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진리를 깨닫기전 나는 무신론자였다

황세원 기자............... 조회 수 2731 추천 수 0 2013.08.30 07:52:27
.........

진리를 깨닫기전 나는 무신론자였다


‘반항적인 회심자 CS루이스’

“나는 어떤 종교도 믿지 않아. 증거가 없어.철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기독교는 최상의 종교도 아니야.”
퉁명스러운 말투로 친구에게 이렇게 말했던 17세 소년은 15년 후 같은 친구에게 전혀 다른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우리가 ‘사실’이라고 부르는 것 즉, 실제로 있었던 성육신과 십자가에서의 죽음, 그리고 부활을 통해 그 존재를 보여주신 하나님이 곧 기독교다.”
이 사람이 ‘20세기에 가장 사랑받고 널리 읽힌 ‘기독교 작가’인 C S 루이스다. 그는 ‘순전한 기독교’‘고통의 문제’‘스크루테이프의 편지’(이상 홍성사 역간) 등의 책을 통해 기독인들이 고민해온 신학적 질문들에 대해 명쾌한 해답을 제시한다. ‘고통의 문제’ 등에서 그가 무신론과 허무주의에 대해 반박하는 논리는 아무리 철저한 무신론자라도 입을 다물게 할 수준이다. 그러나 그는 소년시절부터 무신론 신비주의 범신론 유물론 등에 빠져 중년이 되기까지 헤어나오지 못했다.
이는 한편으로는 놀랍지만 한편으로는 당연하다. 철저한 무신론에 빠져본 사람이라야 다른 무신론자의 논리를 제대로 반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루이스의 생애는 자서전적 회고록인 ‘예기치 못한 기쁨’(홍성사)으로 인해 어느 정도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번에 출간된 ‘반항적인 회심자 C S 루이스’(IVP·02-333-7363)는 다른 관점에서 그의 생애를 훑어보고 있다. 루이스가 신앙에서 멀어진 과정과 회심한 과정에 초점을 맞춰 그가 영향을 받은 사람들과 책,사상에 대해 세밀히 살펴보고 있는 것이다.
이는 두 가지로 의미가 있는 작업이다. 하나는 전 세계 수많은 크리스천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친 그의 저작이 어떤 과정을 통해 탄생한 것인지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신앙을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사람들이 결국 다다르는 함정을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20세기 최고의 지성이라고까지 불린 루이스가 어린 시절부터 기독교 신앙으로부터 도망가고 자유로워지기 위해 얼마나 치열하게 고민했는지를 살펴보고,그럼에도 불구하고 그토록 확실하게 ‘회심’을 할 수밖에 없었던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크리스천들에게 상당한 용기를 줄 것이다. 아무리 현대사회에서 무신론이 갈수록 득세하고 있다지만 결국 최후의 승자는 ‘논리’가 아니라 ‘진리’라는 것을 일깨워주기 때문이다.
프로테스탄트와 가톨릭의 대립이 ‘재앙’으로까지 불린 북아일랜드의 상류계층에서 태어난 루이스는 어린 시절부터 종교에 무관심한 소년이었다. 여기에 어머니의 이른 죽음,변덕스러운 아버지와의 대립,인간미 없는 기숙학교 생활 등의 시련을 겪으면서 신비롭고 초자연적인 현상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또 그에게 큰 영향을 줬던 한 스승이 무신론자였던 탓에 그는 믿음을 완전히 버리게 됐다. 다른 종교들에 대한 일반적 지식을 얻게 된 것도 ‘기독교가 영적 세계에 이르는 유일한 길은 아니며 가장 확실한 길도 아니다’는 생각을 강화시켰다. 옥스퍼드대에 진학해 관념론과 범신론 등 철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것도 한 원인이었다.
그의 회심은 어떤 극적인 계기를 통해 하루아침에 일어난 것은 아니었다. 관념론을 탐구하던 20대 중반부터 논리적으로 ‘유신론’쪽에 기울어지기 시작했던 그는 1929년 아버지가 병을 얻고 사망하는 시점부터 서서히 신앙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그 날 아침은 유난히 화창했다. 나도 모르게 ‘윕스네이드’ 동물원으로 향했다. 그 때까지 나는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것을 믿지 않았다. 그러나 동물원에 들어섰을 때 어느새 나는 그렇게 믿고 있었다.”
루이스의 이 표현은 언뜻 ‘극적인 회심’을 표현하는 듯하지만 사실은 반대다. 회심했다는 사실을 갑작스레 깨달았을 뿐 ‘진리’로 돌아오는 과정은 그가 신앙을 떠난 어린 시절에 이미 시작됐던 것이었기 때문이다.
C S 루이스의 회심 과정은 위에 언급한 대로 많은 무신론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한 가지 간과하지 말아야 할 점이 있다. 그의 무신론은 진정한 ‘진리’를 바라보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는 무신론이었지 현대인들이 빠져 있는 ‘나태한 무신론’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진리가 무엇인지 관심조차 없고 무신론자로 남기 위한 논리를 생각해본 적도 없으면서 방패처럼 ‘나는 무종교다’라는 말을 내미는 현대인들, 이들이 빠져있는 것은 다름아닌 ‘게으름’이라는 사실도 이 책은 밝혀주고 있다.

황세원 국민일보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2756 삶의 응원가 이지현 국민일보 기자 2013-08-25 2732
32755 향나무 같은 의인 임화식 목사 2011-06-10 2732
32754 공동체, 하나님의 응급실 필립 얀시 2010-12-07 2732
32753 교회의 위기상황 예수인도 2010-12-04 2732
32752 내일을 염려하지 말라 김장환 목사 2009-11-25 2732
32751 예배의 씨앗을 뿌려라 토미 테니 2007-09-11 2732
32750 사도 바울은 선교사로 부적격 탈락! [1] 유머행복 2004-09-08 2732
» 진리를 깨닫기전 나는 무신론자였다 황세원 기자 2013-08-30 2731
32748 늪에빠진 이기주의 김필곤 목사 2011-04-10 2731
32747 기도하는 어머니 김장환 목사 2010-07-01 2731
32746 희망을 줄 수 있는 교회 이준모 목사 2010-06-17 2731
32745 주님의 돌보심 코리 텐 붐 2010-01-02 2731
32744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 부캐넌 2009-10-03 2731
32743 새해를 승리하게 하는 키워드 이병욱(사랑의클릭닉원장) 2013-01-13 2730
32742 진실된 충성 [1] 박상훈 2003-01-27 2730
32741 성공의 요인으로 감사 김필곤 목사 2011-07-22 2729
32740 거울 효과(mirror effect) 전병욱 목사 2010-09-11 2729
32739 부흥을 꿈꾸며 이동원 2005-08-06 2729
32738 성령의 단비 내리던 날 이경민 2003-07-24 2729
32737 하나님의 사랑 한태완 목사 2013-01-18 2728
32736 오늘에 승리한 사람 명성조은교회노보현목사 2012-07-14 2728
32735 새옹지마 김장환 목사 2010-03-02 2728
32734 긍정적 적극적 믿음 file 여운학 2004-12-04 2728
32733 치열한 믿음 오정호 목사 2011-06-11 2727
32732 삶의 자리를 평강으로 만드는 사람 김학규 2011-01-24 2727
32731 찬송중에 쓰러진 무당 file 최낙중 2007-01-19 2727
32730 아브라함 링컨(성경) 따뜻한 2004-01-11 2727
32729 십자가와 침묵 이주연 목사 2013-04-22 2726
32728 만남의 축복 file 조영진 2008-05-14 2726
32727 어디에나 봄 file 김민수 목사 2013-05-01 2725
32726 WIN-win 세상 김필곤 목사 2011-05-14 2725
32725 허물 덮기 이동원 목사 2010-03-09 2725
32724 주의 길을 예비하라 대천덕 2007-01-13 2725
32723 하나님만 의지하라 버나드 2004-04-25 2725
32722 외로움을 달래시는 하나님 김장환 목사 2012-08-23 2724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