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예수님께서 불교의 법화경을 인용하셨는가?

논문신학성경 임헌준 목사............... 조회 수 3043 추천 수 0 2012.11.15 15:10:23
.........
출처 : http://blog.daum.net/yhwhroi/16886154 

예수님께서 불교의 법화경을 인용하셨는가?

 

임헌준(예은교회 목사, Ph.D)

 

1987년도에 종교문제연구소에서 펴낸 『법화경과 예수』 (서울: 춘추각, 1987)라는 책에 민희식 씨와 조병선 씨의 다음과 같은 대담이 나온다.(p. 21)

 

조 : 그런데, 예수님은 인도에서 불교를 공부하실 때 불경(佛經)은 어디까지 읽으셨는가요?

민 : 권대승경(權大乘經)을 통달하신 다음 실대승경(實大乘經)인   법화경(法華經)까지 공부했습니다. (중략)

      그래서 그런지 신약성서에 법화경을 인용한 점이 너무나 많습니다.

조 : (전략) 예수님께서는 내증(內證)으로는 법화경을 숭배하며 인용 까지 하면서, 외용(外用)으로는 마치 스스로

      새로운 진실이라도 깨달은 양 그 명칭만을 달리한다는 것은 참으로 비탄(悲嘆)한 일  아닐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남의 법문(法門)을 훔쳐다 자종 (自宗)의 극리(極理)로 삼는다는 것은 비유컨대, 나그네가 주인을

      살해(殺害)하고 주인행세를 하는 비유와 다를 바가 없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 대담의 내용은 근거가 있는 것인가? 정말로 예수님께서 법화경을 공부하셨을 가능성이 있는가? 이 문제의 답은 법화경의 편찬 연대를 살펴보면 쉽게 해결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예수님 당시는 법화경이 아직 편찬되지도 않은 시기이며, 위 대담의 내용은 전혀 터무니없는 것이다.

 

법화경은 반야경, 화엄경과 함께 대승불교의 중요한 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잘 알려진 것처럼 대승불교 운동은 부파불교(部派佛敎) 시대 말기, 즉 B.C. 1세기 무렵부터 인도 사회에서 출현하여 2-3세기 동안 활발히 전개되었다. 그 과정에서 대승불교 경전들이 편찬되었으며, 법화경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대부분의 불교학자들은 법화경의 최종적인 성립 연대를 A.D. 2세기 후반으로 본다. 즉 B.C. 50년경부터 법화경의 일부가 성립되기 시작하여 A.D. 150년 이후, 곧 2세기 후반부에 이르러서야 현재와 같은 형태의 법화경이 성립되었다는 것이다.[법화경 각 부분의 구체적인 성립 연대에 관한 것은 다음을 참조하라. 布施浩岳, 『法華經成立史』(大同出版社, 1934); 本田義英, 『法華經論』(弘文堂書房, 1944); 紀野一義, 『法華經の 探究』(平樂寺書店, 1962); 金倉圓照 編, 『法華經の 成立と 展開』(平樂寺書店, 1970).]

 

서경수는 원시 법화경의 원전 성립 연대를 A.D. 100년에서 150년 사이로, 정법화경의 원전 성립 연대를 A.D. 200년 전후로 본다.[서경수, 『불교철학의 한국적 전개』(불광출판사, 1990), pp. 133-34.]

 

이처럼 법화경이 A.D. 2세기 후반에야 성립되었다는 것은 기독교인의 주장이 아니고, 불교학자들의 연구 결과이다.

 

예수님께서 공생애를 시작하시기 이전의 시기인 1세기 초반은 법화경이 아직 편찬되지도 않은 시기이다. 법화경이 최종적으로 성립된 2세기 후반은 예수님의 공생애 기간보다는 100여 년이 지난 뒤이고, 복음서 편집도 이미 끝난 다음이다. 다시 말해서 법화경은 예수님 시대보다는 물론이고 복음서보다도 한참 뒤에 나온 책이다.

 

그런데,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모르는 혹자가 예수님께서 인도 지역에서 법화경을 공부하였으며, 신약성경에 법화경을 인용한 점이 너무나 많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렇게 말하는 사람은 법화경이 고타마 싯다르타의 가르침을 편찬한 것이고, 고타마 싯다르타는 예수님께서 이 땅에 오시기 500년 이상 앞에 살았으니까 예수님 당시에 당연히 법화경이 존재했었다고 착각하고, 법화경과 신약성경의 비슷한 부분을 법화경에서 배워간 것이라고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의 출전

임헌준, 『아는만큼 보인다』(서울: 쿰란출판사, 2005), pp. 25-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195 경포호수가에서 불경기에 나타나는 현상... 피러한 2003-12-07 3046
2194 성경적재정원리 크리스챤의 물질드리기 10대 원칙 존 스토트 2008-01-02 3046
2193 목회독서교육 삶의 고백 담긴 평신도의 설교가 뛰어나 최소란 2004-06-12 3045
2192 수필칼럼사설 [읽을꺼리63] 개교회주의는 함정이다 無然 2004-04-08 3045
2191 수도관상피정 기독교 영성사 연대 및 중요사항 file 고려수도원 2009-02-07 3044
» 논문신학성경 예수님께서 불교의 법화경을 인용하셨는가? 임헌준 목사 2012-11-15 3043
2189 北山편지채희동 아, 숨막히는 시대! 채희동 2003-03-21 3043
2188 주보회보신문 기도응답을 준비하시는 하나님 [1] 일맥 2008-06-07 3042
2187 경포호수가에서 환상과 현실 피러한 2003-12-01 3042
2186 목회독서교육 독서와 인생 정기원 목사 2002-12-26 3042
2185 수도관상피정 거룩한 등정의 사다리 ("The Ladder of Divine Ascent") 고려수도원 2009-02-07 3041
2184 치유영적전쟁 하나님께로부터 당신이 원하는 것을 받는 방법 케네스 해긴 2010-03-25 3040
2183 인기감동기타 아, 권정생 (1) 최용우 2007-06-01 3040
2182 경포호수가에서 B와 D사이에 C 피러한 2007-03-25 3040
2181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9] 문법과 계율 어거스틴 2009-02-15 3038
2180 경포호수가에서 5% 다른 것 피러한 2005-08-14 3038
2179 영성묵상훈련 통계로 본 영성살이- 오래된다고 속이 익지는 않더라 나다 2004-04-18 3038
2178 수필칼럼사설 디지털 시대와 교회 이철재 감독 2003-09-15 3038
2177 수필칼럼사설 목사가 변해야 교회가 산다 김원철 목사 2003-08-22 3037
2176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참회록64] 마니교의 정체 어거스틴 2009-09-24 3036
2175 더깊은신앙으로 강이 아니라 사람이 죽었는데, 강을 살린다고 생명평화마당 2011-02-04 3035
2174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200] 시간이란 무엇인가 어거스틴 2010-06-07 3035
2173 수도관상피정 귀용부인의 옥중서신 잔느귀용 2008-12-02 3034
2172 경포호수가에서 사람보다 더 무서운 것 피러한 2007-08-26 3033
2171 영성묵상훈련 <영성마당1> 강요될 수 없는 영성 김진 2003-08-26 3031
2170 영성묵상훈련 그분의 그 모습처럼 루디아황 2009-04-16 3029
2169 치유영적전쟁 사단과 그의 사자들 준우가 2009-10-16 3028
2168 생명환경자연 [읽을꺼리52] 환경호르몬 비상 국민일보 2002-10-18 3028
2167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25] 도둑질 어거스틴 2009-03-03 3027
2166 北山편지채희동 "믿는 만큼 믿을 순 없을까!" file 채희동 2003-11-06 3026
2165 영성묵상훈련 영에 속한 사람은? 루디아황 2008-05-11 3025
2164 경포호수가에서 느낌 없이 사는 여자 피러한 2005-06-05 3025
2163 사회역사경제 집사, 장로, 감독의 직분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1) 김택규 2013-07-28 3023
2162 수도관상피정 침묵이 말하게 하라 최대형 2003-06-24 3023
2161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88] 죽음과 심판에 대한 공포 어거스틴 2009-12-16 3022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