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원망의 종말

김필곤 목사............... 조회 수 2207 추천 수 0 2013.09.28 11:38:14
.........

089.jpg

원망의 종말

 

중학교 시절 뜻하지 않은 사고로 실명한 후, 이어 모친과 누나를 잃고 맹인 고아가 되었던 강영우 박사께서 마지막으로 “내 눈에는 희망만 보였다.”라는 책을 내 놓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두 눈이 안 보이게 된 상황에서, 부모님과 누나를 하늘나라로 떠나보내고 장애에 대한 편견을 고스란히 피부로 느낀 채 멸시와 천대를 받으며 살아야 했다고 합니다. 병신이라는 소리를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야 했고, 나를 보고는 아침부터 재수가 없다며 소금을 쏟아붓는 사람도 있었다고 합니다.
자신이 직접 시각장애인으로 살아야만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는 엄청난 충격을 받았고, 어머니는 그 충격을 이기지 못한 채 결국 뇌졸중으로 얼마 후 세상을 떠나셨답니다. 졸지에 가장이 된 큰누나는 학업을 포기하고 평화시장 봉제공으로 취직해 밤낮없이 2년을 일만 하다가 어머니를 따라 하나님 곁으로 가 버렸답니다. 누나가 떠나던 그날, 그는 어린 두 동생을 끌어안고 울고 또 울었답니다. ‘세상에 이런 가혹한 형벌이 또 있을까? 내가 무슨 죄를 그렇게 크게 지었다고 이런 벌을 내리시는 건지 하나님이 원망스럽기만 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원망은 그의 인생을 삼키지 못했고, 암도 그의 원망을 삼키지 못했답니다. 그는 죽음을 앞에 놓고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축복으로 저는 참으로 복되고 감사한 한평생을 살아왔습니다. 저의 실명을 통해 하나님은 제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역사들을 이루어 내셨습니다. 두 눈을 잃고, 저는 한평생을 살면서 너무나 많은 것을 얻었습니다. 이제 하나님의 축복으로 이렇게 하나둘 주변을 정리하고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작별 인사할 시간도 허락받았습니다. 한 분 한 분 찾아뵙고 인사드려야 하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는 점, 너그러운 마음으로 이해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으로 인해 저의 삶이 더욱 사랑으로 충만하였고 은혜로웠습니다. 감사합니다.” 때로는 원하는 대로 일이 잘 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면 사람들은 원망합니다. 원망은 문제를 당했을 때 부정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원망이란 우리말 큰 사전에 “남이 한 일들에 대하여 못마땅하게 여기어 탓하거나 불평을 품고 미워함”라고 풀어 놓고 있습니다.

로렌스 J. 크렙은 원망하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하였습니다. 사람에게는 인격적인 필요가 있습니다. 학생이 출세하기 위해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고자 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그러면 동기가 발생합니다. 새벽에 일어나 열심히 공부하는 것입니다. 그 필요를 이루기 위해 기본적인 가정을 합니다. 매일 새벽에 일어나 공부하면 성적이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 가정에 의해 목표를 향한 행동을 합니다. 새벽 일찍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런데 장애물이 다가 옵니다. 어머니에게 깨어 달라고 했는데 깨어 주지 않았습니다. 장애물의 범주에 따라 태도가 달라집니다. 대학 진학목표를 두었는데 도달할 수 없는 목표를 잡았다면 실패 후 자기 능력에 맞지 않는 목표를 잡았다고 죄책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나 장애물이 외부적인 환경이면 그 대상자를 원망합니다. “부모님이 새벽에 깨워주지 않아서”라고 원망을 합니다. 그 장애물이 ‘떨어지면 어떻게 되지’와 같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라면 불안에 싸이게 됩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광야에서 수시로 원망을 합니다. 장애물이 외부적 환경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모세 때문에 물을 마시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마라에서 “모세에게 원망하여 이르되 우리가 무엇을 마실까(출 15:24)”라고 말합니다. 3일 전에는 홍해에서 모세를 원망하였으나(출14:11) 기적을 통하여 이집트 군인들이 홍해에 수장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런데 3일 지나 조그마한 문제가 발생하니까 과거를 다 잃어버리고 다시 원망합니다. 원망하는 사람들은 기억해야 할 것을 망각하고 망각해야 할 것을 기억합니다. 개역개정성경에 37회 기록된 원망이라는 말이 출애굽 과정에 무려 20회나 나옵니다. 그들은 가나안을 앞에 둔 가데스에서 원망하다가 결국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 못했습니다. 그들이 원망한 이유는 잘못된 것이 상대방에게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고, 불만 요소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미래에 준비된 더 좋은 것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마라 다음에는 엘림이 있는데 이것을 모른 것입니다. `마라'에서 `엘림'간의 거리는 낙타로 2시간 거리라고 합니다. 원망한 소리는 하나님이 듣습니다. 원망하는 것은 죄입니다. 원망의 종말은 결국 실패입니다. 원망한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닙니다. 백성들이 원망할 때 모세는 부르짖어 기도했습니다. 환경을 보고, 상황을 보고, 자신의 무능력을 보고 원망하지 말고 오히려 감사하며 기도해야 합니다. 장애물은 원망의 도구가 아니라 기회입니다. 참으로 인간이 상상할 수 없는 고난을 당한 욥에 대하여 성경은 “이 모든 일에 욥이 범죄하지 아니하고 하나님을 향하여 원망하지 아니하니라(욥 1:22)”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말씀합니다. “그들 가운데 어떤 사람들이 원망하다가 멸망시키는 자에게 멸망하였나니 너희는 그들과 같이 원망하지 말라(고전10:10)”

섬기는 언어/열린교회/김필곤목사/2012.5.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054 판단의 오류 김필곤 목사 2013-10-08 3063
27053 믿음과 격려의 힘 김장환 목사 2013-10-07 1942
27052 절약 정신 김장환 목사 2013-10-07 1149
27051 삶과 행복을 더럽히는 것 김장환 목사 2013-10-07 1360
27050 진리를 얻는 법 김장환 목사 2013-10-07 1417
27049 행운을 부르는 법칙 김장환 목사 2013-10-07 1510
27048 우물에 담긴 희망 김장환 목사 2013-10-07 1466
27047 행복한 사람 김장환 목사 2013-10-07 1576
27046 해석의 차이 김장환 목사 2013-10-07 1594
27045 더 넓게 생각하라 김장환 목사 2013-10-07 1596
27044 힘이 되는 위로 김장환 목사 2013-10-07 2417
27043 자기 자신을 무는 사람 김장환 목사 2013-10-07 1478
27042 현명한 선택 김장환 목사 2013-10-07 1916
27041 세계의 복음 현황 김장환 목사 2013-10-07 1466
27040 아깝지 않은 투자 김장환 목사 2013-10-07 1426
27039 온유한 사람 김장환 목사 2013-10-07 1818
27038 제약을 허물어뜨려라 김장환 목사 2013-10-07 1309
27037 어떤 인생을 살 것인가? 김장환 목사 2013-10-07 1827
27036 줄어들지 않는 것 김장환 목사 2013-10-07 1137
27035 나를 변화시킨 말 김장환 목사 2013-10-07 2336
27034 어느 기도 김장환 목사 2013-10-07 2357
27033 체험의 놀라운 기쁨 김장환 목사 2013-10-07 1859
27032 최소한의 노력 김장환 목사 2013-10-07 1382
27031 나눔을 통한 배움 김장환 목사 2013-10-07 1766
27030 성공의 방법 김장환 목사 2013-10-07 1500
27029 교만하지 말 것 김장환 목사 2013-10-07 2085
27028 사랑의 실천 김장환 목사 2013-10-07 1710
27027 한 영혼을 위해 김장환 목사 2013-10-07 2021
27026 하나님의 상상력 김장환 목사 2013-10-07 1720
27025 빅데이터 시대에도 이주연 목사 2013-10-06 1631
27024 어린아이처럼 이주연 목사 2013-10-06 1239
27023 가난 이주연 목사 2013-10-06 1349
27022 기도의 문 이주연 목사 2013-10-06 1986
27021 가을묵상 이주연 목사 2013-10-06 1531
27020 교회의 분열을 넘어서라 이주연 목사 2013-10-06 1490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