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명설교 모음

택스트 설교

설교자'가 확실한 설교만 올릴 수 있습니다.

네 자녀를 노엽게 말라

에배소서 최용우............... 조회 수 2366 추천 수 0 2012.02.24 18:24:59
.........
성경본문 : 엡6:4 
설교자 : 김남준 목사 
참고 : 열린교회 http://www.yullin.org 

네 자녀를 노엽게 말라

2006-05-14

엡6:4

 

Ⅰ. 본문해설

 

본문말씀은 부모공경에 이어서 나온 자녀양육에 관한 말씀이다. 인간이 이 세상에 태어나서 참으로 행복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네 사람을 사랑해야 할 것이다. 첫째는 부모이며, 둘째는 배우자, 셋째는 자녀이고, 넷째는 좋은 목회자이다. 인간의 행복은 이처럼 물질이나 지위가 아닌 지탱하면 살 수 있는 필연적 관계 속에 맺어진 사람들을 사랑함으로써 얻어진다. 이처럼 소중한 관계들 중 오늘은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 특별히 부모 된 자들이 저들을 어떻게 양육시킬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자녀 양육에 대해 제일 먼저 언급된 것은 저들을 노엽게 하지 말라는 것이었다. 이는 자녀를 올바르게 양육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 지를 말하기에 앞서 결코 하지 말아야 할 일들을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부모가 얼마나 빈번하게 자녀를 노엽게 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교육과 환경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녀와의 정신적 연합이다. 이 연합이 부모가 자녀를 교육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되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번성시키실 때 매번 흙을 빚어 사람을 만들지 아니하시고, 인간의 몸에서 자라고 태어나게 하셔서 그 부모의 교육 아래 온전한 사람이 되게 하신 것은, 부모와 자녀들을 육신적으로 정신적으로 영적으로 결탁시키시고, 자녀들로 하여금 참으로 인간답게 살아가는 것이 무엇인지를 부모를 통해 배우게 하시려고 그렇게 하신 것이다. 따라서 자녀를 향한 부모의 사명은 참으로 올바른 인격과 삶의 태도를 가진 하나님을 경외하는 참 사람으로 저들을 키워내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자녀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부모가 먼저 그런 사람이 되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필연적인 결론이 나온다. 이제, 구체적인 자녀 양육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성경은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라고 우리에게 충고한다. 어떤 이유로 인해 그러하며, 어떤 때에 자녀들이 노여워하는가?

 

Ⅱ. 자녀를 노엽게 하는 길

 

부모가 자녀를 노엽게 할 때, 둘 사이의 정신적/영적 연합이 깨어지게 되는데, 이는 자녀를 교육시킬 수 있는 통로를 막아 부모들로 하여금 저들에게 참된 인간이 사는 도리를 가르칠 수 없게 만든다. 다음의 두 가지 경우를 들 수 있다.

 

A. 과도한 징계: 이는 두 가지 요인 때문이다. 첫째는 아이를 향한 그릇된 기대로 인해 징계하는 경우이다. 자녀들은 우리의 몸에서 태어났으나 우리와는 다른 인간임을 망각한 태도로서 자녀의 성향에 대한 배려나 어떤 깊은 인격적 설득도 없이 자신의 기대를 강요하는 경우이다. 이것은 부모의 수많은 기대들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중요한 부모와 자식 간의 정신적 연합의 관계를 깨뜨린다. 이 본질적인 연합의 관계를 망각한 그릇된 기대는 과도한 징계를 낳는 것이다. 둘째는 혈기를 가지고 징계하는 경우이다. 징계하는 목적은 자녀를 위한 것이지만 징계 하는 그 순간은 참을 수 없는 혈기로 인해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정제되지 않은 언어 혹은 매질은 자녀에게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긴다. 당장 눈에 보이는 육체의 죽음은 아닐지라도 자녀의 내면 깊이 죽음과도 같은 살을 남기는 것이다.

 

B. 그릇된 모본: 과도한 징계를 하지 않고 양육한다 하더라도 부모가 그릇된 모본을 보일 때 역시 자녀들의 내면엔 깊은 상처가 남는다. 자녀들에게 옳고 그름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자녀들이 아주 어릴 때부터 저들이 한 행동에 대해 부모의 호, 불호의 분명한 감정으로 무엇이 옳은지를 인식시켜줘야 하며, 좀 더 철이 들면 왜 그렇게 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인격적으로 설득해야 한다. 그러나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장성한 나이가 된 이후에는 부모가 보여주는 모습을 보고 생각하고 판단하고 행동하게 된다. 따라서 아무리 올바른 훈계를 한다 할지라도 부모가 자녀에게 그릇된 모본을 보인다면 이는 저들에게 큰 상처를 남길 것이다. 반면 과도한 징계를 받은 것 같다 할지라도 부모의 언행일치된 삶을 보며 자라난 자녀들은 장성한 후 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된다. 부모로부터 한번 받은 실망과 상처는 이후에도 쉽사리 지워지지 않는다. 인생에 대한 분명한 생각과 일관된 길을 걸어가야만 자녀를 올바로 양육할 수 있다. 하나님을 모르고 망가진 인생을 산 적이 있는 우리가 우리의 자녀들에게까지 그런 삶을 물려주어서 되겠는가? 자녀들을 올바른 태도와 습관을 가진 자로 키워가는 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사랑으로 연합된 관계를 깨뜨리면서까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는 점을 기억하라.

 

Ⅲ. 자녀를 기르는 길

 

그렇다면 어떻게 자녀를 기를 것인가? 이 아이가 어떻게 하면 참 사람이 되고, 하나님을 순전히 섬기게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하지 않고, 세상의 시류와 부모의 욕심에 따라 교육할 때가 너무나 많다. 성경이 말하고 있는 자녀양육의 목적은 그 아이로 하여금 참으로 온전한 인간이 되어가게 함, 더 나아가 좀 더 큰 뜻을 품고 이 세상을 정복하는 사람을 만듦에 있다. 세상을 정복하는 일이란 자신의 뜻이 아닌 하나님의 뜻과 질서를 이 땅에 이루기 위해 주님이 주신 지위와 권한과 물질을 사용하여 망가진 세상을 고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하나님의 사람으로 키우는 것이 자녀교육의 목적인 것이다. 저들에게 그러한 원대한 꿈을 불어 넣어 주라. 그렇다면 무엇으로 이들을 기를 것인가? 먹고, 입고, 마시고, 좋은 것을 보고 하는 등의 감각기관을 만족시키는 것을 우리 기쁨의 주된 통로가 되게 해서는 안 된다. 진정으로 만족시켜 줘야 할 것은 우리의 영혼인 것이다.

 

A. 주의 교양과 훈계로: 주의 교양은 자녀의 내적 질, 주의 훈계는 자녀의 삶과 관계되는 것이다. 그 아이의 내면의 세계를 선하고 아름답게 만드는 것, 그 마음으로 하나님과 사람을 전심으로 사랑하게 하는 것, 주의 사랑에 끊임없이 감화 받는 내적 세계를 가지게 하는 것이 자녀양육의 초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많은 재능과 뛰어난 능력을 가졌다 할지라도 이렇듯 하나님을 향한 신앙이 우리의 자녀들 속에 없다면 이는 아무것도 아니다. 부모가 자녀를 위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어릴 때부터 하나님을 전심으로 사랑하고 경외하는 신앙을 넣어주는 일이다. 신앙은 모든 것이다.

 

B. 사랑으로: 주의 교양과 훈계는 사랑으로 가르쳐야 한다(예화: 아버지 되신 하나님이 자녀 된 나를 다루시는 것과 내가 자녀를 다루시는 것이 너무나 다르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셨다는 목사님의 이야기). 자녀 된 우리의 모습이 하나님 보시기에 항상 아름답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 아버지는 그 때마다 우리에게 실망하지 않으셨으며 곧바로 징계하지도 않으셨고, 대신 돌아올 때까지 오래 참으시고, 용서하시고, 올바른 길로 인도하셨다. 자녀들의 모습이 잘못되었다는 사실은 변함없고 우리가 인정하는 바이지만 부모와 자식 사이의 관계를 깨뜨릴 만큼 중요한 것은 아니기에 참고 인내하고 기다리라. 하나님은 자녀를 향한 우리의 사랑의 태도가 하나님이 우리를 향해 가지고 계신 그 사랑의 태도를 그대로 본받길 원하신다. 자녀가 하나님이 원하시는 그런 사람으로 자라지 않았다면 부모 된 우리의 성공은 없다. 마음으로 깊이 자녀를 사랑하라. 아이를 향한 기대를 잃어버리지 말고 하나님이 기다리신 것처럼 기다려주라. 하나님과의 사랑의 연합을 이룬 것처럼 자녀들과 사랑의 연합을 이루며 사시길 바랍니다.

 

나눔 1. 지난 주간의 말씀 ‘네 부모와 화해하라(신 5:16)’을 듣고 실천했던 삶을 나누어 봅시다.
나눔 2. 엡 6:4 설교 말씀의 전체적인 내용을 나누어 보고 깊이 다가왔던 부분을 서로 말해봅시다.
나눔 3. 부모가 자녀를 노엽게 할 때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 속에서 깨뜨려지기 쉬운 것은 무엇입니까?
나눔 4. 부모가 자녀를 노엽게 하는 몇 가지 이유와 아이가 어릴 때, 좀 더 철이 들 때, 장성한 다음에 어떻게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이 좋은지 나누어 봅시다. 자신의 삶 속에서 부모님의 교육을 통해 받았던 긍정적 혹은 부정적 부분이 있다면 나누어 봅시다.
나눔 5. 성경이 말하는 자녀교육이란 무엇입니까? 성경적 자녀 교육을 위해 부모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입니까?IV. 결론과 적용 2006-05-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경본문 설교자 날짜 조회 수sort
13547 창세기 꿈과 희망 창12:1-4  조용기 목사  2012-10-08 2369
13546 마태복음 암이 낫는 것은 복도 아니다 마5:3-12  박신 목사  2012-08-04 2369
13545 이사야 높이 날아오르십시오 사40:27-31  이한규 목사  2011-10-26 2369
13544 고린도후 기적을 부르는 선행적 감사 고후4:11-15  이한규 목사  2011-07-16 2369
13543 시편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시23:1-6  한태완 목사  2011-02-13 2369
13542 요한복음 안나스에게 심문 당하시는 예수님 ..... 요18:12-24  이정원 목사  2010-12-28 2369
13541 시편 하나님이여 나를 도우소서. 시22:19  한태완 목사  2007-11-15 2369
13540 사사기 복된 가문을 여는 길 삿13:15-25  이한규 목사  2013-07-09 2368
13539 출애굽기 판결 흉패 출28:15-30  임덕순 목사  2012-12-04 2368
13538 마태복음 예수님의 쉬는 방법 마11:28-30  이용호 목사  2011-12-26 2368
13537 고린도후 하나님이 함께 하는 사람 고후13:6-13  이한규 목사  2011-09-19 2368
13536 역대하 보가 터지면 물고기는 같이 물 따라 내려갑니다. 대하28:16-21  김필곤 목사  2010-05-24 2368
13535 골로새서 인계철선 골1:13-23  조용기 목사  2008-05-13 2368
13534 요한일서 거짓말과 진리 요일2:4-6  강종수 목사  2010-05-16 2367
13533 잠언 지혜가 주는 유익 잠2:10-22  민병석 목사  2010-04-17 2367
13532 학개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일 학1장  이한규 목사  2009-06-18 2367
13531 사도행전 성전의 안과 밖 행3:1-10  한완상 형제  2007-11-20 2367
13530 이사야 하나님을 의지하고 순종하라 사50:10  한태완 목사  2014-09-22 2366
13529 출애굽기 등을 보여주시는 하나님 출33:20-23  이한규 목사  2012-12-08 2366
» 에배소서 네 자녀를 노엽게 말라 엡6:4  김남준 목사  2012-02-24 2366
13527 사무엘상 인생승리의 5대 비결 삼상7:1-12  이한규 목사  2011-03-08 2366
13526 창세기 복수와 용서 창45:1∼10  한태완 목사  2011-01-09 2366
13525 전도서 참된 행복은? 전6:3-12  한태완 목사  2010-12-05 2366
13524 사도행전 마술과 신앙 file 행13:4-12  정용섭 목사  2009-05-17 2366
13523 고린도후 연보의 정신과 예수 그리스도 고후8:1-10  소재열 목사  2008-01-23 2366
13522 마가복음 더불어 사는 삶 막2:1-11  한태완 목사  2007-11-11 2366
13521 고린도후 고난을 극복하는 세 가지 길 고후4:16-18  조용기 목사  2014-03-05 2365
13520 시편 주께 감사하라 시33:1-11  이영훈 목사  2013-04-01 2365
13519 여호수아 누가 이 성을 무너뜨렸는가? 수5:13-6:7  류공석 목사  2013-03-15 2365
13518 출애굽기 성막의 덮개 출26:1-14  임덕순 목사  2012-11-28 2365
13517 마가복음 100배의 결실을 맺으라. 막4:14-20  윤은철 목사  2012-05-01 2365
13516 사무엘상 문제를 해결하시는 하나님 삼상29:1-11  이윤식 목사  2011-04-18 2365
13515 누가복음 사람의 생명은 소유의 넉넉함에 있지 아니하다 눅12:13-21  이정수 목사  2010-10-22 2365
13514 잠언 시대와 소통하는 지혜로운 신앙인 잠2:1-12  김희헌 박사  2010-10-04 2365
13513 사도행전 우리는 사명을 위해 지음 받았다 ..... 행1:8  이정원 목사  2010-03-17 2365

설교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