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자살 바이러스

김필곤 목사............... 조회 수 2335 추천 수 0 2012.07.04 23:58:13
.........
01.jpg

자살 바이러스

 

자살은 치료할 수 없습니다. 예방이 최우선일 뿐입니다. 자살은 견딜 수 없는 생활 상태를 피하기 위해 자기 목숨을 버리는 고의적 행동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요즈음 하루에 평균 34명씩 스스로 목숨을 끊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사망자 수는 24만 4,874명이었습니다. 그 중 1만 2,174명이 자살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4위고, '할복의 나라' 일본은 물론, 자살률 세계 1위 헝가리마저 제치고 OECD 국가 중에서 단연 1위를 차지했습니다.

자살의 원인은 여러 가지 일 수 있습니다. 경제적 파산, 갑작스런 충격과 변화, 유전적 소질, 성격적 특성, 양육환경, 자살 가족력, 만성신체질환, 정신병, 사회통합도 약화, 우울증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드샤 박사는 자살의 주요 동기를 “세 가지 문의 법칙” 즉, 비상구, 출구, 입구로 보았습니다. 자살자들은 죽음을 이생으로부터 도피(비상구)로 여기고, 죽음을 생명의 파괴(출구)로 여기며, 죽음이 무생명, 무존재, 무가치한 것이기를 소망 할 때 자살은 그 입구가 된다고 합니다. 뒤르껭은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집단으로부터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을 자살의 원인으로 말하며, 개인의 사회적 고립현상을 아노미(anomie) 현상이라고 말합니다. 세인즈 버리는 자살의 원인을 “고독”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는 런던에서 발생한 자살을 분석하면서 “뿌리 깊은 가난”보다 “고독”이 자살의 주원이라고 밝혔습니다. 엔딕스는 자살은 직장 동료나 이웃 가족들 사이의 인간관계에 의한 “상처받은 자존심”, “굴욕감”에서 발생한다고 말합니다.

자살을 시도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당시에 정신장애를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우울증이 약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정신분열증이 10%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들 중 약 25%가 술 중독 문제를 같이 가지고 있으며, 그밖에 여러 가지의 약물 남용의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고 합니다. 자살로 인한 손실은 막대하다고 합니다. 국립서울병원은 한 해 자살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액을 3조 856억 원으로 추산했습니다. 자살 바이러스가 어떤 바이러스보다 강하게 생명을 해치는 시대입니다. 기독교인도 자살 바이러스에서 예외는 아닙니다. 유명 연예인들의 자살은 대부분 그 장례식에 십자가가 걸려 있었습니다.

기독교에서는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받은 고귀한 존재로, 자살은 죄이며 생명을 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모독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간의 생명은 신성하고 생명 자체로 존엄한 것입니다. 그 누구도 자신의 생명을 빼앗을 권리가 없습니다. 교회역사를 보면 453년 알레스 회의에서는 자살을 정죄하였고, 533년 2차 오를레앙 회의에서는 자살자에 대한 헌금을 금했으며, 639년 톨레도 회의에서는 자살 기도자에게 2개월 출교시키는 징벌을 내렸습니다. 자살자의 시체는 신성 모독이라고 하여 길거리에 팽개칠 때도 있었고 토마스 아퀴나스는 자살은 하나님께 대한 죄로(신32:39), 죄를 회개하여 용서받을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한 치명적인 죄라고 하였습니다.

성경에도 자살한 사람들이 나옵니다. 아비멜렉은 기드온의 첩이 낳은 아들로서 이복형제 70명을 살해하고 정권을 잡았습니다. 집권 3년 만에 여인이 던진 맷돌에 머리뼈가 파쇄 되자 병기 잡은 자에게 자신을 치게 하여 자살했습니다(삿9:52-54). 이스라엘 초대왕 사울도 블레셋 전쟁에서 중상을 입자 스스로 자결하였습니다(삼하31:4). 압살롬을 도와 부왕 다윗을 배반하고 정권을 잡게 한 아히도벨도 모략이 수포로 돌아가자 스스로 목매어 죽었습니다(삼하17:23).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시므리가 집권 7일 만에 왕도가 포위되자 불을 지르고 그 속에서 죽었습니다(왕상16:18). 은 30에 예수님을 인신매매한 유다가 그것을 성전에 던져 놓고 물러가 스스로 목매달아 죽었습니다(마27:5). 성경은 이들의 자살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평하지 않지만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자살은 살라는 하나님의 명령의 거부이며(창2:16-17), 천하보다 귀한 생명의 파괴이고(막8:36-37), 가혹한 자기 처벌임과 동시에(마27:3-5), 견딜 수 없는 현실을 잘못된 방법으로 벗어나기 위한 가학적 생명 파괴입니다.

인도에서 남편을 여윈 아내를 남편과 함께 화장하는 수띠(Suttee), 일본의 할복자살처럼 미화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세네카는 자살이 인간의 고유한 권리이므로 죄가 될 수 없다고 합니다. 흄은 자살은 인간을 다시 본래의 타고난 자유에로 환원시키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자살은 결코 미덕이 될 수 없습니다. 어거스틴은 “인간은 하나님의 율법인 십계명의 제 6계명에 ‘살인하지 말라’고 자살을 금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야 한다.”고 했습니다. 바울은 신자의 몸이 하나님께 속한 것이고(고전6:13), 그 몸은 성령의 전(고전6:19)이라고 하였습니다. 신앙인의 생명은 하나님의 형상을 가졌고, 하나님의 은총을 받아 하나님께 속했습니다. 신성성과 존엄성을 가진 생명은 스스로 자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주신 것으로 거룩하게 보존해야 합니다. 자살은 결코 해서는 안 될 무서운 죄악입니다. 자살할 결단력이 있다면 죽기로 살아 보아야 합니다. "자살"을 꺼꾸로 하면 "살자"입니다. 뒤집어 생각하면 얼마든지 살길은 있습니다. 주님을 피상적으로 만나지 말고 진솔하게 내 인생의 주님으로 만나면 인생은 어떤 경우든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수고하고 무거운 짐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마11:28)”♥

섬기는 언어/열린교회/김필곤 목사/2008.1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149 아마존 '피다한' 사람들 고도원 2012-07-12 5347
24148 소똥물 고도원 2012-07-12 4918
24147 고산 적응 고도원 2012-07-12 5131
24146 사랑하게 된 후... 고도원 2012-07-12 5144
24145 머리가 희끗희끗해졌으니 고도원 2012-07-12 5247
24144 연민 고도원 2012-07-12 5806
24143 하나를 바꾸면 전체가 바뀐다 고도원 2012-07-12 5296
24142 공명 고도원 2012-07-12 4896
24141 루쉰의 쓴소리 고도원 2012-07-12 5122
24140 느티나무 file 김민수 목사 2012-07-11 5063
24139 가타 file [1] 김민수 목사 2012-07-11 4781
24138 비이슬 file 김민수 목사 2012-07-11 4734
24137 참꽃마리 file 김민수 목사 2012-07-11 4948
24136 윤판나물 file 김민수 목사 2012-07-11 5083
24135 내 마음상태에 따라 보인다 한태완 목사 2012-07-11 2446
24134 소리에 민감하라 명성조은교회노보현목사 2012-07-11 2267
24133 엎어놓은 컵 명성조은교회노보현목사 2012-07-11 2306
24132 유채꽃밭 file 김민수 목사 2012-07-10 5044
24131 꽃계단 file [1] 김민수 목사 2012-07-10 4985
24130 봄바람 file 김민수 목사 2012-07-10 4782
24129 관심 file [1] 김민수 목사 2012-07-10 4958
24128 개별꽃 file 김민수 목사 2012-07-10 4809
24127 시장길 김필곤 목사 2012-07-10 1689
24126 이상한 복수 김필곤 목사 2012-07-10 2458
24125 당신의 다목적 눈 김계환 2012-07-10 1693
24124 개미가 자연선택에 도전을 준다 김계환 2012-07-10 2158
24123 과학자들이 우리가 “마춤”지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김계환 2012-07-10 1482
24122 을이 바라보는 풍경4 이주연 목사 2012-07-09 4903
24121 두 번의 눈물 이주연 목사 2012-07-09 5029
24120 자살 실패자 이주연 목사 2012-07-09 5386
24119 세 사람은 웃게 하십시오 이주연 목사 2012-07-09 5012
24118 생존과 행복 이주연 목사 2012-07-09 5015
24117 내가 하나님을 대신하겠습니까 이주연 목사 2012-07-09 1641
24116 고흐의 자화상 이주연 목사 2012-07-09 1683
24115 기도의 열매 이주연 목사 2012-07-09 5942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