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책] 이제는 누군가 해야할 이야기

뉴스언론 김두식............... 조회 수 1426 추천 수 0 2013.05.05 09:39:17
.........
x9788965701439.jpg
우리 사회를 옭아매고 있는 부패의 사슬을 끊기 위한 처방!
 
공정한 한국사회를 위한, 김영란·김두식의 제안『이제는 누군가 해야 할 이야기』.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법관, 전직 국민권익위원장 김영란과《헌법의 풍경》, 《불멸의 신성가족》등을 통해 법과 법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문제들을 정면으로 고발해온 김두식이 우리 사회에 만연한 부패의 고리를 끊는 근본적인 해법을 제시하였다.

전직 대법관과 전직 검사로서, 두 저자는 부패와 청탁의 문화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고백한다. 지인의 재판을 잘 봐달라고 부탁했다가 선배로부터 무안을 당한 이야기, 친구의 청탁을 거절했다가 가슴 쓸어내린 이야기로 시작해 권력을 잡고 유지하는 과정에서 부패가 일어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한다. 또한 이들을 감시하고 견제할 검찰이 제구실을 하려면 어떤 제도수정이 필요한지, ‘김영란법’으로 더 유명한 ‘부정청탁금지 및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이 어떻게 부패의 약한 고리를 끊을 수 있는지 설명한다.

 

저자 : 김영란

저자 김영란은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 서울가정법원 판사, 부산지방법원 판사, 대법원 재판연구관, 사법연수원 교수, 대전고등법원 부장판사 등을 거쳤다. 2004년 여성으로는 대한민국 최초의 대법관이 되어 2010년까지 6년간 일하다 퇴임했다. 대법관 재직 당시에는 ‘소수자를 위한 법치주의 확대’라는 기준을 세우고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판결을 통해 ‘소수자의 대법관’이라 불렸다. 2011년부터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으로 일하면서 한국사회에 큰 반향을 몰고 온 ‘부정청탁금지 및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 일명 ‘김영란법’을 입법하는 데 주력했다. 2013년 현재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석좌교수로 있다.

저자 : 김두식

저자 김두식은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 법대를 졸업하고 군법무관, 서울지검 서부지청 검사, 변호사로 일했다. 코넬대 로스쿨에서 석사학위(LL.M.)를 취득한 후 한동대 법학부 교수를 거쳐 2006년부터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에서 형법, 형사소송법, 형사정책을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한 《헌법의 풍경》을 비롯해 《평화의 얼굴》, 《교회 속의 세상, 세상 속의 교회》, 《불멸의 신성가족》, 《불편해도 괜찮아》, 《욕망해도 괜찮아》 등이 있다.

 

프롤로그 _‘전화 한 통’

1장 연줄과 청탁 : 돈을 줄 수 있는 관계, 다른 걸 줄 수 있는 관계, 아무것도 줄 수 없는 관계
공무원 집 딸, 선생 집 아들
명절 떡값 돌리던 풍경
‘돈 줄 자격’
‘거절할 명분’
다수의 선한 사람을 악에서 구하는 방법

2장 권력형 부패 : 권력은 뒷돈이 없으면 살 수 없는가?
엘리트 카르텔 신드롬을 넘어
청렴하고 무능한 공무원 vs 부패하고 유능한 공무원
권력형 부패, 청탁이 핵심고리
무슨 일을 해도 문제없으리라는 착각
의사결정 공개로 부패를 막는다
금융거래 공개, 관리냐 통제냐
너무 쉽게 용서받는 문제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인사검증 중심으로
깨진 유리창을 모두 갈아 끼울 수 있을까?
거짓을 고백하고 새출발할 기회를 주는 것

3장 정치자금 : 대의를 위해서는 선을 넘어도 되는가?
왜 그렇게 많은 돈이 필요한가
대의를 위해서는 받아도 된다?
정치자금이냐, 뇌물이냐
정치자금 개혁, 규제 완화와 투명성 강화
규제완화보다 투명성 확보가 먼저
측근 관리 못하는 리더는 자격 없다
선출되지 않은 권력이 선출된 권력을 규제할 수 있는가?

4장 공수처 혹은 상설특검 : 검찰이 도둑을 제대로 잡으려면?
무조건 기소하거나, 아예 하지 않거나
도둑 잡는 검찰이 도둑으로 몰리게 된 사연
수사지휘권은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
중수부 폐지하면‘라인’이 사라질까?
제3의 기구가 멋진 대안이 되려면
국민에게도, 검찰에도 유리한 게임
새로운 검찰로 거듭나려면

5장 근본적 처방 : 돈과 청탁의 고리를 끊어라
부패의 근원, 연줄문화
국민을 범죄자로 몰아가는 법이라고?
합법적 청탁자, 로비스트는 필요한가?
대가 없는 돈은 없다
사적인 이익과 거리 두기
여자여서 만들 수 있었던 법?
신뢰를 높이는 인프라

6장 더 많은 논의를 기대하며
명예 가진 사람은 부를 욕심내면 안 돼
낙하산 인사 없애는 해법
약속은 지킨다는 게 트레이드마크니까
리더십이 부패의 토양을 결정한다
부패를 뿌리 뽑을 아이디어를 기대하며

에필로그 _발전된 사회로 가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책속으로 
 
 
 
 
제 문제의식은, 착한 사람들도 발을 조금만 젖게 하면 금방 온몸을 다 적시게 된다는 데에서 출발했어요. 그것을 못하게 해야겠다 싶었어요. 제 경험상 판사로 처음 출발했을 때 나는 받기 싫은데, 개인적으로 저를 겨냥해서 주는 게 아니라 전체적으로 돌린다거나 방에 있는 총무에게 놓고 가는 것이라 거절하기 힘들었어요. 주는 쪽도 대놓고 뇌물을 주는 게 아니고 그냥 그 방에 있는 여러 구성원을 위해 단체로 밥값을 내라고 주는 돈이었죠. 변호사뿐 아니라 다른 자격을 가진 단체들도 크게 다르지 않았을 거예요. 어떤 국가조직에서 체육행사를 한다고 하면 그런 단체들이 얼마씩 행사비를 줘요. 그런 돈은 도덕적으로 별 거리낌 없이 주고받을 수가 있죠. 그렇게 발이 젖는 거예요. 그래서 저는 판사시절 초기부터, 어떤 명목으로든 돈을 못 받도록 금지하는 강력한 조치를 취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_1장 연줄과 청탁 : 돈을 줄 수 있는 관계, 다른 걸 줄 수 있는 관계, 아무것도 줄 수 없는 관계

모든 일에는 행동강령(code of conduct) 이 필요해요. 부정청탁금지 및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도 법무부가 여러 가지로 문제제기를 하지만, 저는 이것이 누구를 처벌하기 위한 법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누군가 청탁을 하면 이런 식으로 거절하라고 행동강령을 만드는 거예요. 공직자뿐 아니라 일반 국민에게도 ‘공무원에게 당신의 어려움을 이러이러한 방식으로 호소할 수 있지만 청탁은 못한다’는 규범을 주는 거죠. 소수의 악당이 아니라 다수의 선한 사람이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것이 라면, 그걸 통제하는 방법이 중요해요. 체포 가능성을 높이고 처벌수위만 높여가지고는 해결될 수 없다는 거죠. 오히려 도덕적인 규범을 머리에 떠올리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태도를 바꿀 수 있다고 해요. 행동강령을 도덕 적인 각성장치로 활용하는 거죠.
_1장 연줄과 청탁 : 돈을 줄 수 있는 관계, 다른 걸 줄 수 있는 관계, 아무것도 줄 수 없는 관계

제가 자랄 때를 생각해보면 가까운 친척들 중에 화이트칼라, 블루칼라가 고루 섞여 있었거든요. 그런데 계층이 고착되면서 부자는 부자끼리, 가난한 사람들은 가난한 사람들끼리 어울리게 됐어요. 사회계층이 굳어진 상태에서 대부분 먹고살 만한 집안 출신인 판사들은 이른바 길거리 범죄(street crime), 즉 거리에서 누구를 때리거나 강간한 범죄자들이 잡혀오면 자기와 전혀 상관없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쉽게 중형을 때리게 돼요. 그러나 주가조작이나 뇌물수수 같은 범죄를 저지른 화이트칼라 범죄자들은 학벌이나 성장배경 이 판사와 비슷해서, 판사가 ‘얘가 이 자리까지 오느라 얼마나 고생했을까’ 하는 생각을 하기 쉽죠. 자연스럽게 마음이 약해지는 거예요. 일종의 동일시(identification)가 일어나는 거죠. 동일시가 일어나니 갈수록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해서는 관대해질 수밖에 없어요.
_2장 권력형 부패 : 권력은 뒷돈 없이 살 수 없는가?

선출되지 않은 권력은 ‘나는 왜 선출되지 않았는데 권력을 가지게 됐을까?’를 늘 고민하고 깊이 사유해야 해요. 그래서 대법관일 때 늘 고민했어요. 사법부가 선출되지 않은 권력으로 구성되는 이유는 뭘까? 견제와 균형 원칙이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원리 중 하나라 한다면, 선출되지 않은 권력이 선출된 권력을 견제하라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선출된 권력은 다수에 의해 뽑힌 거잖아요. 그렇다면 선출되지 않은 권력은 소외된 소수를 위해 존재하는 것 아닐까, 저는 그렇게 정리했어요. 선출되지 않은 권력이 선출된 권력 위에서 군림하려 들면 반드시 문제가 복잡해져요.
_3장 정치자금 : 대의를 위해서는 선을 넘어도 되는가?

중수부 폐지가 본질이 아니라 상대방을 의식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게 제 생각이에요. 견제와 균형의 원리에 충실하자는 것이지요.‘공직자비리수사 다 모아서 한 군데서만 하자’, 깔끔해 보이죠? 하지만 세상일은 그렇게 돌아가지 않는다는 거예요. 상호감시가 필요한 거죠.
_4장 공수처 혹은 상설특검 : 검찰이 도둑을 제대로 잡으려면?

저는 진보정권 10년, 그 이후 이명박 정권을 거치면서 의식이 훨씬 성숙했고, 이제는 권위주의 시대의 억압이나 새로운 인권침해를 막을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이 조성되었다고 생각해요. 공수처 같은 제3의 기구를 만들어도 될 만큼 시기적으로 성숙한 거죠. 이번에 한 단계 더 넘어서지 않는다면 정말 엘리트 카르텔을 끊을 수가 없어요. 새로운 기구가 새로운 규제를 만든다기보다는 다른 규제를 좀 더 견제하고 균형 잡기 위한 것이라는 사 회적 합의에 어느 정도 도달했다고 보고 있어요.
_4장 공수처 혹은 상설특검 : 검찰이 도둑을 제대로 잡으려면?

연줄사회는 넓은 의미에서 계층을 고착시키고, 좁은 의미에서 부정부패를 만들어요. 아는 사 
출판사 서평 
대한민국은 돈과 연줄 없는 사람만 억울한 사회인가? 공직자와 기업의 말도 안 되는 비리를 언제까지 구경만 하고 있어야 하는가? ‘그들만의 리그’를 끊기 위한 해법을 찾기 위해 김영란과 김두식이 만났다. ‘빽’ 없어도 손해 보지 않는 나라에 살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라!

‘없는 놈만 억울하다?’
우리 사회를 옭아매는 ‘그들만의 카르텔’을 끊어라!


지난 2012년 12월 국제투명성기구(TI)가 매년 발표하는 국가별 부패인식지수(CPI)에서 우리나라는 176개국 중 45위를 기록했다. 2010년 39위, 2011년 43위였던 순위는 3년 연속 떨어지고 있다. 이런 숫자들이 보여주듯 우리 사회 곳곳에서 일어나는 일상화된 부패는 유행처럼 번진 ‘공정사회’나 ‘정의’ 같은 수식어를 무색하게 만든다. 《이제는 누군가 해야 할 이야기》는 지난 수십 년간 우리 사회를 옭아매고 있던 단단한 부패의 사슬을 어떻게 끊어버릴 것인가라는 질문 앞에 급진적이고도 근본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법관으로 ‘소수자의 대법관’, ‘독수리 오형제’라 불렸던 전직 국민권익위원장 김영란. 《헌법의 풍경》, 《불멸의 신성가족》 등을 통해 법과 법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문제들을 정면으로 고발해온 김두식. 책은 두 명의 법 전문가가 만나 한국사회에 깊이 뿌리 내린 부패의 구조를 밝히고, 국민 모두가 현실적으로 수긍할 수 있는 대안을 찾고자 치열하게 고민했던 흔적을 오롯이 담았다.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대법관, 전 국민권익위원장 김영란과
《헌법의 풍경》, 《불멸의 신성가족》 저자 김두식의 뜨거운 대화!/b>
전직 대법관과 전직 검사로서, 두 저자 또한 부패와 청탁의 문화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고백하며 책은 시작된다. 지인의 재판을 잘 봐달라고 부탁했다가 선배로부터 무안을 당한 이야기, 친구의 청탁을 거절했다가 가슴 쓸어내린 이야기로 시작해, 권력을 잡고 유지하는 과정에서 부패가 일어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이들을 감시하고 견제할 검찰이 제구실을 하려면 어떤 제도수정이 필요한지 검토하고, ‘김영란법’으로 더 유명한 ‘부정청탁금지 및 공직자의 이해충돌방지법’이 어떻게 부패의 약한고리를 끊을 수 있는지 설명한다.

아울러 저자들은 질문한다. ‘그들만의 리그’를 비난하는 다수의 착한 사람들도, 뒤로는 자신을 지켜줄 ‘빽’과 연줄을 찾고 있지 않느냐고. 저자들은 소수의 ‘악당’뿐 아니라 누구나 부패의 유혹에 쉽게 빠질 수 있음을 지적하며, 처음부터 부패에 발을 들이지 않도록 하는 규범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부패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누군가 했어야 했지만, 누구도 쉽게 할 수 없었던 이야기를 이 책은 담고 있다. 돈 없고 빽 없어도 억울할 일 없는 대한민국을 원하는가? 이 책에서 해결의 단초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784 뉴스언론 안철수, 책으로 광화문 대로 ‘진군’ 할까 김욱 2012-07-24 1428
9783 광고알림 답답할 때는 상담과 예언을 받아보세요! 주님사랑 2012-05-19 1428
9782 무엇이든 북한의 지하교회, 핍박과 순교 주여... 2011-11-15 1428
9781 무엇이든 행동이 따르지 않는 믿음은 죽은 믿음입니다 (약2:17) file 묵상 2011-08-17 1428
9780 칼럼수필 세상 권세 file 강종수목사 2006-06-11 1428
9779 광고알림 제2차 예언세미나(전남,광주지역) 홀리파이어 2013-08-11 1427
9778 광고알림 벤처신앙 김경수 2009-06-01 1427
9777 무엇이든 J. sound와 함께 소리의 감동을... jsound 2005-07-01 1427
» 뉴스언론 [책] 이제는 누군가 해야할 이야기 file 김두식 2013-05-05 1426
9775 무엇이든 낙원의 생명과일 7 2012-11-25 1426
9774 광고알림 (6월개강!!) 23차 선포설교 무료세미나!!(선등록80명) 선포설교연구원 2013-05-15 1425
9773 광고알림 사역의 현장에서 배우는 미국교회비전트립(9월/10월/11월) 한국NCD 2011-07-21 1425
9772 무엇이든 [예수님 마음으로] 아무것도 염려하지 않아요 [1] 손제산 2004-06-17 1425
9771 무엇이든 [교회가 있는풍경] 작고 아름다운 시골교회, 계룡산 학봉교회 다람쥐 2002-08-01 1425
9770 광고알림 기도로 나를 살리자 조성철 목사 2012-06-14 1424
9769 광고알림 존경하는 성도님, 무료초청 꼭보세요 김기현 목사 2009-10-10 1424
9768 무엇이든 주보신청합니다 [1] 나종석 2006-08-11 1424
9767 무엇이든 제1기 차세대 부흥사 학교 예수영성 2005-07-23 1424
9766 광고알림 사이트에 염치불구하고 예수전도 홍보 좀 하러 왔습니다. 극빈선교문화사업후원회 2012-11-26 1423
9765 무엇이든 말씀을 듣고 행하는 자 file nulserom 2005-09-04 1423
9764 광고알림 사사교육설명회 사사청소년문화원 2011-04-12 1422
9763 광고알림 목회자 리더십 개발을 위한 편지 - 474호 국제예수 2009-04-21 1422
9762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087] "사쿠라가 그립다" 임영숙 2004-11-24 1422
9761 무엇이든 신앙개혁-15 agape 2007-11-29 1422
9760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12 ]칼럼나스트 (오타 아님) 박강문 2005-01-08 1421
9759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994] '고조선'은 없었다. 홍순훈 2004-05-07 1421
9758 자료공유 [한국의 숲, 한국의 명산](91) 강원 원주·충북 제천 감악산 file 최용우 2011-05-05 1420
9757 자료공유 [실전경혈지압실기] 복와위 - 견정, 거골, 견우, 병풍, 곡원, 천료, 견외유 위치설명 최용우 2006-10-15 1420
9756 무엇이든 주보를 신청합니다. [1] 오준흥 2006-07-01 1420
9755 무엇이든 ■ 내가 대통령하여 인류를 복음화하리라 ■ 어린양 2006-06-11 1420
9754 광고알림 ✝전도용품 - 복음팔찌를 소개합니다 전도용 2014-08-17 1419
9753 무엇이든 기도하는 곳이 최전방이다!(출 17:8-13) 7 2012-08-31 1419
9752 자료공유 목회자 리더십 개발을 위한 편지 - 473호 국제제자 2009-04-15 1419
9751 광고알림 CBS 무료초청 18차 전도컨퍼런스 CBS부흥한국 2013-08-17 1418
9750 무엇이든 억울한 누명을 쓰고 대전교도소에 수감중입니다 아고라 2013-06-18 1418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