 무엇이든 그리스도를 얼마나 사랑하십니까? 말씀 2011-08-19 1151
7413 무엇이든 기다려주시는 하나님 묵상 2011-08-19 1441
7412 무엇이든 진정한 사랑, 진정한 희생 감동 2011-08-19 1261
7411 무엇이든 기독교인들이여, 회개하십시오! file 묵상 2011-08-19 1064
7410 무엇이든 내가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박았다.. file 묵상 2011-08-19 3021
7409 무엇이든 [만화] 나는 죄인입니다 file 삶의 예배 2011-08-19 817
7408 무엇이든 난 처음 사랑을 버렸다 file 삶의 예배 2011-08-18 1231
7407 방명록 성령님 사모합니다. 준아빠 2011-08-18 31602
7406 방명록 빠르다,,,, [1] palbok91 2011-08-17 17198
7405 광고알림 경기] 성지교회 토요성령치유집회 주님사랑 2011-08-17 1231
7404 광고알림 제1회 세종시 연합 특별 찬양집회 file 김은희 2011-08-17 1107
7403 무엇이든 회심' - 여러분은 어떤 삶을 살고 계십니까? 말씀 2011-08-17 1023
7402 무엇이든 행동이 따르지 않는 믿음은 죽은 믿음입니다 (약2:17) file 묵상 2011-08-17 1428
7401 무엇이든 미지근한 기독교인들을 위한 메세지 file 묵상 2011-08-17 1198
7400 무엇이든 때때로 나는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었다 file 삶의 예배 2011-08-17 1073
7399 무엇이든 하나님과의 인터뷰 file 묵상 2011-08-16 1340
7398 무엇이든 당신의 ‘주님’ 은 누구인가? file 삶의 예배 2011-08-16 964
7397 무엇이든 [만화] 주여, 회개케 하소서 file 삶의 예배 2011-08-15 1009
7396 무엇이든 믿음 1% (vs) 불신앙 99% file 삶의 예배 2011-08-14 1901
7395 방명록 바른 지혜자의 길 준아빠 2011-08-13 31160
7394 무엇이든 [만화] 회개한 후에 당신의 삶의 모습은? file 삶의 예배 2011-08-13 1162
7393 무엇이든 이제 ‘진짜 인생’ 을 시작해보세요 file 삶의 예배 2011-08-12 1094
7392 무엇이든 평생을 시신과 함께 하기로 한 여자 사랑밭새벽편지 2011-08-12 1238
7391 광고알림 COS영어학교 세미나 (교회영어전도교실) 229차 김영수 2011-08-12 1754
7390 광고알림 통합 웃음치료사 레크레이션 자도자 자격교육 박준수 2011-08-12 1272
7389 광고알림 8월 14-16일, 응답있는 집회에 초청합니다. 주님사랑 2011-08-12 1093
7388 자료공유 신앙인이 지켜야 할 산예절과 산행법 최용우 2011-08-11 869
7387 무엇이든 수 많은 한국 교회 성도분들을 향한 예수님의 편지 file 편지 2011-08-11 1170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