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교회 세습의 진실

이주연 목사............... 조회 수 2249 추천 수 0 2013.04.22 21:34:08
.........


교회 세습은 21세기 신사참배입니다. 

교회 세습은 목회자들이 자기 자식의 안위만을 위하여

주님의 피로 산 교회를 배반하고,

선교의 미래를 초토화하는 일입니다. 

교회 세습 어떻게 볼 것인가 다시 한번 생각합니다.

 

1. 종교개혁의 전통은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드리는 것입니다.

교회 세습이란 가문과 제 자식에게 영광!”을 돌리는 일입니다.

 

2. 교회 세습은 교회의 부흥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물질적 탐욕과 혈연적 욕망이 융합된 육의 부흥입니다.

 

3. 세습했더니 제 아버지보다 더 잘하더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공정하게 선출하여 더 능력 있는 목회자가 왔다면 얼마나 더 부흥하였겠습니까?

실제로 세습하지 아니한 교회로서 더 부흥한 교회가 얼마나 많습니까?

 

4. 실제로 제 아버지보다 목회를 잘하는 세습자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능력 있는 이가 다른 곳에 가서 했다면 그 교회 역시 충분히 부흥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게다가 사회적인 지탄을 받지 않고 영적 질서를 파괴하지 않으니, 이 일이 얼마나 더 참된 길이겠습니까?

 

5. 세습은 개 교회의 일이니 그 교회에서 조용하면 은혜로운 것이 아니냐, 왜 말이 많느냐고 항변합니다. 그러나 세습하는 교회는 세습건을 조용하게 만들고자 반대하는 사람들은 미리 내보내거나, 세뇌를 시키거나, 저주를 하고 절차상으로만 문제가 없도록 인사구역회 멤버나 기타 여러 장치를 미리 마련하는 목회 공작을 행합니다. 이것이 정상적인 목회이며 과연 은혜로운 것입니까?

 

6. 설령, 세습자가 선대보다 능력이 있고, 목회를 잘한다고 하여도 그 여파는 세상이 교회를 상식

밖의 집단처럼 취급하게 만들기에 세습은 아니 됩니다. 왜냐하면 이는 공정한 경쟁의 룰을 깨는 특권이요, 이를 세상은 반칙으로 여기기 때문입니다. 얼마 전 외무부장관이 자기 자식을 특채하였다고 장관직을 사표내야 했습니다. 이것이 세상의 상식입니다. 그런데 더 공정하고, 깨끗하고 더 나아가 거룩해야 하는 교회가 세상의 상식 이하여서야 되겠습니까?

 

7. 게다가 진정한 선교는 교회 밖의 영혼들을 구제하는 일입니다. 그런데 교회 밖의 사람들이 한국의 경우 85퍼센트 이상입니다. 교회 안의 사람들은 15퍼센트 이내밖에 아니 됩니다. 그렇다면 어찌해야 교회가 부흥하고 더 나아가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하겠습니까? 교회 내의 윤리적 기준이 세상보다 높아야만 합니다. 기독교 국가인 미국 사회에서조차 서부 최대의 대표적 대형교회인 수정교회 로버트 슐러 목사가 세습을 한 이후 어떻게 되었습니까? 지금은 망해서 천주교회에 팔아 넘겼습니다.

 

8. 한국교회의 부흥은 대교회를 이룩한 몇 사람의 노력으로 된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100여 년 개신교회 역사의 수혜자이기도 합니다. 3.1운동만을 생각해 보시지요. 기독교 인구가 3% 시절이었습니다. 그러나 97퍼센트의 교회 밖의 사람들이 교회를 볼 때에 교회가 더 안전하고, 교회가 더 문화적으로 윤리적으로 높은 기준과 내용을 지니고 있다고 여겼습니다. 그래서 복음이 무엇인지 제대로 몰랐어도 교회로 들어오기 시작하여 마침내 1천만 기독교인을 이룩하는데 원동력이 된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는 이것이 흔들리고 있는 것이요, 이에 악역을 맡은 것이 교회 세습입니다

 

이미 시민사회는 이익집단인 기업도 경영권 세습을 특권이요 사회적 반칙으로 보는데, 주님이 피로 산 교회라고 가르치고, 하나님께 드린 헌금으로 이룩한 교회를 세습한다는 것을 이 시대인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겠습니까? 지성인들과 젊은이들부터 이탈하기 시작했는데, 이 상황이 마침내 어떤 결말에 이를 것인지 더 늦기 전에 멈추어 서서 생각하고 또 생각하고 돌이켜 회개해야 합니다. 신학대학에서조차 성골(목사의 자녀) 진골(장로의 자녀) 잡골(백 없는 학생) 소리가 나오며, 특권 혈연주의에 좌절하고 있습니다. 봉건주의를 타파한 한국교회가 다시 봉건주의로 시대역주행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9. 한국 사회의 여론이 반기독교로 전환된 분기점은 언제입니까? 강남의 초대형교회 K교회가 공공연히 세습을 한 직후부터입니다. 이때에 혼이 나자 같은 강남의 초대형 교회인 S교회는 편법으로 세습을 했다가 또 다시 언론의 뭇매를 맞고, 이어서 수많은 목회자들의 윤리문제가 드러나자 한국교회는 선교 200년을 향한 추동력을 상실하고 풍랑에 흔들리다 이제는 500만 명을 향하여 급격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선교의 겨울이 닥친 것입니다. 이의 악영향은 소형교회가 다 뒤집어 쓰고 있습니다. 이미 커버린 대형교회는 세습을 하였을지라도 축척해놓은 재산과 교세에 힘 입어 현상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지만, 새로이 시작된 교회들은 교회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교회 성장이나 자립은 고사하고 한파로 얼어 죽어가고 있습니다.

 

10. 감리교회가 가장 안정되고 수준이 있는 교단이었으나, 이제는 가장 부끄러운 교단이 되었습니다. 그것은 감독회장과 감독들부터! 대형교회부터 중형교회에 이르기까지! 세습이 당연시 되며 줄줄이 이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인사구역회가 당회가 아니라 소수(8명 전후)의 인사구역회에서 뽑기 때문이요, 모범을 보여야 하는 대형교회 감독회장부터 세습을 넘어 동사목사라는 이름 아래 영구집권을 앞장서서 하니, 공공연히 세습 못하면 무능하다는 소리가 나올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게다가 현직 감독들까지 세습하는 자리에 주저 없이 달려가 성삼위 하나님의 이름으로 축복기도를 서슴지 않고 행하여 영적 부패에 불을 지펴주고 있습니다.    

 

지난 20세기 선교 100년의 한국 기독교 역사에서 가장 훌륭한 일은 영혼구원과 봉건주의 철폐, 남녀 차별의 타파와 민족교회로서의 성장이요, 가장 수치스러운 일은 신사참배였습니다. 21세기 한국 기독교 역사의 가장 수치스러운 역사! 그것이 바로 교회 세습입니다.   

 

교회 세습은 21세기 신사참배입니다.  

교회 세습! 물려 받지도 말고 물려주지도 맙시다.

교회 세습! 주님의 원수입니다.

 

오직 주께 영광을 위하여

주님께서 피로 산 교회를 교회답게 하기 위하여 

교권과 교회의 사유화를 내버리고

십자가의 길을 갑시다.

그리하면 마침내 생명의 면류관을 얻을 것이요

진정한 교회의 영적 부흥이 일어나

다시금 이 시대를 구원하는 교회의 사명을 감당하게 될 것입니다.

<이주연>

 
 
*하루 한 단 기쁨으로
 영성의 길 오르기*


나는 선한 목자라 선한 목자는 양들을 위하여 목숨을 버리거니와
삯꾼은 목자가 아니요 양도 제 양이 아니라
이리가 오는 것을 보면 양을 버리고 달아나나니
이리가 양을 물어 가고 또 헤치느니라
(요 10:11,12)

<산마루서신 http://www.sanletter.net>

 


댓글 '1'

2013.04.27 01:05:44

이건 '오바'입니다...
대도시의 메가 교회에서 일어나는 세습은 반대할만합니다... 만,
시골의 작은 교회에서 일어나는 세습은 어떻하나요?

교회 세습이 문제가 아닙니다..
(쓰셨지만) 교회 안에 들어온 명예와 물질에 대한 욕심을 경계해야 합니다...

간접적이지만, 예수님의 친척과 혈육이 초대교회에서 큰 역할을 감당하지 않았습니까....
세습이 문제가 아닙니다.. 교회가 대형화되는 것을 경계해야 합니다..

작은 교회라면 과연 담임목사직 세습이 문제가 되었을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230 어디에나 봄 file 김민수 목사 2013-05-01 2725
26229 화 관리도 리더의 몫이다 file 홍의숙 박사(인코칭 대표) 2013-04-28 1684
26228 믿음으로 이루어낸 기적 file [3] 설동욱 목사(서울 예정교회) 2013-04-28 3565
26227 받은 이가 사랑이라 해야 한다 file 윤대영 목사(부천 처음교회) 2013-04-28 1934
26226 구맹주산(狗猛酒酸) file 김철규 목사(서귀포성결교회) 2013-04-28 1671
26225 힘 빼기와 힘 조절 file 이상화 목사(드림의교회) 2013-04-28 1760
26224 높은 이상이 현실이 된다 file 홍의숙 박사(인코칭 대표) 2013-04-28 1461
26223 최선을 다해야 하는 이유 file 설동욱 목사(서울 예정교회) 2013-04-28 2014
26222 무엇이 더 소중할까 file 윤대영 목사(부천 처음교회) 2013-04-28 1777
26221 오병이어 놀이터 file 김철규 목사(서귀포성결교회) 2013-04-28 2105
26220 면역력 file 김찬곤 목사(안양석수교회) 2013-04-28 1696
26219 프란시스 자비어(Fransis Xavier)가 일본 선교에 뜻을 두고 공수길 목사 2013-04-26 2002
26218 듣는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한자에는 '문'(聞)과 '청'(聽)의 두 가지가 있는데 공수길 목사 2013-04-26 2784
26217 스승의 역할 김장환 목사 2013-04-25 2033
26216 가치를 따져라 김장환 목사 2013-04-25 1586
26215 관심을 표현하라 김장환 목사 2013-04-25 1645
26214 노력의 이유 김장환 목사 2013-04-25 1434
26213 아름다운 인연 김장환 목사 2013-04-25 1938
26212 가장 큰 인물 김장환 목사 2013-04-25 1588
26211 받아들여지지 않는 기도 김장환 목사 2013-04-25 1798
26210 집중이 비결 김장환 목사 2013-04-25 2152
26209 진짜 믿음 김장환 목사 2013-04-25 2841
26208 옳은 선택 김장환 목사 2013-04-25 2620
26207 교회의 참 역할 김장환 목사 2013-04-25 2446
26206 가장 후회되는 일 김장환 목사 2013-04-25 2820
26205 진정한 신앙고백 김장환 목사 2013-04-25 4627
26204 늦은 고백 김장환 목사 2013-04-25 1828
26203 진정한 오르막길 김장환 목사 2013-04-25 2166
26202 화상만이 상처가 아니다 김장환 목사 2013-04-25 1806
26201 고통의 가치 이주연 목사 2013-04-22 1406
26200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 이주연 목사 2013-04-22 1845
26199 호산나 우리를 구원하소서 이주연 목사 2013-04-22 2929
26198 주님의 즉자성 이주연 목사 2013-04-22 1300
26197 고난의 길 십자가의 길 이주연 목사 2013-04-22 1979
26196 어떤 젊은이의 사명선언 이주연 목사 2013-04-22 1971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