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기고]포스트 세월호 한국

뉴스언론 이성청 교수............... 조회 수 559 추천 수 0 2014.06.12 11:05:35
.........
[기고]포스트 세월호 한국

 

시대를 규정하고 특징짓는 방식은 다양하겠지만 미국 사람들은 자신들의 사회적 변화를 2차 세계대전 혹은 베트남전과 같은 비극적인 사건을 축으로 표현하곤 한다. 특히 9·11 테러는 국민, 국가, 세계를 향한 자신들의 시각과 태도가 어떻게 급변했는지를 잘 보여주는 역사적 이정표로 활용되고 있다.

경향신문
필자는 이방인으로서 ‘9·11 이전의 미국’과 ‘9·11 이후의 미국’의 차이를 체험했다. 실제로 사람과 세상을 향한 미국인들의 관점이, 생활양식이, 그리고 언어가 변했다. 모든 한국인을 단번에 무력하고 참담하게 만든 세월호 참사 또한 여러모로 미국의 9·11 재난과 닮아 ‘포스트 세월호 한국’(Post Sewol Korea)을 바라볼 수 있는 좋은 패러다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9·11과 세월호 두 사건이 가져온 가장 큰 공통점이자 악영향은 자존감의 몰락이다. 2차 세계대전과 냉전 종식, 그리고 전후 미국 경제의 팽창은 ‘팍스 아메리카나’를 현실로 만들었고, 미국인들로 하여금 자신의 국가를 초강대국으로 세계 경찰국가로 그리고 서구 대중문화의 아이콘으로 믿게 만들었다.

그러나 9·11이 그 자존감을 한순간에 무너뜨렸다. 세월호는 세계 12위 경제대국, 세계 8위 군사강국, 세계 최고의 고기술 혁신국가, 한류 등의 현란한 수식어로 잔뜩 달아오른 우리의 자존감에 찬물을 끼얹었다. 미국은 적은 있으나 적국은 존재하지 않는 테러리즘이라는 모호한 실체와 싸우며 국론 분열, 정부 불신이라는 내부의 적들과 대적해야 했고 세월호는 급성장과 번영에만 집중했던 우리들로 하여금 잊고 살았지만 삶의 깊은 곳에 똬리를 틀고 있었던 하류 기업정신, 하류 관료, 하류 직업윤리를 발견하고 무능하고 무책임한 자신들의 얼굴을 마주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닮은꼴은 ‘포스트 세월호 한국’이 ‘포스트 9·11 미국’과 마찬가지로 국민의 의식과 삶에 현저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앞으로 우리들의 주요 관심을 대변하는 새로운 패권적 용어들이 등장할 것이고 사회 전반에서 그것의 정의와 실천에 대한 도전, 노력, 그리고 투쟁과 갈등이 뒤따를 것이다.

포스트 9·11 미국인의 뇌리에는 원하든 원치 않든 테러리즘, 근본주의 이슬람, 알카에다, 그라운드 제로, 악의 축과 같은 신용어들이 정치·경제를 포함한 사회 전반의 아젠다와 언어를 장악했다. ‘포스트 세월호 한국’도 신용어들의 범람과 그로 인한 집단의식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구조, 안전, 재난관리, 그리고 ‘움직이지 말라’ 등의 언어들은 우리가 무엇을 하든 어디에 있든 우리 의식에 큰 자리를 차지할 것이다.

이제 우리는 세월호 참사 학습효과로 ‘확실히 일어날 일’에 관해서만 대비하는 중진국적 사고에서 ‘혹시 일어날지도 모르는’ 일까지 대비하는 선진국적 국민의식을 가져야 한다. 또한 자유와 규제에 관한 정치·경제학적 담론이 이론적 지평에서 일상의 지평으로 내려와 우리 국민 모두가 피부로 느끼며 고민하고 풀어야 할 숙제가 될 것이다. 개인적 자유를 신성하고 불가침한 것으로 여기고 살았던 미국인들도 9·11 재난 앞에서 국가의 규제와 간섭에 인내하고 용납하는 실험을 감행했다. 애국법안을 통해 국가로 하여금 개인의 정보와 사생활을 포괄적으로 감찰할 수 있는 지위를 부여했고 강화된 공항 보안검색으로 인한 불편함은 평상의 일부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9·11 요금이라는 생뚱맞은 추가 비용도 넉넉히 수긍했다. 마찬가지로 세월호 참사를 통해 우리는 얼마만큼의 자유를 양보할 수 있고 얼마만큼의 육체적 불편함과 경제적 비용을 감내할 수 있는지 자문해봐야 한다. 규제 없는 사회는 구성원의 성숙한 시민성과 확고한 프로페셔널리즘 그리고 높은 도덕성이 전제되어야 가능하다. 자유와 규제의 균형은 앞으로 우리 국민 모두가 풀어야 할 숙제가 될 것이다.

세월호가 국민에게 안겨준 국가에 대한 불신을 일소하기 위해 정부는 보다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포스트 9·11 미국은 안팎으로 만연한 위협을 해소하기 위해 과감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새로운 G.I. 법안은 군인들의 교육 보조금을 향상시켰고 2010년에는 40억달러를 그라운드 제로 구조대원들의 보건비로 할당했다. 미국은 조직의 질적·양적 성장뿐 아니라 사람들의 필요 또한 돌아보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대부분의 세월호 선원들이 계약직이었다는 사실이 그들의 낮은 직업윤리나 책임감과 무관치 않다고 봐야 한다. 정부가 직접 나서서 변화를 도모해야 할 부분이 이미 많이 드러난 상태다. 차가운 바다 밑에서 처절히 그리고 쓸쓸히 생을 마친 우리 아이들 그리고 이웃을 생각하며 아무것도 할 수 없어 죄책감에 울었던 국민들은 보다 나은, 보다 안전한 사회로 도약할 준비가 됐다고 본다. 국가 아니, 정부는 ‘포스트 세월호 한국’에 관해 준비가 되었는지 묻고 싶다.

<이성청 | 미국 핀들레이대 교수·종교철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09 뉴스언론 [조국의 밥과 법] 젊은 정치인들, 조로(早老)하지 마라 조국 교수 2014-06-25 353
9608 뉴스언론 [여적] 5만원권의 증발 박용채 논설위원 2014-06-24 418
9607 뉴스언론 [세상읽기] 혁신학교 학부모를 잊지 말라 엄기호 강사 2014-06-24 384
9606 뉴스언론 [동네적 풍경]우리동네 정반장님 김현진 에세이스트 2014-06-24 568
9605 뉴스언론 [경향마당] 수도권으로의 ‘파멸적 집중’ 성경륭 교수 2014-06-24 345
9604 뉴스언론 [과학 오디세이] 유전자변형 모기의 출현 김훈기 교수 2014-06-23 775
9603 뉴스언론 [김형경의 뜨거운 의자] 타인을 악한으로 만드는 ‘박해감’을 아시나요? 김형경 소설가 2014-06-23 1095
9602 무엇이든 삶이 지치고 힘들 때 우리의 삶에 참 평안을 드립니다 박은주 2014-06-23 633
9601 광고알림 기독교 캠프코리아 대학청년캠프 2014여름 안내 크리스천투데이 2014-06-23 595
9600 광고알림 제5회 중독심리치유공연 saip75 2014-06-23 386
9599 광고알림 6월KCP영성훈련학교(COST)): 안재홍 목사 치유세미나 밀알 2014-06-22 1019
9598 뉴스언론 [여적] 그들의 군대 이종탁 논설위원 2014-06-21 318
9597 뉴스언론 [기고]환경오염 피해구제 법률 뭉개지 말라 김홍균 교수 2014-06-21 361
9596 뉴스언론 [낮은 목소리로] 염치 김별아 | 소설가 2014-06-21 381
9595 무엇이든 [정제윤 목사] 롯의 인본주의 신앙관:동천교회(총공회) 박노아 2014-06-20 467
9594 뉴스언론 목사들의 망언과 신학적 단상 거북이 2014-06-20 432
9593 뉴스언론 목회자 1000인 선언 cyw 2014-06-20 761
9592 광고알림 (제11기) 은사사역자학교 (7월 7-8일) 주님사랑 2014-06-20 442
9591 광고알림 (토요일 오전 11시) 예언 상담 축사 치유 집회 주님사랑 2014-06-20 419
9590 뉴스언론 [야! 한국사회] 하나님과 공산당 이라영 집필노동자 2014-06-19 432
9589 뉴스언론 [경제와 세상]한국 보수의 경제사관 홍기빈 소장 2014-06-19 454
9588 뉴스언론 [녹색세상] 나쁜 꿈 황윤 영화감독 2014-06-19 471
9587 뉴스언론 [김상조의 경제시평] 삼성에 보내는 경고와 충고 김상조 소장 2014-06-19 601
9586 뉴스언론 [세상읽기] 망가진 국가, 살아 있는 국민 김윤철 교수 2014-06-19 352
9585 무엇이든 [토마스주남=거짓선지자] 거짓선지자가 많이 일어나 많은 사람을 미혹하겠으며..(by 마태복음 24:11) 박노아 2014-06-18 445
9584 뉴스언론 [한기호의 다독다독]경제가 성장하면 우리는 정말로 행복해질까 한기호 2014-06-16 421
9583 뉴스언론 [석학과 함께하는 인문강좌](5) 한글 홍윤표 2014-06-16 1039
9582 뉴스언론 [여적]하나님 김석종 논설위원 2014-06-16 384
9581 뉴스언론 [사설]1천만명이 월급 139만원도 못 받는 한국사회 경향신문 2014-06-14 424
9580 뉴스언론 [양극화, 문제는 분배다]소득불평등, 1970년대 후반 가장 컸다… 오창민·박병률 기자 2014-06-13 719
9579 뉴스언론 [양극화, 문제는 분배다]상·하 계층 자녀 대학 진학률 24%P 차이… [1] 임지선 기자 2014-06-13 845
9578 뉴스언론 [양극화, 문제는 분배다]월 소득 139만원 미만 1000만명 육박… 김경학 기자 2014-06-13 497
9577 뉴스언론 [시론] 정부의 ‘의료법 위반’ 어디에 고발하나 우석균 | 보건의료단체연합 2014-06-13 432
9576 자료공유 [연세중앙교회] 베리칩은 666이 아니야! (by 윤석전) 박노아 2014-06-13 1188
9575 뉴스언론 [양권모칼럼] ‘바보 김부겸’을 위하여 양권모 논설위원 2014-06-13 653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