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한 글자의 힘

수필칼럼사설 이갑수............... 조회 수 2081 추천 수 0 2012.04.07 11:27:38
.........
출처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4062103325&code=990335 

[낮은 목소리로]한 글자의 힘

이갑수 궁리출판 대표

경향신문 2012.4.7일자

 

영어를 정식으로 배운 건 중학생 때부터이다. 겨우 알파벳만 떠듬거리며 첫시간을 맞았는데 미리 공부를 해온 친구들이 있었다. 고작 에그(egg), 스쿨(school), 애플(apple)을 발음하는 정도였지만 나는 주눅이 팍 들었다. 철조망 같은 줄이 그어진 펜먼십 노트에 철자 연습부터 시작했다. 영어를 잘해야 성공한다는 압력도 많이 받았다. 하지만 나는 영어와는 그다지 친하지 못했고, 따라서 잘하지도 못했다. 지금도 영어에 능통한 이를 보면 부럽다는 감정보다도 신기하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그럭저럭 대학을 졸업하고 한 줄의 글이라도 끼적거리게 되었을 때 우리말을 제대로 쓰기가 결코 쉬운 일이 아님을 통렬히 느꼈다. 내가 동원할 수 있는 빈약한 어휘는 금방 밑천이 바닥났다. 하는 수 없이 먼지 묻은 국어사전을 꺼냈다. 문득 초등학교부터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국어사전은 제대로 들춘 적이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영어사전은 손때를 많이 묻혔는데 정작 국어사전은 소홀히 대했다는 진한 부끄러움이 몰려왔다.

만회라도 하듯 국어사전을 한동안 끼고 살았다. 작은 사전은 좋은 장난감이기도 했다. 특히 순우리말을 찾는 재미가 새록새록 생겨났다. 가령 발밤발밤이라는 우리말이 있다. 가는 곳을 정하지 않고 발길이 가는 대로 한 걸음 한 걸음 천천히 걷는 모양. 뜻을 새기며 입에 넣고 웅얼거리면 단침이 고였다. 환한 달밤이면 일부러 발밤발밤 거닐고 싶어졌다.

제대로 한번 공부해 보자, 작정하고 기역의 ‘가’부터 국어사전을 훑어나갔다. 순우리말은 따로 골라서 공책에 옮겨 적었다. 히읗의 ‘힝’까지 갔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비읍쯤에서 중단했다. 아뿔싸, 웬 여인한테 그만 눈이 삔 것이다. 그때 그 사전 그 공책, 지금은 모두 없다. 여인만 남았다. 하지만 이런 글이라도 끙끙거리며 쓸 때 맞춤한 단어들이 툭툭 튀어나와 주는 건 그 시절에 국어사전과 뒹군 덕분일 것이다.

우연찮게 알게 된 영어 단어가 있다. four-letter word. 겉으로 드러나는 뜻은 ‘4글자 말’이지만 속으로는 욕 또는 육두문자라는 의미다. 영어에서 천하고 상스러운 단어들이 대부분 4글자로 이루어져서 그런 뜻을 가졌다고 한다.

좀 고약한 말들의 꾸러미를 그렇게 글자 수라는 공통점으로 묶어 표현한 숙어를 보니 기발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다가 우리말의 어휘에 대한 이런저런 궁금한 생각이 일어났다.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을 분석한 자료를 찾아보았다. 3권으로 된 이 방대한 사전의 주표제어는 44만594개이다. 웬만한 우리말은 다 들어있는 셈이다. 이 중 명사는 33만5057개(65%), 동사는 6만8394개(13%)이다. 그리고 2음절의 단어는 14만1675개, 3음절은 12만1368개, 4음절은 10만2895개로 이들이 전체 단어의 83%나 되었다.

최근 거리를 걷다보면 기존의 간판을 제외하고도 갑자기 읽을거리가 많이 생겨났다. 그것은 담벼락에도 붙어 있고 현수막으로도 나부끼고 있다. 큰일을 하겠다고 나선 이들의 주장이 담겨 있는 글들이다. 아마도 그 83%는 틀림없이 2개, 3개, 4개의 음절로 된 단어들 중에서 골라 조립한 문장일 것이다.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인간의 중요한 특징은 언어능력이다. 물론 언어는 고도로 발달한 뇌의 구조와 기능이 있기에 가능하다. 하지만 그와 함께 구강과 후두(, 설골이 진화해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는 능력을 지니게 됐기 때문이기도 하다. 구강과 관련된 재미있는 사실이 있다. 이 인체 부위에 닿아있는 단어는 거의 한 글자로 된 어휘들이다. 보라. 직접적인 것은 입, 이, 혀. 그곳을 들락날락거리는 것은 침, 밥, 물, 술, 숨 그리고 말.

앞에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말에서 한 음절로 이루어진 단어는 6421개이다. 당장 몇 개를 읊어본다. 해, 달, 별, 산, 강, 일, 총, 균, 쇠, 불, 돈, 길, 글, 책, 너, 나. 작은 고추가 맵다는 말처럼 한 음절의 글자들은 모두 강한 힘을 비축하고 있는 것 같다. 비록 어휘 수가 많은 편은 아니지만 이들을 죄 동원해 한 문장씩만 만들어도 오늘치 경향신문의 지면을 도배하고도 남을 것이다.

재미있는 농담이 있다. 살아가는 동안 살까말까의 경우, 말다가 정답이란다. 갈까말까의 경우엔 간다가 정답이란다. 이는 경험칙으로도 맞는 말인 것 같다. 전자가 명사를 구한다면 후자는 동사를 부린다. 명사가 많은 곳은 고여 있는 사회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명사가 동사보다 5배나 많다. 동사를 많이 사용해야 살아 있는 사회일 것이다.

한 글자의 단어를 5개 더 사용하면서 이 칼럼을 마무리하자. 우리는 누구나 꿈을 가지고 산다. 혼자 꾸는 꿈도 있지만 함께 꾸는 꿈도 있다. 살맛나는 세상은 우리가 움직이면 그만큼 더 빨리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혹 투표장에 갈까말까 망설임의 순간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땐 동사를 선택하자. 가자. 그리고 손으로 꾸욱 ‘한 표!’를 찍으면서 우리 각자는 힘이 대단히 세다는 것을 증명하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878 주보회보신문 성령 강림절(聖靈 降臨節,The Whitsunday) 최용우 2010-02-22 2983
1877 주보회보신문 밝은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탐나는 2010-02-20 2932
1876 주보회보신문 부활절 관련 자료 최용우 2010-02-20 2978
1875 주보회보신문 마귀를 낙심시키는 방법 나무 2010-02-18 2004
1874 주보회보신문 집사의 직분을 잘한 자는 [1] 최용우 2010-02-17 3207
1873 주보회보신문 신학대전-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하는 책 file 최용우 2010-02-17 3628
1872 목회독서교육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요약 이동익 2010-02-17 7074
1871 성경적재정원리 돈은 하나님 앞에 어떤 모습인가? 신상래 목사 2010-02-17 4896
1870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20] 영(靈)과 육(肉)의 투쟁 어거스틴 2010-02-16 3069
1869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19] 의지의 분열 어거스틴 2010-02-16 2930
1868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18] 두 가지 마음 어거스틴 2010-02-16 3002
1867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17] 정원에서 어거스틴 2010-02-16 2961
1866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16] 이야기의 감화력 어거스틴 2010-02-16 2948
1865 성경적재정원리 빚을 갚는 3단계 원칙 [1] 신상래 목사 2010-02-16 4642
1864 경포호수가에서 고개 숙인 1등 피러한 2010-02-14 2303
1863 주보회보신문 백합화 향내를 내는 삶 이한규 목사 2010-02-14 2179
1862 주보회보신문 8가지 역설의 축복 이한규 목사 2010-02-14 2324
1861 주보회보신문 하나님의 사랑 이한규 목사 2010-02-14 2821
1860 주보회보신문 이웃을 사랑하십시오 이한규 목사 2010-02-13 2324
1859 주보회보신문 참된 신앙인의 모습 이한규 목사 2010-02-13 2577
1858 주보회보신문 부모의 품을 떠나십시오 이한규 목사 2010-02-13 2483
1857 주보회보신문 절제된 언어는 행복의 원천입니다 이한규 목사 2010-02-13 2522
1856 주보회보신문 인간이 겪는 4가지 고통과 해결책이한규 이한규 목사 2010-02-13 2542
1855 주보회보신문 하나님을 떠난 백성의 5가지 모습 이한규 목사 2010-02-13 2412
1854 주보회보신문 그리스도의 일꾼의 5가지 정의 이한규 목사 2010-02-13 2388
1853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15] 안토니우스의 생애 어거스틴 2010-02-12 3222
1852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 114] 개종을 지체시킨 것은 무엇인가 어거스틴 2010-02-12 2723
1851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13] 고귀한 사람들의 개종이 갖는 의미 어거스틴 2010-02-12 2903
1850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12] 개종의 행운 어거스틴 2010-02-12 2754
1849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11] 빅토리누스의 개종 어거스틴 2010-02-12 3087
1848 성경적재정원리 어떻게 일자리를 찾을 것인가? [1] 신상래 목사 2010-02-10 3584
1847 성경적재정원리 신용카드는 악성부채로 가는 인계철선입니다. [1] 신상래 목사 2010-02-08 3816
1846 논문신학성경 성전보다 더 큰 이가 여기 있다 양용의 교수 2010-02-07 2604
1845 논문신학성경 방언에 대한 이해 이광호 목사 2010-02-07 2742
1844 논문신학성경 청소년 분노 치유를 위한 기독교교육 모델 연구 기독교교육연구소 2010-02-07 2798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