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명설교 모음

택스트 설교

설교자'가 확실한 설교만 올릴 수 있습니다.

염치없어도 주님을 부르라!

이사야 허태수 목사............... 조회 수 3030 추천 수 0 2011.11.29 15:08:37
.........
성경본문 : 사7:1-9 
설교자 : 허태수 목사 
참고 : 춘천성암교회 http://sungamch.net 

염치없어도 주님을 부르라!  
2008.1.18

지난주일 저녁부터 수요일 저녁까지 지방 사경회가 동원교회에서 있었습니다. 낮에는 지방의 목사들이 성경을 강의하고 저녁에는 경기도 광주에 있는 평화 장로교회의 이동현 목사님이 은혜 넘치고 큰 깨달음을 일으키는 진리의 말씀을 증거 하셨습니다. 저에게는 아주 중요한 기회였습니다. 하나님이 저를 위해 장만하신 일이기도 했습니다. 그 중에 하나는 설교하는 방법입니다. 성경이 현재의 사람들에게 생활 속에서 실질적으로 적용되는 설교가 그것입니다. 이 목사님은 짧은 시간에 구약 예언서 서너개를 소화하게 하셨습니다. 그 중에 한 권이 사사기 인데, 저도 오늘 그 은혜의 그림자를 따라 이 책을 폈습니다.
        
유다왕 아하스 시대에 북왕국 베가왕과 시리아의 왕 르신이 유다를 정복하려고 내려왔습니다. 시리아의 군대가 이스라엘에 주둔하고 있다는 말이 전해지자 왕의 마음과 백성의 마음이 마치 거센 바람 앞에서 요동하는 수풀처럼 흔들렸습니다. 마치 이것은 이 시대의 경제적인 상황과 같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감당하기 어렵게 변화해 가는 시대와 같습니다.

유다는 아주 작은 나라인데 주변의 강대국이 연합군을 만들어 치러 내려온 것입니다. 왜 그들이 유다를 치러 왔을까요? 그것은 이스라엘과 시리아 북방에 앗시리아 즉, 세계 제국의 역사의 첫 장을 장식하는 거대한 나라가 형성돼서 남진을 꾀하기 때문입니다. 이 거대한 앗시리아를 막기 위해서 군소국의 연합전선이 필요한데 유다만이 반대하기 때문에 유다를 먼저 쳐서 겁을 주고 자기들에게 유리한 왕 다브엘의 아들을 왕으로 세우려고 지금 유다를 쳐들어 온 것입니다.

아하스와 백성들은 말할 수 없는 불안에 빠져들었습니다. 이들은 아무런 능력도 발휘할 수 없었습니다. 단지 그들은 실성한 것처럼 우왕좌왕 했습니다. 이때 이사야는 4절에 그를 만나서 “정신 바짝 차리고 침착하게 행동하라. 진정하고 고요하여라.”라고 충고합니다. 7절을 보면 주 하나님께서 말씀이, “이 계략은 성공하지 못한다. 절대로 그렇게 되지 못한다.”라고 합니다. 지금 이들에게 급한 것은 앗시리아입니다. 예루살렘은 천연의 요새입니다. 뒤의 역사지만 거대 제국 바빌론도 예루살렘 성을 함락시키기 위해서 2년간을 포위하고 있었을 만큼 견고한 성입니다. 조금만 믿는 마음을 가지고 버티면 이들은 사라져 버릴 것입니다. 이들은 “타다만 두 부지깽이에서 나오는 연기와 같습니다. 오래 가지 못합니다.”

게다가 “에브라임의 머리는 사마리아이고 사마리아의 머리는 고작해야 르말리야의 아들입니다.”(9절) 그들은 르신을 위한 군대고 르신의 군대일 뿐입니다. “그들은 르신이라는 왕에게 충성을 다하기 위해 싸우고, 베가라는 왕을 위해 싸우는 군대지만 그러나 너희들은 다르지 않느냐? 너희들은 야훼 하나님을 위한 군대 아니더냐? 하나님께서 필요하다고 여기시면 하나님 스스로 지켜 가실 것 아니냐? 너희들은 군대의 숫자나 무기의 량을 계산하여 겁먹지 말아라. 우리는 군대나 무기로 싸우는 것이 아니고 하나님을 믿는 믿음으로 싸우는 것이다.”

“너희가 믿음 안에 굳게 서지 못한다면 너희는 절대로 굳게 서지 못한다.”

하나님의 군대는 세상의 조건들에 주눅이 들어서는 안됩니다. 내가 스스로 믿음 안에 굳게 서 있느냐? 그분을 신뢰하는 믿음 안에 있느냐가 우리가 가진 모든 것입니다.

그러나 아하스는 이사야의 말을 뿌리쳤습니다. 믿음은 물론이고 역사의식도 없고, 용기조차도 없는 비겁하고 교활한 왕은 가장 나쁜 선택을 하였습니다. 북방의 앗시리아에게 달려가 도움을 청했습니다. 진짜 호랑이를 끌어들였습니다. 앗시리아 왕에게 가서 “저는 임금님의 신하이며 종입니다.”라고 나라를 송두리째 바쳤습니다. 예루살렘 성전을 앗시리아 신전과 똑 같은 모양으로 개조했습니다. 봉신국은 종주국의 신을 섬겨야 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겉으로는 야훼 성전이지만 내용적으로는 앗시리아의 신을 섬기게 되었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는 가장 굴욕적인 처사를 했습니다. 한번 싸워보지도 않고 나라를 바쳤습니다. 패전한 다음에 하더라도 가장 굴욕적인 선택을 스스로 해버린 것입니다. 물론 그 충성의 댓가로 단지 왕 자신의 영달은 보존했을 것입니다.

아하스의 바보 같은 선택으로 시리아는 주전 731년에 앗시리아의 손에 의해서 영원히 역사 안에서 사라져 버렸고, 이스라엘 역시 주전 721년에 망하고 말았습니다. 그 후로 유다는 속국이 되어 버렸으며, 그 이후 앗시리아의 손에서 벗어나려고 애를 썼지만 한번 외국에 속국이 되면 벗어나기 힘듭니다. 결국 유다는 한번 독립도 못하고 유다마저 왕조를 접게 됩니다.

시편 130편은 “내가 깊은 구렁 속에서 주님을 불렀습니다.”라고 합니다. 구렁은 “깊은데서(개역) 심연, 깊은 물 속에서”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 물에 빠져본 적이 계십니까? 전 비슷한 경험이 있습니다. 수영을 해도 물살이 거세서 전혀 올라가지 않고 물살에 밀려 내려오고 혹시 바닥에 발을 대려고 서보았지만 발이 닿지 않고 물밑으로 꼬락 꼬락하고 내려갑니다. 그때 물밑 30센티의 공포! 손이나 발에 무엇하나 걸리는 것 없고, 아무것도 의지 할 것 없이 쑥 밑으로 빠져 들어가는 느낌! 얼마나 공포스러운 느낌입니까? 그때 저는 체면 불사하고 살려달라고 소리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우리를 안절부절 못하게 하는 구렁에 빠졌을 때, 주님을 부르는 일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단지 소리 높여 그 분께 도움을 청하는 일입니다. "내가 깊은 구렁 속에서 주님을 불렀습니다."는 고백을 시편기자는 “죄의 구렁”으로 “죄의 심연”으로 전환합니다.

주님, 주께서 죄를 지켜보고 계시면
주님 앞에 누가 감히 버티어 설 수 있겠습니까? (3절)

우리가 심연에 빠지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가장 곤혹스러운 것은 자신이 지은 죄 때문에 곤경에 처할 때입니다. 그런 이유로 심연에 빠졌을 때 우리 주변의 이웃들은 우리를 손가락질 하고 ‘그 사람이 그럴 수 있느냐?’고 할 수 있습니다. 그때 우리가 살려달라고 소리를 치더라도 그것은 더욱 우리를 비난 속에, 더욱 깊은 구렁에 빠지게 할 뿐일 것입니다. 그러나 주님은 비록 자기 죄로 인해 구렁에 빠졌더라도 그가 주님께 울부짖는 소리는 그 심연의 깊이만큼, 그 죄악의 깊이만큼 한없는 주님의 자비를 불러일으킵니다. 심연에서의 울부짖음은 인간 절망의 깊이만큼 하나님의 자비의 깊음을 드러냅니다.


그래서 시편 기자는 4절에서 “용서는 주님만이 하실 수 있는 것이므로 우리가 주님만을 경외합니다.”라고 합니다. 인간은 용서 못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들의 죄악의 깊이가 큰 만큼 더 큰 사랑을 느끼십니다. 그래서 기자는 하나님을 기다립니다. 그가 무엇을 해주어서가 아니고 그분이 사랑이심을 알기 때문에 그분을 기다립니다. 인간은 잘 삐지고, 어떤 일정한 기준에 들어오지 않으면 사정없이 내리 찍습니다. 그런데 비해 하나님은 변함없이 용서해주시고 사랑하시는 분이기에 우리는 하나님을 기다립니다.

여러분 베드로와 가롯 유다가 어떻게 다릅니까? 둘 다 십자가 앞에서 주님을 배반 했습니다. 유다는 은돈 30에 예수를 넘겼고, 베드로는 결정적으로 사형언도를 받으시는 법정에서 그를 모른다고 세번 부인했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유다 때문에 십자가를 지신 것이 아닙니다. 어차피 예수님은 자신이 앞장서서 예루살렘으로 가셨고, 자신이 고난 받을 것을 세번 예언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유다보다 앞장서서 예루살렘으로 들어가셨습니다. 이미 그에게 십자가가 각오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유다 때문에 돌아가신 것 아닙니다. 유다 아니라도 십자가는 진행되었을 것입니다. 길은 예정되었지만, 단지 그 과정에서 누가 예수를 끝까지 신뢰하는가? 누가 자신을 등지는가를 지켜보실 것입니다. 그런데 둘 다 다른 역할로 예수를 등집니다. 최후순간에 배신을 합니다. 그것은 똑 같은 배신입니다.  

그러나 이 둘의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베드로는 회개했지만 유다는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입니다. 이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어찌 보면 유다가 더 책임적인 삶을 사는 사람인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그는 자신의 죄에 대해 고개 들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음으로 답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오히려 뻔뻔한 것 같은 베드로의 장점은, 자기 계산이 분명한 유다보다 백배 더 위대한 베드로의 장점은 “예수님에 대한 신뢰”입니다. 염치 없지만 예수님의 그 넓은 마음, 그분의 사랑을 믿고, 그 앞에 나아오는 것입니다.

우리가 마음을 열고 그 앞에 나아올 때
그분을 굳게 믿을 때에만이 흔들리지 않고 굳게 설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경본문 설교자 날짜sort 조회 수
12114 사도행전 되돌아간 저승 사자들 행4:9-12  박신 목사  2011-11-23 2645
12113 로마서 토끼가 코요테를 이기려면? 롬8:1-2  박신 목사  2011-11-23 2545
12112 요한복음 기생집에서도 하나님을 찾는 인생들 요15:1-5  박신 목사  2011-11-23 2194
12111 에배소서 기 안 죽이고 아이를 키우려면? 엡6:4  박신 목사  2011-11-24 2266
12110 에배소서 빠삐용이 탈출한 진짜 이유 엡5:16-17  박신 목사  2011-11-24 2497
12109 로마서 인류 역사상 오직 두번 뿐인 사건 롬12:1-2  박신 목사  2011-11-24 1975
12108 요한복음 십자가와 구원. 요3:16-18  김동호 목사  2011-11-26 2268
12107 요한복음 예수의 생명을 세상에 요11: 25-26  김동호 목사  2011-11-26 2215
12106 마태복음 나를 시인하면 마10:32-39  김동호 목사  2011-11-26 2383
12105 고린도전 사랑을 공부하는 사람 고전13: 4-7  김동호 목사  2011-11-26 1963
12104 시편 성도의 연합. 시133:1-3  김동호 목사  2011-11-26 2629
12103 예레미야 소돔을 닮아가는 예루살렘 렘23:13-15  김동호 목사  2011-11-26 1803
12102 고린도전 또 사랑으로 고전13: 1-13  김동호 목사  2011-11-26 2389
12101 요한계시 주님과의 식사를 계3:20  강종수 목사  2011-11-27 2996
12100 빌립보서 버려야 삽니다. 빌3:8-9  한태완 목사  2011-11-27 2689
12099 창세기 뱀과 손잡은 아담, 뱀을 멸하신 하나님의 아들 아담 창3:9-15  김삼환 목사  2011-11-27 2509
12098 고린도전 영원을 위하여 순간을 고전1:4-9  김동현 목사  2011-11-29 1196
12097 야고보서 10월의 어느 멋진 날에 약2:1-13  허태수 목사  2011-11-29 2602
12096 요한일서 옛날 하나님 요즘 하나님 요일4:7-12  허태수 목사  2011-11-29 2249
12095 누가복음 구원을 온전케 하는 감사 눅17:11-19  허태수 목사  2011-11-29 2204
12094 시편 나의 노래 나의 기도 시19:1-14  허태수 목사  2011-11-29 1843
12093 요한복음 성령의 바람이 불게 하라! 요3:1-8  허태수 목사  2011-11-29 2550
12092 고린도후 하나님의 은혜로 살았습니다. 고후8:1-9  허태수 목사  2011-11-29 1830
12091 누가복음 천국으로 건너가는 다리 눅16:19-25  허태수 목사  2011-11-29 1974
12090 요한복음 아기 예수를 맞는 마음 요2:1-11  허태수 목사  2011-11-29 1878
12089 누가복음 영혼의 집짓기 눅11:23-28  허태수 목사  2011-11-29 3070
12088 창세기 복을 짓는 사람 창35:18  허태수 목사  2011-11-29 3329
12087 디모데전 자화상(自畵像)을 그리는 시간 딤전1:12-14  허태수 목사  2011-11-29 7265
12086 빌립보서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빌3:12-21  허태수 목사  2011-11-29 2767
» 이사야 염치없어도 주님을 부르라! 사7:1-9  허태수 목사  2011-11-29 3030
12084 요나 食客(율법학자와 예수의) 욘4:1-4  허태수 목사  2011-11-29 3376
12083 로마서 만물이 봄 볕 속에 들듯 롬5:1-11  허태수 목사  2011-11-29 4152
12082 갈라디아 봄이 어디 있습니까? 갈2:20  허태수 목사  2011-11-29 2968
12081 고린도후 고난이 넘치는 복을 받으시라! 고후1:3-7  허태수 목사  2011-11-29 4761
12080 고린도전 죽은 사람의 부활 고전15:12-58  허태수 목사  2011-11-29 2895

설교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