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
[사유와 성찰]적·청·화·경(寂淸和敬)의 사회를 꿈꾸며

 

 
경향신문
적(寂), 즉 고요함은 시속과 유행에 얹혀 서두르지 않고 시간과 더불어 삶을 조형하는 태도를 말한다. ‘모든 것은 지나간다’고 하듯이, 그것은 자연과 정복하면서 시간을 거슬러 이룩한 기술과 제도의 방대한 체계마저 인간의 내면 풍경을 다 채울 수 없다는 체감에 터한다. 인간의 실존조차 쉼 없이 바뀌긴 하지만, 그 알짬은 ‘그것들’만으로는 결코 다 채울 수 없다는 그리움이며 또 시간의 와류 속에 부식되어가는 아쉬움이다. 좋은 사회에 대한 적(寂)의 조건으로 내가 앞세우는 것은, 바로 이것, 무엇보다도 그 그리움과 아쉬움을 그 사회의 문화적 바탕에 깔아놓는 일이다. 적(寂)의 사회는 분요와 민속(敏速)의 문명적 먼지들을 자정(自淨)할 수 있는 장소이며, 적(寂)의 개인들은 삶의 요란스러운 잔칫상을 둘러싸고 있는 죽음의 병풍을 이미 체인(體認)하고 있는 존재다.

좋은 사회의 또 한 가지 표지는 청(淸)인데, 엉뚱하게 들리겠지만 이는 그저 ‘청소(淸掃)’를 가리킨다. 이로써 세계 최고의 청소황국(掃地皇國) 일본이나 정리정돈의 법국(法國) 독일이 내장한 파시스트적 불길함을 모른 체하려는 게 아니다. 적(寂)의 문화가 속을 비우는 삶의 양식에 기초한다면, 청(淸)의 문화는 바깥을 치우면서 빈터를 얻어가려는 노력을 말한다. 청소라는 게 비와 걸레 등을 활용하는 일체의 구체적이며 지속적인 행위를 가리키는 것처럼, 빈터라는 것도 별 신통한 게 아니라 실제로 각자의 삶의 공간 속에서 몸으로 체감하는 여백과 공터를 가리킬 뿐이다. 공원(公園)이 아닌 공원(空園)이라거나 장식물들을 적극적으로 생략한 벽면이라거나 그저 깨끗할 뿐인 손톱 같은 것들, 말이다. 옛사람들이 청소를 일러 도(道)라고 하는 것은, 그것이 철저하게 실천 속에서만 발아하는 이치이기 때문이다. 적(寂)이 한 사회가 채택할 수 있는 시간의 철학이라면, 청(淸)이란 장소의 철학이 된다.

내가 상상해온 좋은 사회의 표상 중 또 한 가지는 화(和), 즉 어울림의 협업 속에서 생겨난다. 시간과 장소를 종횡으로 누비며 인간들은 어울려, 혹은 버성기며 살아간다. 두말할 것도 없이 사회란 어울림의 지혜에 의해서 조금씩 나아진다. 적(寂)과 청(淸)은 태도나 양식의 일관됨을 말할 뿐(하지만 이 시대의 유일한 미덕이라면 일관성이 아니고 무엇이랴!)이지만, 화(和)란 임기응변의 역동적인 지혜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인간이 만드는 세속사회의 알속을 구성한다. 무릇 인문학 공부라는 게 바로 이 어울림의 지혜를 지향한다는 점은 너무나 당연할 수밖에 없다. 아니, 지혜라는 것 자체가 어울림의 산물이며, 어울림을 위한 것이고, 또 어울림에 의해 나날이 조율, 개선되는 것이다. 그 흔한 표어인 화이부동(和而不同)의 경우, 이는 관용과 평화의 기반이 되긴 하지만 그렇다고 반드시 삶의 지혜를 낳는 밑절미를 이루는 것은 아니다. 산중이나 골방이 아니라 잡다한 어울림에 터한 지혜는 관용처럼 안이하지 않고 평화처럼 안돈스럽지 않다. 차라리 지혜는 오해받는 일이며, 박해받는 일이고, 내내 위험한 일이기도 하다.

좋은 사회에 대한 포기할 수 없는 마지막 꿈은 경(敬)이다. 경이란 앞서 말한 적, 청, 화에다가 무엇인가 낯설고 명백한 무엇을 더하는 게 아니다. 속을 비우고 겉을 치우면서, 내남없이 어울려 살아가는 지혜로써 삶의 길을 밝히면 자연스레 솟아나는 것, 피어오르는 것, 어느새 떠올라 있는 것, 그리고 아침이슬처럼 맺히는 것일 뿐이다. 어떤 삶의 역사가 있을 때에만 은근하게 드러나는 어떤 얼굴 같은 것이라고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밤 10시를 넘겨서야 겨우 해가 떨어지는 지중해 연안의 과일에서 은근히 드러나는 햇빛-표정처럼 경(敬)은 한 사회가 담고 있는 긴 세월의 표정인 것이다.

적청화경이라는 것은 당연히 사회철학에 이르지 못한다. 논의의 초점을 잃은 채 개인들의 수행과 성숙에 방점을 찍은 상상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상상을 양보하지 않는 일은 사회와 공동체를 착각하고 공적 틀거리를 사적으로 희석하려는 짓이 아니다. 가능한 모든 것이 타락하였을 때에는 불가능한 것을 고집하는 게 삶의 변명이기 때문이다.

<김영민 | 철학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1674 묵상나눔 천국의 산수 file Navi Choi 2023-03-08 25
1167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좋을 때나 나쁠 때나 긴 호흡으로 file 박노해 2023-03-07 10
11672 묵상나눔 천국 문의 현수막 file Navi Choi 2023-03-07 35
11671 뉴스언론 신자 10명 중 1명 이단… 최대 66만명 달할 듯 file 최경식 기자 2023-03-07 29
11670 걷는독서 [걷는 독서] 구름 속에서도 태양은 빛난다 file 박노해 2023-03-06 8
11669 묵상나눔 이 시대 자화상 file [1] Navi Choi 2023-03-06 22
11668 걷는독서 [걷는 독서] 굳은 대지와 껍질을 뚫고 자라나는 file 박노해 2023-03-05 7
11667 묵상나눔 마태의 고집 file Navi Choi 2023-03-05 22
11666 가족글방 그날은 과연 오는가? file Navi Choi 2023-03-05 20
11665 걷는독서 [걷는 독서] 소중하고 가치 있는 것에는 늘 file 박노해 2023-03-04 15
11664 묵상나눔 고백, 그다음 file Navi Choi 2023-03-04 18
11663 가족글방 트라우마'란 과거의 어떤 사고 혹은 사건으로 인해 김요한 2023-03-04 21
11662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의 시작은 언제나 작고 미약했으나 file 박노해 2023-03-03 16
11661 묵상나눔 예수님의 시대 인식 file Navi Choi 2023-03-03 25
11660 무엇이든 한국말은 어렵다. 김요한 2023-03-03 17
1165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아이들은 자연과 친구들과 있으면 file 박노해 2023-03-02 9
11658 묵상나눔 거룩한 쿠나리아 file Navi Choi 2023-03-02 27
11657 걷는독서 [걷는 독서] 오늘 다시 file 박노해 2023-03-01 10
11656 가족글방 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을 때 레닌은 김홍한 목사 2023-03-01 12
11655 묵상나눔 몰상식 세상에서 상식으로 살기 file Navi Choi 2023-03-01 17
11654 걷는독서 [걷는 독서] 그 긴 시간 우주는 온 힘을 써서 file 박노해 2023-02-28 12
11653 묵상나눔 고독 file [1] Navi Choi 2023-02-28 22
11652 걷는독서 [걷는 독서] 좋지 않은 일들이 한꺼번에 오고 file 박노해 2023-02-27 11
11651 걷는독서 [걷는 독서] 충만한 삶이란, file 박노해 2023-02-27 12
11650 묵상나눔 따로 빈들에 file [1] Navi Choi 2023-02-27 24
1164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아이에게 좋은 것만 주는 부모는 file 박노해 2023-02-26 15
11648 가족글방 전도와 홍보의 차이점 file 임대건 2023-02-26 22
11647 묵상나눔 칭의와 정의 file Navi Choi 2023-02-26 13
11646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는 믿는다 file 박노해 2023-02-25 7
11645 가족글방 섶- 미술과 민주주의 file Navi Choi 2023-02-25 17
11644 묵상나눔 실패 같은 성공 file Navi Choi 2023-02-25 24
1164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쉽게 인정받거나 쉽게 실망하지 말고 file 박노해 2023-02-24 17
11642 가족글방 지렁이의 기도 김요한 목사 2023-02-24 74
11641 묵상나눔 작은 것이 아름답습니다 file Navi Choi 2023-02-24 25
11640 광고알림 박경호 히브리어 헬라어 번역 성경 절찬 판매중 file 박경호 목사 2023-02-24 23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