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류재봉 목사-왜곡된 예배와 명칭

축하예배, 추모(추도)예배, 기념예배, 임종예배, 입관예배,

발인예배, 납골예배, 하관예배

글쓴이 : 하모니

 
1) 축하예배(祝賀禮拜)

 

 

왜곡된 예배 중에 그 첫 번째가 축하 예배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축하예배는 사람을 위한

대표적인 인본주의 예배이며, 동시에 예배대상, 예배목적, 예배내용에 있어 혼합주의 예배라

고 할 수 있습니다. 축하(祝賀)의 사전적 의미는 ‘남의 좋은 일을 기뻐하고 즐거워한다는 뜻으

로 인사함’이라 되어 있지만 축하는 축하받는 사람을 높여주고 그에게 영광을 돌리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입니다(박수는 영광을 돌리는 것). 그러므로 “홍길동 당선 축하예배”라고 할

때 그 축하는 홍길동이의 당선을 기뻐하고 즐거워하면서 동시에 홍길동이를 높여주고 그에게

영광을 돌리는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세간의 이목을 끌었던 성대한 축하예배가 몇 번 있었습니다. 2004. 3. 18. 12시에 대전 정부종
합청사 대 강당에서 1000여명이 모인 가운데 “고속철도 개통 축하예배”가 있었고(한기총 주최),
2006. 5. 11. 오전 6시에는 서울 삼성병원 장례식장에서 신모 목사의 “천국입성 축하예배”가
있었으며(일간지 전면 광고게재), 날짜를 정확하게 기억은 못하지만 우리나라의 목회자를 대표
한다고 할 수 있는 한모 목사의 “템풀던상 수상 축하예배”를 들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개인적
으로 “팔순축하예배” “박사학위취득 축하예배” “출판기념 축하예배” “돌 축하예배” “당선 축
하예배”등 다양한 축하예배들이 행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축하예배의 축하라는 단어는 명사로 쓰였지만 사실은 동사의 성격, 즉 “축하하는”이라
는 의미를 가진 명사입니다. 축하예배를 정확하게 풀어서 쓰면 “축하하는 예배”가 되는 것입
니다. 그리고 그 앞에는 축하를 받는 사람의 이름이 붙게 됩니다. 쉽게 말해서 축하를 받는 사
람의 이름이 목적어가 되는 것입니다. 축하예배에는 예배 대상인 하나님과 축하받는 축하의
대상(사람)이 나란히 공존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사람이 예배대상은 아니지만 하나님을 예배
하는 자리에서 사람이 동시에 축하를 받는 다는 것입니다. 축하예배에는 공통된 순서 중에
하나는 주인공이 되는 사람을 위해서 축사를 하고, 축시를 낭독하고, 축가도 부르고 박수를
쳐서 영광을 돌리는 것입니다. 축하잔치에서는 그렇게 축사를 하고, 축시를 낭독하고, 축가를
부르고, 축하박수를 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축하를 받는 사람이 그 잔치의 주인공이고, 그 잔치의 중심이 되기 때문입니다.
러므로, 예배에서도 사람을 위해서 축사를 하고, 축시를 낭독하고, 축가를 부르고, 축하박수를
친다면 축하받는 그 사람이 그 예배의 중심이 되며, 그 예배는 그 사람을 위한 예배이지 하나
님을 위한예배라고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인간이 아무리 공이 높고 업적이 위대하다 할지라
도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면서 예배의 중간에 어떻게 감히 인간을 위해서 축사를 하고, 축시를
낭독하고, 축가를 부르고, 업적을 기리고, 공로를 찬양하거나, 축하박수를 쳐서 영광을 돌릴
수 있다는 말인가? 어떠한 이유와 목적으로도 예배 중에 사람을 축하하고, 사람에게 축하박수
를 쳐서 영광을 돌리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러면 축사나 축시, 축가, 축하박수 없이 예배를
드리면 되지 않는가라고 반문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순서나 내용이 없다고
해서 축하예배가 감사예배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축하예배라는 명칭 자체가 이미 사람을 축하한다는 의미와 목적을 담고 있기 때문에 내용과
관계없이 왜곡된 인본주의 예배가 되므로 어떤 형태로든지 축하예배는 드리지 않아야한다고
봅니다. 축하 대상이 예수님이라면 축하예배라고 할 수가 있지만 축하 대상이 사람이라면 이
는 예배의 목적이 전도된 사람을 위한 예배이지 하나님을 위해서 하나님께 드리는 하나님중심
의 예배라고 할 수 없는 것입니다. 고속철도 개통 축하예배는 축하예배 중에서도 축하대상 까
지도 모호한 대단히 잘못된 예배라고 할 것입니다. 누구를 축하한다는 것입니까? 정부나 철도
공사를 축하 하는 것입니까?

 
 
아니면, 철도공사 사장, 또는 고속철도 공사장에서 일한 노동자들을 축하 하는 것인지, 그도
저도 아니라면 쇳덩어리 차량이나 레일을 축하 하는 것인지도 잘 모르는 것입니다. 이러한 철
도개통을 자축하는 축하잔치(행사, event)에 목사들이 어찌 예배라는 이름을 붙이고, 그런 예
배를 집례 하는지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으며 납득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2006년 5월 13일
모 일간지 모 논설위원은 “천국입성 축하예배”라는 부음광고가 “신선한 충격”이라고 극찬하면
서 조사를 “축사”라고 한데 많은 사람들이 놀랐으며, 수많은 사람들로부터 격려 전화와 메시지
를 받았다고 하였습니다. 뒤를 이어 시인인 모 목사는 “천국입성 축하예배”에 해 감사한다는
글을 실었습니다. 그분들에게 축하예배가 어떻게 예배인지와 과연 합당한 예배인지를 묻고
싶습니다.

 
 
아는 예배와 모르는 예배에서의 가상 질문을 여기에 다시 써 봅니다. 똑똑한 주일학교 어린
학생이 축하예배를 드리는 것을 보고 담임목사에게 질문을 합니다. “목사님! 축하예배가 뭐예
요?” 그 때 목사는 아마 이렇게 대답을 할 것입니다. “응 그 것은 그분이 축하 받을 만큼 훌륭
한 일을 했기 때문에 축하예배를 드리는 거란다” 하고 대답을 합니다. 여기 까지는 말이 되는
것 같이 보입니다. 그런데, 이 아이가 의외로 똑똑하여 다시 질문을 합니다. “목사님! 그런데
사람을 축하는 것이 왜 예배예요?” 라고 질문을 했을 때 그 어떤 목사나 신학자라 할지라도
사람을 축하는 것이 왜 예배인지를 성경적으로 명확하게 설명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축하예
배가 왜 예배인지를 성격적으로 설명을 할 수 없다면 그 것은 바른 예배라고 할 수가 없는 것
입니다.

 
 
쉽게 말해서는 축하예배는 하나님이 주인공이 아니라 축하를 받는 사람이 주인공이며, 하나님
이 영광을 받으시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축하, 축시, 축가, 축사, 박수를(영광) 받는 예배인 것
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들러리이고, 그 예배의 중심은 바로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
로 사람을 축하하는 것은 예배가 아니라 행사인 것입니다. 축하예배는 목적이 전도된 것입니
다. 예배는 어떤 예배를 막론하고 하나님을 위한 목적 외에 그 어떤 목적을 가져서도 안 되는
것이라고 봅니다. 예배에서 하나님을 위한 목적 외에 다른 목적이 혼합 된다면 그 것은 혼합주
의 예배이지 참된 예배라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아무 행사에나 예배라는 이름을
붙이고 성경을 읽고, 찬송하며, 기도하고, 설교를 하면 그것이 예배인줄로 오해나 착각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예배와 같은 내용으로 순서를 진행한다고 그런 것이 다 예배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봅니다.

 
 
예배는 하나님만을 위하고, 하나님만을 영화롭게 하고, 하나님만을 높여 드리는 하나님 중심
의 예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는 것입니다. 축하라는 수식어를 써서
축하예배라고 할 수 있는 예배가 있다면 우리를 위해서 죽으시고 부활하신 예수님의 부활을
축하하는 “부활 축하예배” 오직 하나뿐입니다. 예수님은 사망권세를 이기시고 부활 하셨으며,
예수님은 예배의 대상이시며, 예배의 중심이시기 때문입니다. 모두가 축하예배는 바른 예배가
아님을 인식하고 드리지도 않도록 야 할 것이며, 주의 종들은 축하예배를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와 축하하는 행사로 나누고, 축하를 받도록 은혜를 주신 하나님께 먼저 감사예배로 영광
을 돌리고, 2부로 축하순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입니다.

 
 
2) 추모예배(追慕禮拜), 추도예배(追悼禮拜)

 
 
그동안, 추모예배 또는 추도예배가 제사의 대체 기능을 하면서 기독교는 불효한다는 오해를
불식시키고, 가정의 화목에 기여하고, 전도에 좋은 영향을 끼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를 할
수 있다고 여겨 집입니다. 그러나 추모(추도)예배가 하나님 앞에서 참된 예배인가라는 물음
에 대해서는 하나님만을 위한예배, 하나님만을 높이는 예배, 하나님께만 영광을 돌리는 참된
예배가 아니라 인본주의요, 혼합주의 예배라고 밖에 달리 답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지난해
전직 대통령들이 서거하면서 대대적인 추모예배가 몇 번 있었으며, 그 열기는 대단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사사롭게도 많은 추모예배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간지에는 추모예배 광고들이
많이 실리고 있습니다. 추모예배 역시 두 번째 가라면 서러워 할 정도로 왜곡되기는 축하예배
와 마찬가지입니다. 축하예배와 아울러 대표적인 인본주의 예배이며, 동시에 혼합주의 예배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축하예배나 추모예배가 다 같이 사람을 높여주고, 사람을 위한 목적으로 행해지는 인본주의
예배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다른 점이 있다면 축하예배는 산사람을 위한 것이며, 추모예배는
죽은 사람을 위한다는 것이 다를 뿐입니다. 추모예배의 추모(追慕)는 “죽은 사람을 그리워하
며 생각 하는 것”이라는 뜻이며, 비슷한 뜻인 추도(追悼)는 “죽은 사람을 생각하여 슬퍼하는
것” 이라는 뜻입니다. 초기에는 추도예배라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요즘은 추모예배로 쓰
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추모하는 사람의 이름 앞에 붙이는 故(고)자는 세상을 떠난 사람 앞에
붙이는 관형사입니다. 즉 죽은 사람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추모예배라는 명칭 앞에
는 언제나 故(고)자를 붙여 “故 홍길동추모예배” 와같이 씁니다. 즉 추모예배라는 말은 그 자
체가 죽은 사람을 위한 예배라는 것을 잘 말해 주고 있는 것입니다.

 
 
“추모예배”라는 4글자만을 단순하게 보면 틀림없는 예배처럼 보이지만 풀어서 써놓고 보면
이것은 예배라고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추모예배의 추모라는 단어는 명사로 쓰였지만 사실
은 동사의 성격, 즉 “추모하는”이라는 의미를 가진 명사입니다. 그리고 그 앞에는 추모하는
대상의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추모의 대상이 목적어가 되는 것입니다. 즉 하나님
을 위한 예배가 아니라 추모하는 대상을 위해서 드리는 예배라는 의미를 나타내고 있는 것입
니다. 따라서 추모예배는 죽은 사람을 추모하는 것이 예배의 목적이며, 예배 대상인 하나님과
추모를 받는 추모의 대상(죽은 사람)이 나란히 공존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죽은 사람이 예배대
상은 아니지만 하나님을 예배하는 자리에서 죽은 사람이 동시에 추모를 받는 것입니다. 그러
로, 추모예배는 하나님만을 위한 예배가 아니라 죽은 사람을 추모하는 것이 목적이며 추모
가 중심내용을 이루게 되므로 참된 예배가 아니라 혼합주의 예배라고 밖에 달리 표현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아무 행사에나 예배라는 이름을 붙이고 성경을 읽고, 찬송하며, 기도하고, 설교
를 하면 그것이 예배인줄로 오해나 착각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예배와 같은 내용으로 순서
를 진행한다고 그런 것이 다 예배가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소수이기는 하
지만 일부 성도들 중에는 추모 예배가 고인에게 유익이 되는 것으로 오해를 하고 있다는 것입
니다. 그러므로 고인을 위해서 예배를 많이 드리면 많이 드릴수록 더 유익한 으로 생각하여
장례식장에서도 예배를 많이 드리기를 원하여 성도들이 자주 가서 예배를 드리는 것을 보게
됩니다. 추모예배 자체도 왜곡된 것이거니와 추모예배가 고인에게 유익이 된다고 하는 생각은
참으로 무나 큰 오해인 것입니다. 마치 불교의 위령제(慰靈祭,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와 비슷한 것으로 오해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배는 하나님께 드리는 것
이며, 고인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예배를 아무리 많이 드려도 고인에게는 아무 유익이 없으며, 예배를 한 번도 안 드려도 아무
손해도 상관도 없는 것입니다. 수일 전에 있었던 “고 김대중 前 대통령 추모예배”가 국회의원
회관에서 있었습니다. 이 문구를 알기 쉽게 정확하게 풀어서 쓰면 이렇습니다. “돌아가신 김대
중 전 대통령을 그리워하며 생각하는 예배”라는 말이 됩니다. 추모예배는 쉽게 말하면 “죽은
사람을 그리워하며 생각하는 예배”라는 뜻입니다. 죽은 사람을 그리워하며 생각하는 것이 어떻
게 예배가 될 수 있습니까? 죽은 사람을 그리워하며 성경을 읽고, 찬송을 부르고, 기도를 하고,
추모시를 낭독하고, 설교를 하면 그것이 예배인가요? 예배는 하나님을 위해서 하나님께 드릴
때 예배가 되는 것입니다. 여기에 대해서 예배학자나 목사들 중에서 성경적으로 답할 수 있는
분이 있다면 명쾌하게 답을 좀 해주시기를 부탁을 드립니다. 추모예배가 왜 예배인지를 성격적
으로 설명을 할 수 없다면 그 것은 바른 예배라고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2010. 08. 24(화) 07시 30분 국회의사당 대회의실에서 있었던 “고 김대중 전 대통령 추모예배
”의 순서 내용을 열거해 보겠습니다.

 
 
추모메시지 : 이모 목사.
추모시 : 소모 목사.
추모사 : 김모 의원.
추모사 : 권모 목사.
추모사 : 김모 의원.
추모사 : 박모 의원.
인사말 : 권모
사회 : 최모 의원.
대표기도 : 원모 의원.
축도 : 홍모 목사.
광고 : 김모 목사.
성경봉독 : 원모 의원.
헌금기도 : 강모 의원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순서를 맡은 사람 13명 중에 4명이 추모사를 하고, 1명이 추모메시지를 하고, 1명이 추모시를
낭독하였습니다. 설교자도 추모의 말을 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면 13명중에 7명, 즉 절반이 넘
는 사람이 추모하는 말을 하였다고 봅니다. 물론 설교와 헌금, 찬송, 기도, 축도도 하여서 예배
로서의 구색은 갖추었지만 이것을 어떻게 감히 예배라고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 누가 이것을
예배라고 말 하였습니까? 이러한 추모예배의 목적은 죽은 사람을 추모하는 것이며, 예배의 내
용도 추모일색으로 하나님을 위한 예배가 아니라 죽은 사람을 위한 혼합주의 예배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엄격하게 말하자면 예배가 아니라 추모행사(event)인 것입니다.
하나님은 들러리에 불과하며, 하나님은 설자리가 없는 예배인 것입니다. 예배는 죽은 사람을
추모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되는 “수단으로서의 예배”일 뿐입니다.

 
 
소위, 목사라는 사람들이 어떻게 이러한 것을 예배라고 하며 함께 진행을 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면 추모사나 추모메시지, 추모시 낭독 같은 순서가 없이 예배를 드리면 되지
않는가라는 생각을 가지는 사람이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순서나 내용이 없다
고 해서 추모예배가 헌신예배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앞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추모예배라는
명칭자체 속에 이미 죽은 사람을 추모한다는 메시지와 목적이 담겨져 있기 때문입니다. 추모
예배는 순서나 내용에 관계없이 왜곡된 인본주의 예배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어떤 형태로든지
추모예배는 드리지 않아야한다고 봅니다. 예수님께서 “아버지께 참되게 예배하는 자들은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 때라 아버지께서는 자기에게 이렇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
시느니라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니라(요 4:23)” 이렇게 말씀
을 하셨습니다. “참되게 예배하는 자들”을 하나님 아버지께서 찾으신다고 하시는 것입니다.

 

 

이런 추모예배가 과연 참되게 하나님을 예배하는 것일까요? 예배는 하나님을 위하고, 하나님

만을 높이며. 하나님만을 영화롭게 하는 예배가 될 때 참된 예배가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

니다. 한국에 예배학자들은 다 휴가를 갔습니까? 크리스천 기자들 중에는 예배에 대한 안목을

가진 사람이 단 한 사람도 없다는 말입니까? 이러한 왜곡된 예배에 대해서 그 어느 누구도 입

을 열지 않고, 잘못된 것을 지적하고 비판을 하거나 글을 쓰는 이가 한 사람도 없다는 것은

한국교회에 참으로 슬픈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추모예배는 축하예배와 함께 사람을 위한 수

단으로서의 예배이며, 사람을 위한 내용들로 채워진 혼합주의 예배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

것입니다. 다시 말하거니와 이런 것은 하나님을 위한 예배가 아니라 사람을 위한 추모행

사(event)일 뿐입니다.

 
 
“너희는 이전 일을 기억하지 말며 옛날 일을 생각하지 말라. 보라 내가 새 일을 행하리니 이제
나타낼 것이라(사 43:18-19)”

 

 

이러한 수단으로서의 예배, 혼합주의 예배들이 하루속히 혁신되고 올바른 예배문화 풍토가
조성되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하나님만을 위하고, 하나님만을 높이고, 하나님만 영화롭게
하는 예배열심이 파도처럼 밀려와 한국교회를 덮는 그 날이 속히 오기를! 할렐루야!

 
 
3) 기념예배(記念禮拜)

 

 

2010. 08. 22(주일). 오후 3시. 서울의 모 교회에서 “故 안모 목사 순교 60주년 기념예배”가

있다는 광고가 8월 19일자 신문에 실렸었습니다. 순교는 매우 귀한일이며 하나님께 영광이

되는 것으로 기념을 할 만 한 일입니다. 또한 마땅히 기념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념

할 일이 있으면 기념행사를 하던가 아니면 감사예배를 드려야지, 왜 사람을 기념하는 행사를

굳이 예배라는 이름으로 진행하는지를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기념예배는 매우 다양하게 진

행되는 혼합주의 예배입니다. 축하예배나 추모예배는 다 사람을 높여주고, 사람을 위하는

목적으로 행해지는 예배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축하예배는 산사람을 위한 것이며, 추모예배

죽은 사람을 위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념예배는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을 위하는데 같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즉 산사람을 위해서 기념예배를 드리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죽은 사람

을 위해서 기념예배를 드리는 사람들이 있는 것입니다.

 
 
그런가 하면, 기념예배는 특정한 개인을 위해서 진행되기도 하지만 불특정 다수를 위한 경우
도 있으며, 또 사람과는 관계가 없는 절기나 사건을 위해서도 진행되기도 하는 것을 봅니다.
많은 사람들이 참으로 다양한 형태의 기념예배들을 실행하고 있는 것입니다. 앞서 축하예배
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예배명칭의 명사, 즉 기념예배의 기념이라는 단어는 명사로 쓰였지만
사실은 동사의 성격, “기념하는”이라는 의미를 가진 명사입니다. 그리고 그 앞에는 기념하는
사람이나 사건의 이름이 붙어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기념의 대상이 목적어가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위한 예배가 아니라 기념하는 대상을 위한 예배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입니다.
기념예배에는 다른 혼합주의 예배와 동일하게 한 예배 안에 두개의 대상, 즉 예배의 대상(하
나님)이 있고 기념하는 대상(사람, 죽은사람, 사건, 절기)가 함께 공존하며, 또한 예배의 목
적과 기념의 목적을 함께 가지고 진행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기념예배의 성격은 하나님을 위한 예배라기보다는 사람을 위한 예배이며, 사람을
기념하는 목적으로 진행되는 사람중심의 왜곡된 예배인 것입니다. 기념예배는 명칭만 왜곡
된 것이 아니라 실제 예배에 들어가면 기념사와 축사를 하고, 업적을 치하하고, 설교도 기념
해야 할 일이나 공로를 말하며, 기념하는 대상을 찬양하는 내용들로 가득하며, 예배 중에 박수
를 쳐서 기념대상을 기리며 높이고 영광을 돌리는 것입니다. 예배에서는 아무리 업적이 위대
하고 공로가 크다 할지라도 하나님 한 분 외에는 그 누구에게도 박수를 치며, 높이고, 기리고,
영광을 돌려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봅니다. 그러므로 기념예배는 바른 예배라고 말할 수 없다
고 여겨집니다. 그동안에 우리의 주변에서 있었던 기념예배들을 다 말할 수는 없지만 조금만
열거해 보면 이렇습니다.

 
 
“8,15 광복절 기념예배(사건, 국가 기념일)” “518, 30주기 기념예배(사건, 민주화 운동)” “교
회창립 3주년 기념예배” “수양원 창립 50주년 기념예배” “헌당기념예배” “회사창립 기념예배”
 “개업기념예배” “출판기념예배” “학위취득 기념예배” “개교 87주년 및 이사장 이·취임 기념
예배” “어버이날기념예배” “순교 60주년 기념예배” 등 별별 이름의 기념예배들이 진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아무 행사에나 예배라는 이름을 붙이고 성경을 읽고, 찬송하며,
기도하고, 설교를 하면 그것이 예배인줄로 오해나 착각을 하고 있는 듯합니다. 예배와 같은
내용으로 순서를 진행한다고 그 것이 다 예배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기념예배가
참된 예배이고 바른 예배가 되려면 성경적으로 사람이나 사건 또는 절기를 기념하는 것이 왜
예배가 되는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광복절, 518 민주화 운동, 교회창립, 회사창립,
학위취득, 어버이날, 순교 등을 기념하는 행사가 어떻게 예배가 되는 것입니까?

 
 
기념예배가 왜 예배인지를 성경적으로 설명을 할 수 없다면 그 것은 바른 예배라고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교회청년부 창립2주년 기념 감사예배” “대구극동방송 설립허가 기념 감사
예배”의 경우는 창립2주년을 기념하여 감사 예배를 드린다는 의미와 방송 설립허가를 기념
하여 감사예배를 드린다고 하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예배의 명칭과 목적이 하나
님께 감사예배를 드린다는 것이므로 바른 명칭과 예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념에
초점이 맞추어질 수 있으므로 기념이라는 단어를 빼고 그냥 “교회청년부 창립2주년 감사예
배” “대구극동방송 설립 감사예배”라고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바른 예배는 예배대상(삼위하나님)을 위하고, 높이고, 영화롭게 하는 오직 한 가지 목적만으
로 하나님께 드려져야 참된 예배가 되는 것입니다.

 
 
기념예배는 명칭부터 산사람이나 죽은 사람, 또는 사건이나 절기를 기념하는 것이므로 왜곡된
예배인 것입니다.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에서 산사람이나 죽은 사람, 또는 사건을 기념하는 행
사가 합해진 상태를 어떻게 참된 예배라고 설명을 할 수 있을까요? 예배의 대상과, 목적, 내용
에서 예배와 행사가 혼합된 혼합주의 예배라고 밖에 설명을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이렇게 혼
합된 예배는 참된 예배가 아니라는 것을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기념예배의 목적은 사람의
일이나 공로를 잊지 않고 기리고 기념하며, 그 공로나 업적이나 또는 그 뜻을 이어가자는 것이
라고 봅니다. 쉽게 말하자면 마치 보이지 않는 기념비를 세우는 인간 중심의 행사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성경에 “사울이 갈멜에 이르러 자기를 위하여 기념비를 세우고 발길을 돌려
길갈로 내려갔다(사무엘상 15:12하)”이렇게 말씀합니다.

 
 
사울은 자기를 위하여 보이는 기념비를 세웠지만 “기념예배는 바로 보이지 않는 기념비를 세
우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념예배는 마땅히 감사예배로 드려져만 한다고
봅니다. 기념예배에서 간과되는 것이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하나님께서 기념할만한 일이나
업적을 남길 수 있도록 은혜를 주셨기 때문에 기념할 만한 사람이 되었고, 기념할 만한 일을
하고, 기념할 만한 업적을 남기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은혜는 간과되고 사람의
업적과 공로만을 보며, 그것을 앞세우고 기념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인간의 업적
이나 공로를 기억하고 기념하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되도록 은혜를 주신 하나님께 겸손한
음으로 감사하며, 감사예배를 드리는 것이 하나님앞에 성도의 마땅한 자세라고 여겨집니다.

 
 
4) 장례예배(葬禮禮拜, 임종예배, 입관예배, 발인예배, 하관예배)

 

 

사람이 세상을 떠나게 되면 그 사람을 매장(埋葬) 하거나 화장(火葬)하는 일을 장사(葬事)라

고 하며, 장사를 지내는 일이나 그런 예식을 장례라고 합니다. 사람이 세상을 떠나게 되면 이

러한 장례의식과 장례를 치르는 과정에서 많은 예배들이 행해지고 있습니다. 운명(殞命)하고

나면 “임종(臨終)예배”를 드리고, 염습(殮襲, 보통 염이라 함)을 하기 전에 “입관(入棺)예배”

를 드리며, 화장이나 매장을 하기위하여 떠나기 전에 “장례예배(영결예배, 발인예배, 고별예

배, 출관예배, 천국환송예배)”를 드리고 장지에 도착하여 매장을 하기 전에 “하관예배”를 드

리고 매장을 하면 장례의 모든 절차가 끝이 나게 됩니다. 그리고 집에 돌아와서 다시 “추모

(추도)예배” 또는 “위로예배”를 드리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한 사람이 세상을 나고 장례가

끝나기 까지 공식적으로 4~6회 정도의 예배가 진행되며, 그 사이에 장례식장에서 수차례의

예배를 진행합니다. 기독교의 장례가 거의 유교적인 절차와 비슷하게 진행되며, 그 절차마다

예배를 드린다는 것이 다른 점입니다.

 
 
장례식에 왜 이렇게 많은 예배가 드려지는지, 왜 이렇게 절차마다 예배를 드리게 되었는지 문
헌상으로 기록은 보이지 않습니다. 아마 전통적으로는 모든 사람들이 제사를 드리는데 믿는
사람들이 제사를 드리지 않고 그냥 있기가 민망하여 자주 예배를 드리게 된 것으로 보이며,
또 하나의 이유는 예배가 고인에게 유익이 된다고 하는 오해에서 많은 예배가 드려지게 된 것
으로 보입니다. 추모예배와 장례예배 등 장례와 관련된 모든 예배자체도 왜곡된 것이거니와
고인을 위한예배가 고인에게 유익이 된다고 하는 생각은 참으로 너무나 큰 오해인 것입니다.
비록 소수이기는 하겠지만 예배를 마치 불교의 위령제와 비슷한 것으로 오해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위령제慰靈祭,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

 
 
예배는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며, 고인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예배를
아무리 많이 드려도 고인에게는 아무 유익이 없으며, 예배를 한 번도 안 드려도 아무 손해도
없으며, 아무 상관이 없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임종예배, 입관예배, 장례예배(영결예배,
발인예배, 고별예배, 출관예배, 환송예배), 하관예배(화장예배), 추모(추도)예배, 위로예배를
드리지 않아도 고인에게는 아무 손해가 없으며 이러한 예배를 아무리 열심히 정성을 다하여
드려도 고인에게 아무런 유익도 없다는 것입니다. 장례식과 관련된 예배명칭의 의미를 풀어
보면 그 예배의 내용을 보지 않더라도 그 예배가 예배인지, 의식(행사)인지를 쉽게 식별할
수가 있다고 봅니다. 장례식에서 보통 임종예배, 입관예배, 장례예배(발인예배), 하관예배,
또는 화장예배, 추모(추도)예배, 위로예배 등의 이름으로 예배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예배의 명칭으로 쓰여 진 단어는 명사로 쓰였지만 사실은 동사의 성격, 즉 “하는” 또는
 “하기위한”이라는 의미를 가진 명사입니다. 장예예배를 정확하게 풀어서 쓰면 “장례하는
예배” “장례를 하기 위한 예배”가 되는 것입니다. 여타 다른 예배의 명칭도 같은 뜻입
니다. 그리고 예배의 명칭 앞에는 장례하는 사람의 이름이 붙게 됩니다. 쉽게 말해서 장례하
는 사람의 이름이 목적어가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홍길동 장례예배”라는 명칭의 정확한
의미는 “홍길동씨의 장례를 하는 예배, 또는 홍길동씨의 장례를 치르기 위한 예배”라는 뜻입
니다. 이 문구를 보게 되면 “홍길동이의 장례를 치르는 것”이 예배의 목적이 되며, 홍길동이가
그 장례예배의 주인공으로 인식이 되며, 하나님을 위해서 예배를 드리는 것이 아니라 장례를
치르는 홍길동이를 위해서 예배를 드린다는 의미가 되는 것입니다.

 
 
장례예배에는 예배 대상인 하나님과 장례를 치르는 대상(고인)이 나란히 공존하는 것입니다.
물론 고인이 예배대상은 아니지만 하나님을 예배하는 자리에서 고인의 장례를 치르는 행사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 됩니다. 입관, 발인, 하관예배 등 여타 예배도 같은 의미를 니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예배는 예배내용에 드려다 보면 더 확실하게 고인을 위한 예배임을 실감하게
됩니다. 예배를 하나님께 드린다고 하면서 고인의 약력소개, 업적보고, 조사, 추모사, 조시,
추모시, 조가 등을 부르고 고인을 애도하고 추모하고 업적을 기리는 일색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런 내용으로 행해지는 예배를 어떻게 하나님 중심의 바른 예배라고 할 수 있을
까요?

 
 
 
장례식과 관련된 예배명칭들의 의미를 알기 쉽게 하나씩 풀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종
[臨終]은 죽음을 맞이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임종예배는 죽음을 맞이하는 예배라는 의미가 되는 것입니다.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어떻게 예배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까? 입관[入棺]은 염(염습,殮襲)을 하여 시신을 관 속에 넣는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입관예배는 염을 하여 시신을 관에다 넣는 예배라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염(염습,殮襲)을 하여 시신을 관에다 넣는 것이 어떻게 예배라는 것입니까? 이것은 하나의 장례순서이며 의식인 것입니다. 장례[葬禮]는 장사를 지내는 일, 또는 그런 예식을 이르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장례예배라는 말은 장사를 지내는 예배, 장사를 지내기 위한예배라는 의미가 되는 것입니다. 장사를 지내는 것이 어떻게 예배가 됩니까?

 

 

장례는 죽은 사람을 매장하거나 화장을 하는 하나의 장례의식일 뿐이지 예배가 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영결[永訣]은 죽은 사람과 산 사람이 서로 영원히 헤어진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영결예배는 죽은 사람과 산 사람이 서로 영원히 헤어지는 예배, 영원히 헤어지기 위한 예배라는 의미가 되는 것입니다. 죽은 사람과 산 사람이 서로 헤어지는 것, 이별하는 것이 어떻게 예배가 된다는 것인지 묻고 싶습니다. 산사람이 이혼을 하면서 예배를 드리면 이혼예배가 된다고 하는 것과 같은 논리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발인[發靷]은 장례를 지내러 가기 위하여 상여가 집에서 떠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발인예배는 장례를 지내기 위하여 시신이 집에서 떠나가는 예배라는 뜻입니다. 장례를 지내기 위하여 시신이 집에서 나가는 것이 어떻게 예배가 된다는 것입니까? 발인은 장례식의 하나의 절차입니다.

 

 

그 절차에다 예배라는 이름 붙여 발인예배라고 하는 것은 뭔가가 잘못된 것입니다. 출관[出棺]이란 출상하기 위하여 관(棺)을 집 밖으로 내어 모시는 것을 말하며, 출상[出喪]이란 상가(喪家)에서 상여가 떠나는 것을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출관은 관이 집을 나오는 것이며 출상(발인)은 상여(시신)가 집에서 떠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출관예배는 관(棺)을 집 밖으로 내어 모시는 예배라는 말이 됩니다. 장례를 지내기 위하여 시신이 집에서 나오는 것이 어떻게 예배가 된다는 것인지를 모르겠습니다. 환송[歡送]이란 떠나는 사람을 기쁜 마음으로 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천국환송예배는 죽은 사람을 기쁜 마음으로 천국으로 떠나보내는 예배, 또는 죽은 사람을 기쁜 마음으로 천국으로 떠나보내기 위한 예배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입니다. 죽은 사람을 기쁜 마음으로 천국으로 떠나보내는 것은 매우 귀한 일이며, 꼭 천국으로 보내야 하겠지요. 그러나 그것이 왜 예배가 되는지는 이해가 안 되는 부분입니다.

 

 

죽은 사람을 천국으로 떠나보내는 것이 어떻게 예배가 되는 것입니까? 고별[告別]은 장례 때에 죽은 사람에게 이별을 알린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고별예배는 죽은 사람에게 이별을 고하는 예배라는 의미가 되는 것이지요. 죽은 사람에게 이별을 고하는 것이 어떻게, 왜 예배라는 것입니까? 하관[下棺]은 시체를 묻을 때에 관을 광(壙, 시체를 묻기 위하여 판 구덩이)가운 대로 내리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관예배는 시체를 땅에 매장하는 예배, 시체를 땅에 묻기 위한 예배라는 의미가 되는 것입니다. 하관은 전통적인 매장 순서 중에 쓰여 지는 용어이며, 하나의 매장의식에 불과합니다. 시체를 땅에 매장하는 의식에다 예배라는 명칭을 붙인다고 그 것이 예배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시체를 땅에 매장하는 의식이 어떻게, 왜 예배가 되는 것입니까?

 

 

화장[火葬]은 시체를 불에 살라 장사 지낸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화장예배는 시체를 불에 태우는 예배, 시체를 불에 태우기 위한 예배라는 의미입니다. 시체를 불에 태우는 것이 어떻게 예배가 되는지를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시체를 불에 태우는 것이 예배라는 말은 좀 우습지 않습니까? 말이 예배이지 예배가 아닌 것입니다. 납골[納骨]은 봉안을 이르는 말이며, 봉안[奉安]은 시신을 화장하여 그 유골을 그릇이나 봉안 당에 모시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납골예배는 유골을 그릇에 담아서 안치하는 예배라는 뜻입니다. 유골을 그릇에 담아서 안치하는 것이 왜, 떻게 예배가 되는 것입니까? 추도[追悼]는 죽은 사람을 생각하며 슬퍼 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추도예배는 죽은 사람을 생각하며 슬퍼하는 예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죽은 사람을 생각하여 슬퍼하는 것이 어떻게 예배되는 지를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추모[追慕]는 죽은 사람을 그리워하며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추모예배는 죽은 사람을 그리워하며 생각 예배라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죽은 사람을 그리워하며 생각하는 것이 어떻게 예배가 된다는 것입니까?
 
 

※ 추모, 추도예배는 별도로 다룬 추모예배, 추도예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위로[慰勞]는 따뜻한 말이나 행동으로 괴로움을 덜어 주거나 슬픔을 달래 준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위로예배는 유족을 위로하는 예배라는 의미입니다. 사람(유족)을 위로하는 것이 어떻게 예배가 된다는 것인지를 설명할 수가 없습니다. 위와 같은 예배들은 모두가 하나같이 장례의식 내용을 나타내는 명칭들이며, 사람(고인이나 유족)을 위한 명칭들로서 이미 예배명칭 자체가 하나님을 높이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하나님을 중심의 예배가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예배들은 그 내용도 역시 의식을 따라가게 되므로 예배가 아니라 장례의식으로 보아야만 합니다. 위의 예배명칭들은 전통적인 쓰여지는 장례절차와 장례의식(행사)에다 예배라는 명칭을 붙여서 여러 종류의 예배라고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예배는 예배의 본질을 왜곡시키는 잘못된 예배인 것입니다.
 
 

많은 목사들이나 성도들이 아무 행사에나 예배라는 이름을 붙이고 성경을 읽고, 찬송하며, 기도하고, 설교를 하면 그것이 예배인줄로 인식을 하고 있다는 것은 심히 우려할 만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아무 행사에나 예배라는 이름을 붙이고. 예배와 같은 내용으로 순서를 진행한다고 해서 그런 것이 다 예배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봅니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장례예배, 영결예배, 발인예배, 고별예배, 출관예배, 환송예배라는 예배에서는 고인의 약력보고가 있으며, 업적을 말하며 기리고, 찬양하며, 조사, 추모사가 있고, 조시와 추모시도 있으며, 조가를 부르고, 심지어 천국입성을 축하한다는 축사를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내용들은 장례식 행사에서 하는 것이지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의 내용들이 아닙니다. 예배의 내용이 아닌 순서와 절차에서 찬송, 기도, 설교가 있다고 그것을 예배라고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굳이, 예배라는 명칭을 붙인다면 왜곡된 혼합주의 예배라고 밖에 달리 말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바른 예배인지 아닌지를 가늠하는 기준은 성격적으로 설명을 할 수 있 는가 없는가에 달려있는 것입니다. 임종예배, 입관예배, 장례예배, 발인예배, 출관예배, 하관예배, 화장예배, 납골예배가 왜 예배인지를 성격적으로 설명을 할 수 없다면 그 것은 바른 예배라고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이러한 예배는 다른 혼합주의 예배와 동일하게 한 예배 안에 두개의 대상, 즉 예배의 대상(하나님)이 있고, 장례의 대상(죽은사람)이 함께 공존하며, 또한 예배의 목적과 장례순서의 여러 가지 목적을 함께 가지고 진행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장례식과 함께 진행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예배는 예배의 성격이 하나님을 위한 예배라기보다는 사람을 위한 예배이며, 죽은 사람의 장사를 치루는 것이 예배의 목적으로 하나님을 중심한 예배가 아니라 사람중심의 왜곡된 예배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성경에는 사람의 죽음과 관련하여 예배를 드리거나 제사를 드린 일은 없습니다.

 

 

“아버지께 참되게 예배하는 자들은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 때라 아버지께서는 자기에게 이렇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니라” (요 4:23-24)
 
 

설교자: 시온교회, 류 재 봉 목 사

-------------------------------------------------------------------------------------------------------------

* 국내외 한국교회 장례예배 대안(교회들이 즉시 반영하면 좋겠습니다): http://j.mp/GWYAjI


댓글 '1'

최용우

2012.03.28 23:25:14

게시물에서 계속 스크립트 에러가 납니다.ㅠㅠ
태그를 숨겨놓은 게시물은 운영자가 임으로 수정하거나 삭제를 합니다.
원활한 시스템 운영상 어쩔수 없는 조치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594 광고알림 성령의 놀라운 은혜가운데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샘지기 2012-05-25 1610
8593 광고알림 환상, 방언통역, 영서 은사접목 세미나 밀알 2012-05-25 3106
8592 광고알림 100배행복 전도학교-5천만이 행복한 그날까지 교회여일어나라 100배행복전도학교 2012-05-25 1464
8591 광고알림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2012학년도 후기 신입생을 모집 thewha 2012-05-22 1661
8590 광고알림 바이블 맥 세미나 100주년 기념관 1일 컨퍼런스 임목사 2012-05-21 1351
8589 광고알림 구속사세미나 김성수 2012-05-21 2088
8588 광고알림 성경암송 2000구절 쉽게외우기 및 설교작성법 세미나 목회자 2012-05-21 3996
8587 광고알림 토요일 2시 (어려운 사람들 모여 예배드립시다.) 주님사랑 2012-05-19 1293
8586 광고알림 답답할 때는 상담과 예언을 받아보세요! 주님사랑 2012-05-19 1428
8585 광고알림 장학일목사 입니다. 장학일 목사 2012-05-17 1577
8584 광고알림 TIM 7차 열린하늘, 성령의 불 컨퍼런스 초청 노상국 2012-05-17 1580
8583 광고알림 독서속독법 개척교회 전도와 교육을 위한 세미나 이우상 2012-05-17 1665
8582 광고알림 발성클리닉 6월강좌안내 한국성악아카데미연구 2012-05-17 1457
8581 광고알림 자녀에게 사랑의 이메일 보내기 캠페인(한국청소년상담원)에 참여하세요. Apple 2012-05-16 1308
8580 무엇이든 청국장가루 제대로 알고 먹읍시다. 두레박 2012-05-15 2266
8579 광고알림 대전 서구 매노동 수양관, 기도원, 테마식당, 가든 참사랑 2012-05-15 2092
8578 방명록 나의 어리석음 준아빠 2012-05-14 42531
8577 광고알림 성령의 임재하심이 강력한 수양회 금광교회 2012-05-13 1831
8576 광고알림 준비된 교회개척의 성공비결. 행복으로 이끄는 교회개척노하우 곽은영 2012-05-13 1791
8575 광고알림 축복시크릿(The Secret Of Blessing) 목회자 집중연수과정 서울선교총회 2012-05-13 1500
8574 광고알림 하루 8시간 "집중기도훈련" 기도,찬양,말씀읽기! 새나라교회 2012-05-13 2021
8573 광고알림 보혈의 능력 세미나 김중덕 목사 2012-05-13 1559
8572 광고알림 교회교육 및 교사교육 1일 전도세미나에 초대합니다 크리스천투데이 2012-05-11 1037
8571 칼럼수필 원페이지북 제522호 - 느린 것이 아릅답다 원페이지북 2012-05-11 1653
8570 가족글방 샬롬! 보배담은질그릇 2012년 봄 기도편지입니다. 김성진 선교사 2012-05-11 2039
8569 무엇이든 삶의 기쁨 emflaj 2012-05-09 1348
8568 자료공유 원페이지북 제518호 - 우유의 역습 원페이지북 2012-05-09 1559
8567 광고알림 [교회 20인] 우상숭배 설교 자료 박노아 2012-05-08 3104
8566 광고알림 교회의 목적인 영혼구원의 최고의 방법 오이코스 세미나(서울) md 2012-05-05 1256
8565 광고알림 은혜! 능력! 받고 싶은 분은 오세요! 주님사랑 2012-05-03 1328
8564 광고알림 17차 성령치유집회(예언,상담,치유,기름부으심) 주님사랑 2012-05-03 1691
8563 방명록 피아노 준아빠 2012-05-02 39133
8562 광고알림 게슈탈트 치료집단 SAIP 2012-04-30 1369
8561 광고알림 환상 입신 예언 치유 축복 성회 - 안양 주님의 교회 임마누엘 2012-04-30 2431
8560 광고알림 Kingdom Church Pjant 세미나 밀알 2012-04-30 1730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