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우리나라의 "기독교"라는 언어

논문신학성경 null............... 조회 수 2208 추천 수 0 2013.06.07 19:44:03
.........
출처 :  

"기독교"라는 언어 -1'

 

우리나라의 "기독교"라는 언어

 

기독교(Christianity)라는 말은 세 전통을 아우르는 말이다. 개신교(Protestantism), 천주교(Catholicism), 그리고 정교회(Orthodox Church). 하지만 절대 다수의 한국어 용법에서 기독교는 그런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지 않는다.

“무슨 종교 믿니?”“기독교요.”

“종교를 믿습니까?”“기독교인이에요.”

이런 대화가 오고갔을 때, 기독교는 통상적으로 개신교를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 기독교 안에는 가톨릭이 포함되지 않는다. 기독교라는 말을 개신교가. 여기서 가톨릭 교회는 기독교의 한 교파(denomination)이다. (우리나라에선 이단으로 인식되는 몰몬 교회(Mormonism)도 마찬가지이다. 기독교의 한 종파이다.) 그래서 언어상으로 가톨릭이 “기독교” 바깥으로 퉁겨나가지 않는다.

 

교회(church)라는 말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개신교인은 교회를 다니고, 가톨릭인은 성당을 다니지만, 미국에서는 모두 교회에 다니는 것이다. 우리나라 말에서만 유독 개신교와 가톨릭의 경계가 엄중한 것이다. 다른 여러 나라의 경우를 조사해 본 것은 아니지만, 난 이런 언어적 구분은 한국 특유의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난 한국 개신교의 “기독교” 독점이 비정상적인 용법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오만한 용법이라고 생각한다. 결정적 증거를 제시하면서까지 말할 수는 없지만, 난 개신교인이 자신을 “기독교인”이라고 말할 때, 개신교만이 진실한 기독교라는 전제를 은연중에, 혹은 무의식중에 가지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 (더 나아가 “크리스챤”이라는 언어가 있다. 독실한 개신교 신자들에게서 흔히 들을 수 있는, 공동체 내적인 표현이다. 한국 개신교가 미국 교회 문화의 절대적인 영향 아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그 뉘앙스를 정확히 밝힐 수는 없지만, 아마 영어식 표기에 의해 진실성이라는 느낌이 더해지는 것이 아닌가 한다.)

 

이 언어 독점 때문에, 학계나 가톨릭 쪽에 있는 사람들이 애를 많이 먹는다. 기독교세계를 아우르는 표현을 해야 할 때, “기독교”라는 말을 쓰면 뜻이 제대로 통하지 않는다. 때문에 그들은 “그리스도교”라는 말을 고안해서 쓴다. 그 사정을 모르는 사람들은, 도대체 기독교와 그리스도교의 차이가 무엇인지 물어보기도 한다. 동일한 의미이고, 동일한 말의 변형된 두 표기일 뿐인 두 단어가 왜 존재하는지에 대한 그들의 궁금증은 참으로 당연한 것이기도 하다.

 

난 “그리스도교”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가톨릭 교인과 학자들의 고충을 너무나 잘 이해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기독교라는 말이 제대로 회복되어야 한다고 본다. 나의 경우에, 개신교와 가톨릭을 통칭하는 경우에는 기독교라는 말을 사용하고, “개신교회”라는 말이 적용되어야 할 때는 꼬박꼬박 그 말을 붙여주는 노력을 한다. (개신교라는 말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 개신교인들도 꽤 된다. 하지만 그것은 앞서 말한 그들의 오만함의 일부이다.) 그게 참으로 상식적인 용법이다. 하지만 의식적인 노력 없이는 나도 헛갈릴 때가 있으니, 보통 사람들에게는 그게 얼마나 어려우랴.

 

언어는 권력이 투쟁하는 지점이다. 좀 살벌하게 들렸을지 몰라도, 말이란 게 절대 불변의 진리의 담지자가 아니라 힘센 쪽의 이해를 반영한다는 것이, 요즘 학계의 기본적인 전제이다. “기독교”가 개신교회에 의해 독점되어 왔다는 것은, 해방 이후 남한사회가 미군정과 이승만 정권을 거치는 동안 개신교회가 우리 사회의 헤게모니를 잡고 있었다는 사실과 관계가 있을 것 같다. (이건 나의 가설이다. “기독교”라는 말의 역사를 검토해보아야 한다. 그리고 “천주쟁이”와 “예수쟁이”라는 언어의 역사도 검토해 보아야 한다.)

 

문제는 우리나라 가톨릭이 “기독교” 안에 자리를 차지하지 못할 정도로 미미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이다. 역사적으로나, 수적으로나, 또 그 질에 있어서, 가톨릭 교회는 우리나라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교파중 하나이다. 현재 한국 개신교인의 숫자는 천만 정도로 예상되고, 가톨릭 교인의 숫자는 4백만 정도로 예상된다. (개신교인의 숫자는 199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정체 혹은 약간의 감소를 보인다. 반면에 가톨릭 교회는 꾸준한 성장률을 보였다.)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숫자이다. 그리고 가톨릭 특유의 위계적 구조로 인해, 교회의 조직력 측면에서 가톨릭 교회는 어느 개신교회보다도 막강한 결집력을 지닌다. 언어가 파워에 의해 재구성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의 “기독교”라는 언어는 점점 가톨릭의 존재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다소 시간이 걸릴지라도.

 

 

상당히 공감되는 글이다. 다만, 약간 궁금증이 생겼다.

基督敎라는 한자어 음차를 사용하는 동북아 3국에서 그 말은 가톨릭을 지칭하지 않는듯하다. (중국은 그리스도 대신에 希腊라는 말을 쓰기도 하는 것 같다.)

예를 들어 http://www.chineseprotestantchurch.org/ 는 중국개신교협회인데, 한자로는 基督敎를 사용하고 있다. 물론 http://cn.netor.com/know/christ/christ.htm 를 보면, "기독교"라는 상위 범주 안에 "신교", "정교회" "천주교"를 포함시키고 있다.

한국교회사를 다시 펼쳐 보아야 할 것 같긴 하지만, 1910~30년대에 프로테스탄트는 "기독교"라기보다는 "야소교"(耶蘇敎) 내지 "예수교"로 더 많이 지칭되지 않았을까 하는 상상을 해 본다.

그런데, 그리스어 "크리스토스"가 어쩌다가 우여곡절 끝에 基督이 되었을까를 뒤쫓아가보면 상당히 재밌을 것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88 수도관상피정 [성 안토니] 성 안토니오 수도원(The Monastery of Saint Anthony) 테오필로 2013-06-10 3872
» 논문신학성경 우리나라의 "기독교"라는 언어 null 2013-06-07 2208
2786 논문신학성경 신약성서의 저작연대 null 2013-06-07 2645
2785 논문신학성경 기독교 신약성서의 연대추정 null 2013-06-07 2302
2784 논문신학성경 기독교 신약성서의 사본들 (네슬레-알란트 그리스어 성서에 나오는 얘기) null 2013-06-07 2841
2783 논문신학성경 그리스어 신약성서 비평본의 역사 null 2013-06-07 3000
2782 논문신학성경 예수 그리스도(Ίησοΰς Χριστός)라는 이름 null 2013-06-07 2275
2781 경포호수가에서 작아진 키 피러한 2013-05-22 2230
2780 수도관상피정 관상기도란 무엇인가? 박노열 목사 2013-05-19 4955
2779 수도관상피정 관상기도의 신학적 문제점과 목회적 대안 김남준 목사 2013-05-19 3251
2778 경포호수가에서 알랑가 몰라 [1] 피러한 2013-04-21 3053
2777 논문신학성경 예수님 운영자 2013-04-10 2442
2776 논문신학성경 성령님 운영자 2013-04-10 2051
2775 논문신학성경 기도서 601권 -655권 운영자 2013-04-10 2130
2774 논문신학성경 기도서 401권-600권 목록 운영자 2013-04-10 2184
2773 논문신학성경 기도서 201권-400권 목록 운영자 2013-04-10 1958
2772 논문신학성경 기도서 1권 -200권 목록 운영자 2013-04-10 3172
2771 논문신학성경 기도로 푼 아가서 운영자 2013-04-10 2231
2770 논문신학성경 기도로 푼 이사야 1장 운영자 2013-04-10 1908
2769 논문신학성경 시편전체를 기도로 운영자 2013-04-09 2697
2768 논문신학성경 레위기의 5대 제사와 영적의미! 이드로 2013-04-03 4930
2767 순전한신앙이야기 강도의 굴혈을 만들어가는 현대 교회들 황부일목사 2013-03-24 2506
2766 순전한신앙이야기 이단(사이비)의 기준과 분별 황부일목사 2013-03-24 2104
2765 순전한신앙이야기 끝없는 괴로운 싸움 황부일목사 2013-03-24 1725
2764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에라스무스 오명희 전도사 2013-03-07 1882
2763 주보회보신문 은혜'와 '은총'에 대한 이해 은혜은총 2013-02-02 3411
2762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진젠도르프 -모라비안 경건주의의 아버지 오명희 전도사 2013-01-24 3495
2761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토마스 아퀴나스 오명희 전도사 2013-01-24 2287
2760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안셀무스 오명희 전도사 2013-01-19 2404
2759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보니페이스 오명희 전도사 2013-01-19 2517
2758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그레고리1세 김경덕 목사 2013-01-19 3093
2757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길선주 목사 오명희 전도사 2013-01-19 2487
2756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존 낙스 -스코틀랜드의 위대한 개혁자 오명희 전도사 2013-01-17 3268
2755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마포삼열 선교사 - 한국교회의 아버지 오명희 전도사 2013-01-17 2950
2754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존 후스 -종교개혁 이전의 개혁자 오명희 전도사 2013-01-17 2770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