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명설교 모음

택스트 설교

설교자'가 확실한 설교만 올릴 수 있습니다.

출애굽기란

출애굽기 임덕순 목사............... 조회 수 5602 추천 수 0 2012.12.01 23:00:52
.........
성경본문 : 출1:1- 22 
설교자 : 임덕순 목사 
참고 : 2005-05-22 한가람교회 http://www.hankaram.or.kr/ 

 출애굽기란 


앞으로 몇 년은 족히 걸리겠지만, 오늘부터 주일 낮예배에 출애굽기를 강해  하려고 합니다.  왜냐 하면, 출애굽기에는 험란한 세상에서 길을 잃지 않는 비결이 있고, 곤고한 우리를 건지시는 하나님의 손길을 늘 만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출애굽기’ 라는 제목은, 헬라어 Exodos에서 파생된 라틴어 인데 "벗어남"을 의미합니다. 애굽에서 벗어나 나온 기록이라는 뜻입니다.  저자는 모세이고(17:14, 24:4, 34:27), 신약성경도 모세의 글이라고 인정했습니다(막7:10, 12:26, 눅2:22,23).    

 

내용은 1. 애굽에서의 이스라엘,   1:1 -12:36

        2. 출애굽에서 시내산까지  12:37- 18:27

        3. 시내산의 이스라엘      19:1 - 40:38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왕상6:1에 보면, 이스라엘이 애굽에서 나온 지 480년이요 솔로몬이 이스라엘 왕이 된지 4년에 솔로몬이 성건 건축을 시작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솔로몬이 이스라엘의 왕이 된 지 4년이면 주전 966년입니다. 그렇다면 출애굽 사건은 주전 1446년의 일이 됩니다.  지금으로 부터 3450년 전의 일입니다.  상당히 오래 전의 일이지만,  잘 기록되어있는 매우 중요한 역사적 사건입니다.

             

  우리말 성경의 출애굽기 서두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히브리어 성경은 “그리고” 라는 접속사로 시작합니다.  출애굽기는 따로 떨어진 책이 아니라 창세기의 연장이라는 말입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이스라엘의 출현은 우연히 되었거나 자기들의 힘으로 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창조가 있었고,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선택하시고 그에게 주신 약속이 있었으며,  그 약속에 의해서 애굽에 내려갔으며, 거기서 하나님의 섭리로 크게 번성하고 있었다는 말로  출애굽기는 시작하고 있습니다. 


1. 애굽에서의 이스라엘의 정황과  그 원인

 

  이스라엘은 애굽에서 놀랍도록 많이 번성했다, 그리고 심히 고통을 받게 되었다는 사실을 먼저 기록합니다.  

이스라엘은 형들이 요셉을 판 일로 인하여 요셉이 애굽에 먼저 들어갔고,   요셉이 총리가 된 후에  온 가족이 요셉의 초청을 받아서 애굽에 들어간 기록이 창세기 45장 이후에 나옵니다.  그때 애굽에 들어간 이스라엘의 총 수는 70명 이었습니다.  그 숫자는 이미 애굽에 들어가서 총리가 된 요셉과 그가 낳은 두 아들을 포함한 숫자입니다. 출애굽기가 이 숫자를 먼저 밝히는 것은, 그 적은 숫자로 시작된 그들이 얼마나 번성했는가를 증명하기 위해서입니다.  70인으로 시작된 이스라엘은, 남자 장정만 60만 명이 되어 애굽을 떠나게 됩니다.


7절에 기록된 “생육이 중다하고 번식하며 창성하고 심히 강대하여 온 땅에 가득하게 되었더라.” 는 말씀은 그들의 인구증가가 특별한 것이었다는 것을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다섯 번이나 강조하는 표현이 들어있습니다. 애굽에 있는 동안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특별한 섭리로 아주 강력하게, 폭발적으로 번성했다는 설명입니다.  애굽에서의 이스라엘의 인구증가는 세계역사상 유례가 없는 번식이었습니다.  세계 역사상 한 가정이 다른 나라에 들어갔다가 다시 나올 때 수 백만명의 대군이 되어 나온 예가 없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특별한 섭리였는데, 그들로 가나안의 주인이 되게 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실천하는 당신의 나라를 만드시려는 계획의 일환이었습니다.

이것은 우연한 사건이 아니라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셨던 하나님의 성실성의 입증하는 것인데, 다 늙은 아브라함과 단산한 여인 사라에게 네가 자식을 낳을 것이요, 너의 후손이 바닷가의 모래처럼 많게 하겠다고 하신 약속을 신실하게 성취시켰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거짓약속을 남발하는 분이 아니라 진실하고 사랑이신 역사의 지배자시요, 인간의 구원자요, 영원히 찬송을 받으실 유일한 신이십니다.


그런데 그들에게 박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요셉이 살아있을 때에는 그렇게 대접을 받던 사람들인데 그들이 많이 번성하고 나자 애굽의 왕조가 바뀌었고, 요셉을 인정하는 사람이 없어졌습니다.

  8절에 보면, “요셉을 알지 못하는 왕이 일어나” 라고 기록했습니다. 이때는 요셉을 채용한 셈족인 힉소스 왕조가 무너지고 제18왕조인 함족왕조(1560-1350)의 투트모세1세가 정권을 잡은 때라고 역사학자들은 말합니다. 

그러나 이 문제의 근원을 보면, 이스라엘이 이제 애굽에서 나갈 때가 되었기 때문에  하나님께서 그들의 환경을 변경시키신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을 모르고 이스라엘을 대적한 애굽의 왕도 결국은 하나님의 목적을 추진하는 도구가 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그들은 자기 나름대로 유대인들을 박해했고 말살하려 했으나, 그것마저 하나님의 선하신 계획에 도움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보게 될 것입니다.


그들은 유대인의 번성에 대한 위기감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역사를 배웠기 때문에 전에 요셉이 베푼 은혜를 모르는 사람들이 아닙니다. 그러나 현재의 정치적인 실리를 추구하기 위하여 일부러 요셉의 은혜를 모른 체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요셉의 가족인 번성하는 이스라엘을 잠재적인 위협으로 보기 시작 하였습니다.  혹시 전쟁이 일어나서 나라가 혼란할 때, 유대인들이 적과 동맹을 하고 애굽을 무너뜨리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바로는 그들에게 박해를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스라엘을 압제하기 위하여  바로는 세 가지 탄압정책을 점진적으로 실시했습니다. 첫째는 노역을 심히 강화시켜서 지쳐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려고 했습니다.  그들은 이스라엘을 노예처럼 동원하여 국고성 라암셋을 건축하게 했는데, 그런데 그럴수록 이스라엘은 더욱 강해지고 더욱 번성해 갔습니다(12).

  

이스라엘에게 일을 호되게 시킬수록 건강해 지는 것을 본 애굽인들은 이스라엘을 더욱 위협으로 느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유아살해 정책을 세우게 됩니다. 그것이 두 번째 정책입니다.  애굽 왕은 히브리 산파에게 해산하는 여인을 돕다가 남자아이는 살해하도록 은밀한 지시를 합니다.  그러나 히브리 산파들은 하나님을 두려워하여 그런 일을 하지 않았고 "히브리 여인들은 건강하여 산파가 도착하기 전에 해산하기 때문에 아이를 은밀히 죽이지 못했다." 고 보고를 했습니다. 그러자 하나님은 히브리 산파들에게 복을 주셨습니다.

두 번째 계획도 실패한 애굽 왕은, 이번에는 공개적인 유대인 말살 정책을 시작합니다. 남자 아이는 무조건 나일 강에 던져 죽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스라엘은 최대의 위기를 맞아  통곡하며 하나님께 부르짖기 시작합니다. 


  바로는 미래를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의 수가 더 증가할 것과, 전쟁이 일어날 것과, 그렇게 되면 그들이 적들과 합세 할 것과, 결국은 애굽을 탈출할 것을 예상하고 있었습니다.  새 왕은 비상한 머리로 이 모든 상황들을 예측했습니다.  그러나 그 예측에 하나님을 포함하지는 못했습니다.  하나님은 그 어떤 상황에서도 당신의 뜻하신 것을 성취하시는 분임을 그는 알지 못했는데,  그것이 그의 최대의 무지였습니다.


  창15:12-16에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네 자손이 이방에서 객이 되어 그들을 섬기겠고, 그들은 400년 동안 제 자손을 괴롭게 하리니 그 섬기는 나라를 내가 징치할지며 그 후에 네 자손이 큰 재물을 이끌고 나오리라." 고 하신바 있습니다.  과연 하나님은 그 약속을 500년 후에 정확하게 이루셨습니다.


바로의 실수는 하나님의 변할 수 없는 계획을 몰랐다는 것입니다. 수 백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바로 자신이 태어나기도 전에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말씀하셨던 약속을 몰랐고, 그 약속으로 인하여 지금 시작된 이스라엘 백성의 완전하고 영광스러운 구원이 하나님에 의하여 사전에 다 계획되어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던 것입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애굽에서 400년 만에 나오되 "큰 재물을 이끌고" 나올 것 까지 이미 말씀해 두셨습니다. 그것도 몇 년 전이 아니라 500년 전인 아브라함 때에, 이스라엘 사람중 한 명도 태어나기 전부터 계획해 놓으셨습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뜻을 인간 중에 누가 막을 수 있겠습니까? 하나님께서 "하늘의 별과 같고, 바닷가의 모래와 같이 번성하게 하신다.”고 하신  그 백성의 번성을 바로가 어찌 막을 수가 있었겠습니까?  

그러나 바로는 무지하게도 그것을 알지 못하고 도리어 하나님의 섭리에 도전합니다.  애굽 왕은 하나님을 빼놓고 보면 세상에서 가장 힘이 강한 왕이요, 천재적인 머리를 가진 사람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알고 보면,  그는 결국 실패할 바보짓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사람이 넘어지기 쉬운 가장 무서운 과오는 하나님을 심중에 두지 않고 독자적으로 행동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떠나서 독자적으로 계획하는 모든 일은 기껏해야 단지 한 순간만 명맥을 유지할 뿐이고, 별짓을 다 해보아도 지속적으로 성공하지 못합니다.  인간적인 모든 계획이나 행동은 그것이 아무리 견고하고 현명하게 보일지라도 비참한 실패로 끝나고 마는 것입니다.


연약한 인생이 영원하신 하나님을 향하여 돌진하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입니까?  애굽 왕은 영원하신 하나님의 계획인 이스라엘 자손의 번성과 출애굽을 막으려고 했는데, 그것은 마치 그가 손으로 바다를 막으려는 것과 다를 바가 없었습니다.  비록 감독들을 그들 위에 세우고, 그들에게 무거운 짐을 지웠지만  “학대를 받을수록 그들은 더욱 번성하여 갔다" 는 말씀으로,  바로의 수고는 손으로 해를 가리는 짓이라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런 인간들의 모습을 보시고 웃으십니다. 시2:4에 "하늘에 계신 자가 웃으심이여, 주께서 저희를 비웃으신다." 라 했습니다.  그러나 반면에  하나님을 사랑하고 하나님을 섬기며,  하나님의 약속 위에 기초를 둔 모든 것은 영원합니다.  하나님께서 반드시 약속을 이루어주시기 때문입니다.

결국 애굽의 박해정책은 모두 실패합니다.  그러나 그들의 박해정책은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애굽에서 떠나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었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막아서게 된 그들이 결국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도구로 사용된 것입니다.  하나님은 역시 전능하신 역사의 지배자이십니다.


이스라엘에게 애굽은 남의 나라이고, 그들의 성장을 가시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의 땅입니다. 그곳은 그들이 살아갈 땅이 아니라,  잠시 번성하기 위해 빌린 터전이었습니다. 이제 그들은 번성했으니 돌아가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애굽 왕이 하나님의 뜻을 모르는 것처럼 이스라엘 사람들도 하나님의 뜻을 알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비록 천대를 받을지라도 애굽에는 먹을 것이 있으므로  거기에 안주하려고 했습니다.

하나님은 그들의 마음속에 애굽에 대하여는 정이 떨어지게 하는 일을 시작하셨습니다.  그래서 애굽 왕은 박해를 강화했고, 박해가 강화 될수록 이스라엘의 마음속에는 이곳이 남의나라이고, 자기들의 땅이 아니며 우리는 이제 나가야 한다는 것을  느끼기 시작하게 하셨습니다.


요셉을 애굽에 보낸 이는 요셉을 미워한 형들이 아니고 이스라엘을 번성케 하여 한 민족을 형성한 뒤에 나오게 하려는 계획을 가지신 하나님이셨으며,

이스라엘이 박해를 받은 것은 이유 없이 뜻밖에 고난을 받은 것이 아니고 그들을 각성시켜  애굽에서 떠나야 한다는 의식을 보급하기 위함이었고,

그들을 고통스럽게 한 이는 애굽 왕이 아니라 거기서 나가도록 서두르게 하시는 하나님이셨고,

아이를 나일 강에 던지게 한 것도 이스라엘을 말살하기 위한 애굽왕의 뜻 때문이 아니라   모세를 왕궁으로 들여보내어 기르시려는 하나님의 계산된 일이었습니다. 그렇게 일의 시작과 결말을 함께 보면  세상에는 하나님의 뜻이 아닌 것이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참새 한 마리가 땅에 떨어지는 일도 하나님이 계획 속에 있다는 말씀이 과연 진리입니다.


출애굽기는 이스라엘이 어떤 상태에 있었느냐 에서부터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아주 미약했고 무시무시한 탄압을 받았지만, 하나님은 이런 노예들을 부르셔서 자기의 백성을 삼으셨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과연 하나님이십니다. 그는 역사의 지배자이시며. 당신의 백성을 흥왕케 하시며 구원하시는 구원자이십니다.  


2. 하나님의 나라를 조성하시는 하나님, 그리고 그 이유.

 

그러면 하나님은 왜 그들을 번성하게 하셨고, 지금은 왜 애굽에서 이끌어 내고 계십니까?


  하나님은 어느 한 가정이나 한 민족을 구원하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을 구원하여 당신의 다스림을 받는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려는 뜻을 두셨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특별히 한 민족을 택하셔서 그들을 당신의 뜻을 이루는 도구로 사용하기로 작정하시고 그들에게 약속을 주셨습니다. 그런 목적으로 선택되고 조성되고 준비 된 대상이 아브라함이고, 그렇게 만들어진 민족이 이스라엘이었습니다.  물론 모든 인류는 지금도 여전히 하나님의 다스림을 받습니다. 그분의 창조에서 벗어난 인생이 없으며, 인간의 모든 행위는 하나님 앞에 윤리적인 책임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특별한 목적을 위해서 선택된 당신의 특별한 백성이었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이제 애굽에서 떠나서 독립된 행동을 하기를 원하십니다.  그 이유는 그들을 세계의 배꼽인 가나안으로 보내서 거기서 독특하고 복된 삶을 살게 하려는 것입니다. 가나안은 당시에도 메소포다미아 문명과 나일 문명의 교차점이었습니다.  지금도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가 만나는 요충지입니다.  하나님은 그들을 가나안에 보내셔서,  거기서 애굽과 광야에서 만난 하나님을 섬기되 광야에서 배운 대로 하나님의 뜻에 맞는 독특한 삶을 살게 하여, 하나님의 사랑과 법도와 능력을 온 세상에 보여줌으로, 세상의 모든 족속이 하나님을 찾고 섬기며 복을 누리게 하려는 뜻이 계셨습니다.


  출애굽기의 큰 주제는 구원입니다. 하나님은 거룩하신데 이스라엘은 죄인이었습니다.  한때 인간은 죄가 없었기 때문에 하나님과 사람사이에 즐거운 교제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죄가 사람의 마음에 들어오고 난 뒤에 그 교제의 줄은 끊어지고 말았습니다.  하나님은 죄인에 대하여 엄중한 심판을 선고하셨으며, 인간은 사망아래 놓였습니다. 하나님과 인간사이의 이 문제점이 어떻게 해결될 수 있었습니까?  하나님의 거룩하심 때문에 정죄를 받은 죄인들을 하나님은 어떻게 심판에서 벗어나게 하시고 당신의 은혜 속으로 불러들이셨습니까? 


그 해결책은 인간이 내지 못하고 결국 하나님이 내셨습니다.  하나님이 마련하신 어린양의 피, "내가 피를 볼 때에 넘어가리라" 하시는 말씀입니다.  출애굽기를 보면,  이스라엘이 애굽에서 해방되어 탈출하는 전기는 유월절인데,  유월절은 단지 이스라엘이 애굽에서 어떻게 탈출했나를 보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어떻게 하나님의 정죄와 심판에서 벗어나 은혜의 품속에서 살아가게 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심오한 사건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은 백성들을 어떻게 이끌어 가시고, 어떻게 사용하고자 하는가 하는 매우 중요한 내용을 보여주는 기록이 출애굽기입니다.


출애굽기의 중심은 유월절 사건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구원의 진리를 아주 잘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그리스도의 피를 믿는 모든 사람을 진노에서 제외시킬 것을 약속하십니다.  하나님이 그들의 죄를 어린양 되신 주님께 위임했기 때문입니다.

사망을 통한 생명, 어린양의 대속적인 죽음으로 인한 이스라엘의 구원, 피가 없는 집에는 가차 없이 심판의 사망이 덮이고 통곡이 쏟아졌지만, 피를 바른 가정은 예외 없이 구원과 평강이 넘쳤으니, 피 없이는 구원이 없음을 증명하신 것입니다. “피 흘림이 없은즉 사함도 없느니라.”(히 9:22)라고 하셨습니다.  피를 인한 구원,  피를 통한 구원,  이것이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라는 사실을 출애굽기는 우리에게 아주 자세히 설명하고 보여줍니다.


앞으로 우리는 출애굽기를 주일마다 배우면서 구원의 하나님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은 말세에만 구원을 주시는 분이 아니라 우리의 모든 정황에서 오늘도 우리를 구원하시는 하나님이심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를 고난과 절망과 슬픔과 고통에서 건지셔서  하나님의 구원과 위대하심을 우리 이웃에게 보여주고 싶어 하신다는 것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3. 결론,  우리의 형편과 하나님의 능력

 

그들은 아주 작았고(5), 지금도 박해앞에서 한없이 무기력합니다(7절이하). 그들은 겨우 70명이 애굽에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남자 장정만 60만명이 되어 애굽을 나오게 되었고 하나님의 백성이 되었습니다. 그들은 애굽 왕의 박해 앞에서도 무기력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바로 왕을 굴복시키고 그들을 기필코 구원하시는데, 흠 없는 양을 사용해서 그들을 구원하셨습니다.  그들의 과거의 조성, 현재의 구원, 미래의 사용, 이 모든 것이 하나님이 하시는,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는 일입니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그 하나님의 약속과 능력을 믿는 믿음 뿐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이 땅에 오셔서 당신의 나라, 교회라는 당신의 나라를 만드시려고 몇 사람을 모으셨습니다.  열 두 명입니다. 가룟유다가 보기에 너무나 가난하고 무식하고 형편없는 사람들뿐이었습니다.  자기부터가 엉터리인데 이 엉터리 몇 명을 가지고 어떻게 그 큰일을 하시겠는가 하고 우습게 생각하고 믿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쉽게 포기해 버리고 주님을 떠났습니다.  그러나 오순절 성령이 오셨을 때, 그들은 전혀 다른 사람들이 되어 있었습니다.  문제는 그들 자신이 아니라 누가 그들을 붙들고 계시고 하나님이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시느냐가 문제였습니다.


우리는 세상을 살면서 날마다 문제를 만나는 사람들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자기 앞에 다가온 상황에 너무 쉽게 실망하는 사람들입니다.  하나님의 말씀과 능력은 위대하신데 우리는 힘든 상황 앞에서 그 말씀을 믿지를 못합니다. 

그러나 믿음은 형편에 비례하는 것이 아닙니다.  도리어 형편이 어려울 때일수록 위대한 믿음이 필요한 것입니다.  믿음은 위기에서 필요한 것이고, 비전은 아무것도 보이지 않을 때 필요한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손길과 그 약속을 보고 믿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말씀을 따라가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고후 4:18에  “우리의 돌아보는 것은 보이는 것이 아니요 보이지 않는 것이니, 보이는 것은 잠깐이요 보이지 않는 것은 영원함이니라.” 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바로는 하나님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어리석은 바보짓을 하고 있었지만,  선민 이스라엘은 범사에 하나님을 보아야만 했습니다.

이스라엘은 눈앞에 보이는 것만을 보았습니다. 바로의 분노, 가혹한 감독들의 채찍, 괴로운 짐들, 끊임없는 일거리, 지겨운 진흙과 벽돌들,  나일 강에 내버려지는 자기의 사랑스런 아이들 이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보이지는 않지만, 그들이 보아야만 했던 것은 무엇이었습니까?  하나님의 영원하신 목적, 하나님의 어김없는 약속, 함께 하시는 하나님의 손길,  다가오는 구원의 날,  세밀하신 하나님의 섭리 등 이었을 것입니다.


우리는 무엇을 보면서 살아야 합니까? 눈만 뜨면 눈앞에 보이는 것을 보려 하지 않고,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손길을 보는 것은 믿음입니다.  오직 믿음만이 현실을 벗어나서 하나님의 손안에서 이루어지는 놀라운 섭리를 체험할 수 있게 합니다.  “우리가 믿음으로 행하고 보는 것으로 하지 아니함이라."(고후5:7)라고 말씀한 바울사도의 고백처럼, 보이는 것만을 따라서 살지  말고, 보여주신 비전을 따라 살고, 하나님의 약속하신 말씀을 따라 살아가는 우리 성도들이 됩시다.  그래서 하나님의 능력에 붙잡혀 늘 승리합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경본문 설교자 날짜 조회 수sort
17993 로마서 거룩함에 이르라 롬6:17-21  민병석 목사  2013-04-20 5665
17992 시편 계속해서 합시다 시5:1-12  최장환 목사  2011-12-21 5662
17991 시편 하나님을 가까이 함이 내게 복이라 시73:18-28  이원준 목사  2011-03-20 5661
17990 아가 믿음의 사람 아6:1-12  최장환 목사  2011-12-21 5657
17989 아가 우리에게 소중한 것은 아7:1-13  최장환 목사  2011-12-28 5634
17988 이사야 희망은 절망 뒷편에 사8:1-10  최장환 목사  2012-03-28 5629
17987 시편 삶의 초점 시29:1-11  최장환 목사  2012-07-11 5626
17986 예레미야 맡기는 믿음 렘8:1-17  최장환 목사  2012-08-16 5622
17985 사도행전 사도바울, 고대의 올림픽 경기를 관전하다. 행18:1-11  허태수 목사  2013-08-25 5618
17984 고린도전 기쁜 일만 생각하기 고전12:1-17  최장환 목사  2012-05-30 5613
17983 욥기 기회를 선용하자 욥9:1-14  최장환 목사  2012-05-02 5611
17982 창세기 현숙한 여인 리브가 창24:15-67  한태완 목사  2013-04-21 5603
» 출애굽기 출애굽기란 출1:1- 22  임덕순 목사  2012-12-01 5602
17980 마태복음 천국 잔치의 예복 마22:1-14  황성현 목사  2012-12-05 5583
17979 에스겔 진정한 행복 겔6:1-14  최장환 목사  2012-03-28 5582
17978 민수기 빼앗겨도 감사하는 자 민18:1-24  최장환 목사  2012-02-08 5575
17977 스가랴 선입견을 버리자 슥3:1-10  최장환 목사  2012-04-11 5574
17976 출애굽기 대표강점 쓰임받기 출36:1-7  김필곤 목사  2012-07-30 5562
17975 출애굽기 번제단의 재료 출27:1-2  민선기 목사  2012-11-29 5558
17974 출애굽기 여러분! 원망하지 맙시다. 출6:1-12  송수천 목사  2013-01-21 5553
17973 로마서 한 사람의 선한 영향력 롬5:19  한태완 목사  2013-05-10 5547
17972 열왕기하 잠잠할 수 없는 소식 왕하7:9  김남준 목사  2012-07-23 5542
17971 마태복음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마11:28-30  조용기 목사  2010-02-22 5528
17970 출애굽기 약속의 땅을 향한 로드맵(1)비돔 라암셋에서 출1:8-14  이동원 목사  2012-12-01 5498
17969 에배소서 좋은 관계 (어버이주일) 엡6:1-4  이상호 목사  2013-08-28 5491
17968 에스겔 천국만들기 겔7:1-13  최장환 목사  2012-06-20 5464
17967 에스겔 결단의 신앙 겔9:1-11  최장환 목사  2012-08-29 5444
17966 요한복음 오병이어의 기적을 체험하라 요6:5-14  윤은철 목사  2012-04-30 5439
17965 다니엘 자신을 내려놓자 단7:1-14  최장환 목사  2012-08-29 5437
17964 다니엘 주님을 올바로 알자 단4:1-18  최장환 목사  2012-04-11 5433
17963 갈라디아 심는대로 거두리라 갈6:7-9  강종수 목사  2010-08-08 5414
17962 요한계시 잘섬기는 성도 계4:1-11  최장환 목사  2012-05-16 5412
17961 시편 여호와는 나의 힘과 방패이시니 시28:1-9  한태완 목사  2011-02-12 5376
17960 출애굽기 부흥이 오는 방식 출33:4  로이드 존스  2012-10-16 5372
17959 마태복음 부활의 증인들 마28:1-15  서창원 목사  2003-04-25 5367

설교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