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독수공방은 최용우가 혼자 북치고 장구치며 노는 공간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글들이 있으며 특히 <일기>는 모두 12권의 책으로 만들었습니다. 인터넷 교보문고에서 현재 6권을 판매중입니다. 책구입 클릭!

망종입니다.

만화그림글씨 최용우............... 조회 수 1491 추천 수 0 2012.06.04 23:36:48
.........

망종 s노트로 그림그리기에 도전해 봤는데 완전 어색하네요.ㅠㅠ

 

오늘은 망종(芒種)입니다

 

망종(芒種)이란 뜻은 벼, 보리 등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芒) 곡식의 종자(種)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입니다. 농촌에서는 모내기와 보리베기를 하는 시기입니다. 1년 중 가장 바쁜 때이고 제가 초등학교, 중학교를 다녔던 70년대 80년대에는 망종 즈음에 '농번기방학'이라는 것이 있어서 일주일씩 학교에 안갔던 기억이 나네요.
보리 그스름이라고 아세요? 전남지방에서는 망종날 '보리 그스름'이라 하여 아직 단단하게 여물지 않은 풋보리를 베어다 불에 그스름을 해서 손바닥으로 비벼 먹었는데 정말 맛있었지요.
또한 노지딸기가 나는 시기입니다. 요즘은 대부분 비밀하우스에서 딸기를 재배하기 때문에 1년 내내 계절 없이 딸기생산을 하지만, 논과 밭에서 철따라 거두는 딸기는 요즘이 제절입니다. 그래서 겔럭시노트 핸드폰으로 딸기 그림을 한번 그려봤는데 익숙하지 않아서인지 잘 안그려졌네요.
사방천지에 찔레꽃 향기가 진동을 합니다. 요즘은 나무에 피는 꽃들이 꽃을 내는 시기입니다. 푸르른 녹음도 이제 지친 듯 따가운 햇볕에 잎을 늘어뜨리기 시작하네요. 모두모두 사랑합니다. ⓒ최용우 2012.6.5

-------------------------------

 

정규호의 절기 이야기
망종, 여름철 별미 집장 한번 담궈 볼까?
정규호(세종전통장류명품화사업단 사무국장) 

 

망종날 하늘에서 천둥이 요란하게 치면, 그 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 하였으며, 망종이 늦게 들어도 빨리 들어도 안 좋으며

            


힘겨운 보릿고개를 잘 넘어온 시기이다. 망종은 말 그대로 까그라기 종자라는 뜻으로, 보리와 밀을 수확하는 시기를 일컫는 말이다. 보릿고개를 넘어 식량은 해결했지만 없어서는 안 될 식품인 장(醬)이 떨어질 시기이다. 올해 담근 장을 먹을 시기인 9월까지 전 해 담근 장을 먹어야 하나, 6월이면 장이 떨어져 여름에 먹을 장이 모자라게 된다. 이를 슬기롭게 넘기기 위해 조상들은 망종때면 수확한 밀, 보리를 원료로 단기간 숙성하여 여름철 먹을 장인 ‘즙장(汁醬)’을 만들었는데, 오늘날 각 지방별 독특한 풍미를 지닌 여름철의 별미인 ‘집장’이다. 올 여름 신선한 야채와 함께 건강한 밥상을 위한 ‘집장’을 담 궈 여름철 별미를 느껴보자!

망종은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드는 절기로, 24절기 가운데 아홉째에 해당하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75°에 이르는 6월 6일경에서 하지 전까지의 약 15일간의 절기이다. 이때에는 보리 베기를 비롯하여 모심기, 콩 심기 등 일 년 중에 농사일이 가장 바쁠 때이다. 특히 망종을 넘기면 모내기가 늦어지고, 바람에 보리가 쓰러져 수확이 어려워 바쁘지만 철을 넘겨서는 안되는 농사일이 산적해 있는 시기이다. 그래서 망종과 관련하여 ‘ 보리는 씨 뿌릴 때는 백일, 거둘 때는 삼일’이라는 속담과 함께 ‘발등에 오줌 싼다’, ‘별보고 나가 별 보고 들어 온다’ 등, 농사일이 바쁨을 비유한 속담들이 많다. 또한 망종에는 보리수확과 관련하여 지방마다 다양한 세시풍속이 있었다.

전남지방에서는 망종날을 '보리 그스름'이라 하고, 경상도에서는 ‘보리서리’라는 풍속이 있었는데 아직 남아있는 풋보리를 베어다 그스름을 해먹으면 이듬해 보리농사가 잘 되어 곡물이 잘 여물며 그 해 보리밥도 달게 먹을 수 있다고 하며, 풋보리를 밤이슬을 맞혀서 먹으면 허리가 아프지 않고 한 해 병이 들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망종보기’라 하여 망종이 빠른 날짜에 오는지 늦게 오는지에 따라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이 있었다. 전남, 충남, 제주도에서는 망종날 하늘에서 천둥이 요란하게 치면, 그 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 하였으며, 경남 섬 지방에서는 망종이 늦게 들어도 빨리 들어도 안 좋으며 가운데에 들어야 가장 좋다고 하였다.

이 밖에 망종날 풋보리 이삭을 뜯어 손으로 비벼 껍질을 벗긴 후 솥에 볶아서 맷돌에 간 다음, 체로 쳐서 죽을 끓여 먹으면 여름에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는 속설도 있었다.

   
▲ 여름철 별미 집장


망종 때 가정에서는 여름철에 먹을 ‘즙장’을 즐겨 담궜다. ‘즙장’은 된장, 간장, 고추장, 청국장과 함께 우리 민족의 중요한 전통장류이다. 찐 밀과 콩을 섞은 뒤 고온으로 단기간에 발효시켜 만드는 장으로 색깔은 된장보다 어두운 노란색이나 맛은 된장보다 고소하고 단맛이 나 주로 쌈장과 오이, 풋고추 장으로 서민층에 널리 이용되었는데 주로 높은 열을 유지하는 퇴비더미 속에서 단기간 발효시켜야만 하는 제조상의 단점과 밀 생산량의 급감 등으로 1900년대 초부터 우리 식탁에서 점차 사라졌으나, 현대에 와서 ‘집장’으로 재인식 되면서 명맥을 유지해 오던 즙장은 각 지방별 풍미를 지닌 전통장류로 발달되어 식탁에 오르고 있으며, 여름철 별미로 각광을 받고 있다.

집장이 여름철 전통장류로 자리 잡게 된 것은 나름 조상들의 애환이 서려있다. 민족의 위대한 식품인 장(醬)은 음력 정월에 담궜다가 약 열 달정도 숙성시킨뒤에 9월경부터 먹을 수 있는데, 여름철인 7월이나 8월경이면 장(醬)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식량이 없어 보리고개 넘듯이 장(醬)도 그러한 시기가 있다. 그래서 망종 무렵인 6월경부터 단기간 숙성하여 먹을 수 있는 ‘집장’을 담궈 여름철에 모자라는 장(醬)을 충당하였다. 그래서 된장은 가을에 수확한 콩을 주원료로 하지만, 집장은 망종 무렵 수확한 보리나 밀을 주원료로 하여 담궜다.

이러한 집장은 지역마다 재료와 만드는 법을 달리 하여 특색 있고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음식의 고장 전라도에서는 곱게 빻은 메줏가루를 보릿가루, 고춧가루와 함께 찹쌀 죽에 섞은 뒤 소금에 절인 고춧잎, 무 등의 채소를 박아 넣고 익힌 장으로 새콤하고 고소한 맛이 나서 보리밥과 잘 어울린다. 또한 충청도에서는 밀을 쪄서 집장메주를 만들어 발효시킨 다음 찹쌀과 고춧가루, 물엿 등을 가미하여 집장을 만들어 먹는데 그냥 쌈장용으로 먹기도 하며, 야채와 고기를 곁들어 볶아 먹기도 한다. 특히 메주가루를 주원료로 동치미국물에 장을 담 궈 부뚜막에서 발효시킨 천안의 빠금장이 유명하다. 이 외에도 등겨장, 막장 등이 각 지방의 풍미를 지닌 집장의 한 종류이다.

‘되는 집안은 장맛도 달다’라는 말이 있듯이 어머니의 손길로 천년을 이어온 장(醬)은 집안의 자긍심 그 자체였다. 더운 여름날 장이 잘 익기를 바라며 정성스럽게 장독대를 닦으시던 어머니의 모습을 떠올려 본다. 집안에 장(醬)이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계절의 별미로 즐겼던 집장은 조상들의 애환과 슬기가 함축된 건강한 장류이다. 다가올 여름에는 새콤한 집장을 곁들인 신선한 식탁에서 고향의 별미를 맛보며 더위를 날려 보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95 쑥티일기12-14 청벽산 오르다 file 최용우 2012-07-25 4904
3394 쑥티일기12-14 부용봉 오르다 file [2] 최용우 2012-07-24 1376
3393 만화그림글씨 어제는 대서(大暑)였습니다. [1] 최용우 2012-07-23 1113
3392 쑥티일기12-14 괴화산 오르다 file 최용우 2012-07-21 2039
3391 쑥티일기12-14 오늘은 雨요일 최용우 2012-07-19 1162
3390 쑥티일기12-14 여행의 즐거움은 아무도 모른다네 file 최용우 2012-07-18 2094
3389 쑥티일기12-14 밝은이의 미국여행 file 최용우 2012-07-16 1505
3388 감사.칼럼.기타 [십자가 묵상] 양심의 십자가 최용우 2012-07-15 1237
3387 감사.칼럼.기타 [십자가묵상] 다짐의 십자가 최용우 2012-07-15 1235
3386 쑥티일기12-14 글을 써 보세요 file 최용우 2012-07-14 1119
3385 쑥티일기12-14 오디 최용우 2012-07-13 1218
3384 쑥티일기12-14 로또복권 1등 최용우 2012-07-12 1623
3383 쑥티일기12-14 시인과 정치인 최용우 2012-07-11 1095
3382 쑥티일기12-14 언제나 상큼 발랄한 여고생 file 최용우 2012-07-10 2564
3381 쑥티일기12-14 비워야 채울 수 있다 최용우 2012-07-09 1904
3380 만화그림글씨 오늘은 소서입니다. 최용우 2012-07-07 1170
3379 쑥티일기12-14 잡초와 같은 사람들 최용우 2012-07-06 1291
3378 쑥티일기12-14 병원에 가니 file [1] 최용우 2012-07-04 1141
3377 만화그림글씨 2012.7월 달력그림 [1] 최용우 2012-07-04 1776
3376 쑥티일기12-14 문자 안부 최용우 2012-07-03 1751
3375 쑥티일기12-14 다 아셔야 합니다 file 최용우 2012-06-30 1166
3374 쑥티일기12-14 무엇을 쓸까? 최용우 2012-06-28 1109
3373 쑥티일기12-14 서울대학교 최용우 2012-06-28 5004
3372 쑥티일기12-14 오후 한시간 최용우 2012-06-27 1225
3371 쑥티일기12-14 땅따먹기 최용우 2012-06-26 1516
3370 쑥티일기12-14 손에 오줌을 안 흘리려면 최용우 2012-06-25 1467
3369 쑥티일기12-14 거짓으로 호리는 사람들 file 최용우 2012-06-22 1312
3368 만화그림글씨 오늘은 하지입니다. [1] 최용우 2012-06-21 1299
3367 쑥티일기12-14 부동산중개소와 양귀비 최용우 2012-06-19 1221
3366 쑥티일기12-14 나무도 피를 흘린다 최용우 2012-06-18 1257
3365 만화그림글씨 2012.6월 달력그림 file 최용우 2012-06-17 1257
3364 쑥티일기12-14 빵을 굽는 불길 최용우 2012-06-16 1400
3363 쑥티일기12-14 저녁노을 최용우 2012-06-15 1456
3362 쑥티일기12-14 4대강과 가뭄 file [2] 최용우 2012-06-14 2022
3361 쑥티일기12-14 세상에서 제일 큰 빵공장 최용우 2012-06-11 1943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