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읽을꺼리37] 엿새 동안 힘써 일하라?

수필칼럼사설 방선기 목사............... 조회 수 3218 추천 수 0 2002.10.23 12:35:38
.........
출처 :  
주5일 근무제에 대한 교계의 반응들을 보며

그동안 간간이 거론되던 주5일제 근무가 본격적으로 현실화될 모양이다. 그러면서 이 문제에 대한 논란이 다시 시작되고 있다. 특히 기업계에서 이러쿵저러쿵 말이 많다. 그런데 다른 문제와 달리 이 문제에 대해서는 교계에서 아주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 같다. 얼핏 생각해도 이 문제가 교회와 관련 있는 문제이긴 하다. 십계명의 제4계명을 근거로 하여 이것이 비성경적이라고 주장하는 분들도 있다.

‘비성경적’이라는 비판에 대한 생각

사실 이 문제는 단순하게 결론 내릴 수 없는 문제다. 개인적으로도 어느 것이 현재 상황에서 좋은 것인지 확신이 가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 문제가 부각되고 진행되는 과정을 보면서 몇 가지 느낀 점들을 나누고 싶다.  
  우선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평가다. 많은 사람들이 시기 상조라는 말들을 한다. 국제적인 상황을 볼 때 지금 우리가 그렇게 풀어져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에서는 근로자들의 삶의 질을 생각한다면 이제는 좀 쉬면서 일해야 하지 않느냐는 반론이 있다. 양쪽 주장 모두 일리가 있다. 다만 현재의 경제 형편과 우리 국민의 기질을 고려할 때 주5일 근무제를 조금 늦추는 것이 어떨까 싶다.
  그러나 주5일 근무제가 비성경적이라고 주장하면서 반대하는 데는 도무지 동의하고 싶지 않다. 엿새 동안 힘써 일해야 한다는 계명을 들어서 주5일 근무제를 비성경적이라고 하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지며, 나중에라도 자칫‘비성경적’이라는 말의 권위가 떨어질 것이 염려된다.  
  엿새 동안 힘써 일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이 직업을 통해서 돈 버는 일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만일 그렇게 해석한다면 직업이 없는 가정주부들은 하루도 일하지 않는 것이 되므로 계명을 어기는 것이 되고 만다. 또한 토요일에 반나절 근무하는 것도 계명을 어기는 것이 될 수 있다. 주5일 근무제가 되어서 닷새는 직장에서 열심히 일하고, 하루는 자원봉사를 한다든가 가정 일을 돕는다면 얼마든지 계명을 지키는 것이다.

신중하게 장기적인 안목으로 고민해야

물론 교계에서 이렇게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은 성도들의 주일성수가 허물어지는 데 대한 염려 때문일 것이다. 충분히 이해가 된다. 그러나 그러한 이유로 이 제도 자체를 비성경적이라고 비판하는 것은 경솔한 행동이 아닐까.
  주5일 근무제 시행이 지역교회에 영향을 미칠 것은 분명하지만 그 영향력에는 양면성이 있다. 일시적으로는 분명히 부정적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주말이 이틀로 늘어나면서 교회 출석률이 낮아질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오히려 그 과정을 통해서 교회가 새로워질 수 있으며 이전에 할 수 없었던 주말 프로그램을 통해 열매를 얻을 수도 있다. 그리고 그동안 교회와 직장, 가정생활 사이에서 균형을 잡지 못하던 크리스천 직장인들로서는 일과 안식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좋은 기회도 될 것이다.
  어쨌든 주5일 근무제에 대한 논의를 성경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이 문제를 감정적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말씀을 좀더 신중하게 묵상하고 고민해야 할 것이다. 또 실제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얻을 수 있는 유익을 염두에 두면서 다루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말하면서도, 필자 역시 ‘주5일 근무제로 인해서 교회 성장이 갑자기 둔화되면 어쩌나’ 하는 걱정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것이 어쩔 수 없는 추세라면 억지로 막으려고만 할 것이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령의 역사가 나타나도록 기도해야 할 것이다.

방선기/ 이랜드그룹 사목. 직장사역연구소 소장. sunki@eland.co.kr

*들꽃피는 제53호 읽을꺼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 생명환경자연 [나눔] 자연을 돌보는 인간 무명 2002-11-03 2857
92 목회독서교육 한국교회 목회의 문제점 무명 2002-11-03 4069
91 한국교회허와실 ■ [혼란한 교회 영성운동 ] 한국교회 영성 이해부족 기독교신문 2002-11-03 3876
90 선교화제현장 가난한 은퇴 목회자의 여생을 담당하는 원로목양선교회 기독교신문 2002-11-03 3848
89 선교화제현장 보석같은 4인성전 기독교신문 2002-10-30 3265
88 한국교회허와실 ■ 현실과 동떨어진 공동체운동 기독교신문 2002-10-30 3549
87 한국교회허와실 ■ 기독 사이트의 난맥상 기독교신문 2002-10-30 3922
86 한국교회허와실 ■ 일부 교회들의 무속화 현상 기독교신문 2002-10-30 3844
85 생명환경자연 작은 단추구멍 하나를 찾고서-생태 유아 교육 강좌를 듣고 성혜란 2002-10-30 3472
84 北山편지채희동 한송이 들꽃처럼 살수만 있다면 채희동 목사 2002-10-30 3210
83 목회독서교육 [야베스의 기도]는 진정 위험한 '가짜 빵'인가 김종희 2002-10-30 3425
82 영성묵상훈련 야베스는과연 어떤 기도를 했던 것일까? 한종호 목사 2002-10-27 3706
81 수필칼럼사설 교회를 죽이는 방법? 조명환 2002-10-27 3390
80 목회독서교육 구약 성서의 613 계명 목록 돌쇠 2002-10-27 3646
79 수도관상피정 마귀의 책략 [1] 영성의메아리 2002-10-27 3157
78 정치건강취미 [건강] 스님들의 장수 비결 김철중 2002-10-27 3741
77 한국교회허와실 ■ 짜증 유발하는 전도활동 기독교신문 2002-10-27 3724
76 선교화제현장 성서한국, 통일한국, 선교한국 김진홍 2002-10-27 3295
75 수필칼럼사설 우연은 없다 정원 목사 2002-10-27 3363
74 사회역사경제 미국 테러당할 때 일부 아랍인은 왜 환호했나? 이희수 2002-10-27 3125
73 사회역사경제 이슬람교는 어떤 종교인가? 퍼온글 2002-10-27 4467
» 수필칼럼사설 [읽을꺼리37] 엿새 동안 힘써 일하라? 방선기 목사 2002-10-23 3218
71 수필칼럼사설 이제 단강을 떠납니다. 뉴스엔죠이 2002-10-23 3226
70 한국교회허와실 ■ 자리잡지 못하는 예배문화 기독교신문 2002-10-23 4070
69 한국교회허와실 ■ 왜곡된 경건생활 [1] 기독교신문 2002-10-23 3877
68 한국교회허와실 ■ 과대포장된 교회내 '직분' 기독교신문 2002-10-23 4058
67 한국교회허와실 ■ 기독교가정의 허와실 기독교신문 2002-10-23 3914
66 생명환경자연 작은 이야기 - 들꽃 사랑 작은이야기 2002-10-18 3562
65 사회역사경제 프리메이슨(Freemason) [3] 궁금자 2002-10-18 7648
64 생명환경자연 [나눔] 전 세계 재난 예고 국민일보 2002-10-18 3225
63 생명환경자연 [읽을꺼리52] 환경호르몬 비상 국민일보 2002-10-18 3028
62 사회역사경제 [읽을꺼리53] 도시 빈민은 구조의 문제이다. 박문수 신부 2002-10-18 3050
61 인기감동기타 우리에게 먹이를 달라 고광노 2002-10-18 2860
60 영성묵상훈련 복 받는 신앙 김진홍 2002-10-17 3945
59 선교화제현장 공동체 두레마을 김진홍 2002-10-17 4945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