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사람 눈치 보는 일

경포호수가에서 피러한............... 조회 수 3065 추천 수 0 2004.10.11 07:48:12
.........
출처 :  



사람 눈치 보는 일


외국인이 한국에 와서
이해되지 않는 일 중의 하나는
식당에서는 서로 밥값을 계산하려고 싸우면서도
길거리의 가난한 자에게는 적선을 하지 않더라는 것이다.

왜 이렇게 겉과 속이 다를까.
원래 우리는 만주와 넓은 중원을 통치했던 기백이 있었는데,

삼국통일 이후 땅이 좁아지자 주변 강대국들의 눈치를
보는 신세가 되면서부터 스스로를 우습게 여기고
눈치에 민감한 사람들이 되었다는 것이다.

아울러 유교적 형식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기에
남 앞에서 자신의 부족함이나 결함 등을
보인다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기며,

오직 타인의 눈치만 보다보니 소신보다는 
명분과 체면을 지키는 일에는 목숨을 걸게 된 것이다.





다른 사람 눈치를 본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순전히 허세(虛勢)요 체면일 뿐이다.

일본에서는 승용차 10대 중 9대가 경차라고 하는데
우린 그 반대로 10대 중 1대밖에 안 된다.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나라에서
체면 때문에 이렇게 실속 없이 살아가고 있다.

일본이나 중국도 체면을 중요하게 여기지만
우리만큼 목숨 걸지는 않는다.

안 먹고서도 먹은 척,
없어도 있는 척,
모르면서 아는 척,
평범하면서도 똑똑한 체하는 체면치레들도
긍정적으로 본다면 좋은 점이 있다.

자존심을 지켜 자긍심을 높여주고
인간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한다.

문제는 그것이 지나칠 때에
현실을 왜곡시키어 미래를 준비할 수 없게
만드는 일이다.





어떤 분은 동서양 가치관의 차이를 한 마디로,
“글쎄요”와 “예, 아니요”라고 했다.

우리는 면전 앞에서 ‘아니요’라고 거절하면 무례하다고
생각하기에 ‘글쎄요’라고 어정쩡하게 대답한다.

이러한 눈치 문화 습관이 지금의
아부와 무능 그리고 기회주의를 만들었던 것이다.

정치인들은 표심이나 일부 지지세력 눈치를 보고
이해가 엇갈린 일부 주민과
시민단체의 눈치를 보아야 하며 이제는 한술
더 떠서 네티즌 눈치까지 보아야하는 세상이다 보니
서민들의 문제는 요원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눈치 보는 것’도 이렇게 많은 문제를 제기하지만
‘눈치 없는 일’은 또 다른 양상의 고통이다.

현실을 직시하지 못한 채,
분위기 파악 못하고 엉뚱하게 고집스러운
돈키호테 같이 눈치 없는 사람과
함께 한다는 것처럼 세상 답답한 일도 없다.

비록 사람 눈치 보느라 스트레스를 받지만
그럼에도 눈치 보는 일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은
그것은 상대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를 갖추게 하고,
또 신의 음성을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눈치에 대한 현실과
알 수 없는 그의 섭리(攝理)를 외면한 채,
‘내 권리는 내가 찾겠다는데 왜 눈치를 보느냐?’라고

반문하는 똑똑한 사람들은
눈치를 받거나 주려고도 하지 않기에
타인을 힘들게 하고
공동체에 혼란을 주고 있는 것이다.

이면우 교수가 지적하는 사회의 공적(公敵)이란
무식한 사람이 전문직에 앉아 있을 경우,
무식한 사람이 소신을 갖고 있는 경우,
무식한 사람이 부지런한 경우라고 했다.

‘무식’이란 다른 사람 눈치 보지 않고 옳다고
여기는 것을 소신 있게 밀어붙이는 ‘히딩크식’ 소신인데,
그것은 소신이라기보다는 아집과 집착이요
공동체를 죽이는 돌이낄 수 없는 과오일 뿐이다.





사람 눈치 보는 일도 잘못된 일이요,
눈치 보지 않고 잘못된 소신대로 움직이는 것은
더 큰 문제를 일으킨다면
도대체 어떻게 살아가야 한단 말인가.

예(禮)를 지킬 정도의 센스와 함께
남의 눈을 의식하지 않고 살아가는 길은
자신만의 분명한 칼라가 있는 소신 있는 삶이다.

어느 시대든지 소신을 갖고 일한다는 것은
너무 많은 위험 부담과 함께
순교적인 행동이 될 수도 있는 일이다.

드라마 대장금의 ‘한상궁’은
배경 없이 보잘것없는 집에서 태어났지만,

분명한 원칙과 함께
자신만의 독특한 칼라가 있었기에
어려움 속에서도 그런 자리에 올라갔던 것이다.

눈치 대신에 자기 색깔을 갖고
소신껏 살아간다는 것은 이렇게 자기 인생은
자신이 책임지며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자신의 칼라가 분명한 사람은
신이 주신 은사(恩賜)가 무엇인지를 알고
끊임없이 자아를 계발(啓發)하는 사람이다.





그렇게 소신을 갖고 살아가는 사람은 또한
내일에 대한 분명한 꿈이 있다.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앙드레 말로의 말처럼 소신 있는 사람은
꿈을 꾸면서 살아가면서
그 꿈이 진정한 자신의 미래라는 것을 알게 된다.

꿈이 있는 사람은
그러므로 일에 따라 움직이지 않고
꿈에 따라 움직인다.

자신이 확신하는 그 꿈이 현실이 되도록
오늘이라는 순간 속에
자신의 모든 것을 다 던지며 살아가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꿈이 있는 자는
자신과 맞지 않는 사람과도 동역할 줄 알며,
타인의 비난도 얼마든지 수용하지만
자신은 다른 사람을 판단 할 시간이 없는 자다.

오늘이라는 현실에서는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며 자신을 키워나가지만,
후에는 그들이 자신의 눈치를 볼 정도로
능력 있는 사람이
소신 있는 사람의 모습이다.





주님,

내가 사람을 기쁘게 하랴.
하나님을 기쁘게 하랴.

만약 사람을 기쁘게 한다면
나는 사람의 종이지
당신의 종이 아닙니다.

이렇게 고백했던
바울처럼
...

내가 정말로
눈치 보아야 할 대상은
당신입니다.


그러나

사람의 눈치가 왜 필요한지를
이 종은 잘 압니다.

그들의 판단 속에서
당신의 마음을 읽게 하소서.
...

2004년 10월 10일 강릉에서 피러한이 드립니다.
^경포호수^
A Place Called Morni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3 경포호수가에서 내 안의 부자를 깨워라 피러한 2004-10-25 3508
582 北山편지채희동 꿈꾸는 교회- 까치네 교회 채희동 2004-10-25 3166
581 경포호수가에서 덧없는 인생 피러한 2004-10-19 3159
580 北山편지채희동 '우리만'을 주장하는 것이 '이단' 채희동 2004-10-17 2601
579 北山편지채희동 돈이 없으면 교회가 될 수 없다 채희동 2004-10-17 2794
» 경포호수가에서 사람 눈치 보는 일 피러한 2004-10-11 3065
577 한국교회허와실 ■ 교회를 대상으로 장삿속을 채우지 말라 기독교신문 2004-10-09 3723
576 한국교회허와실 ■위기에 빠진 주일학교 교육 기독교신문 2004-10-09 4160
575 한국교회허와실 ■ 김선일의 죽음과 선교 기독교신문 2004-10-09 4396
574 경포호수가에서 가을, 그 바다는 피러한 2004-10-03 3257
573 경포호수가에서 심히 부담스러운 사람 피러한 2004-09-26 3138
572 수필칼럼사설 [읽을꺼리75] 사단에게 기회를 주지마라 無然 2004-09-24 3236
571 수필칼럼사설 교회를 영화롭게 하라 無然 2004-09-24 2879
570 수필칼럼사설 김용옥 씨 실력은 어느 정도일까? 無然 2004-09-24 3214
569 수필칼럼사설 종교다원을 두려워 말라 無然 2004-09-24 2876
568 수필칼럼사설 진실로 예수가 좋은가? 無然 2004-09-24 3073
567 경포호수가에서 이 시대의 귀신 피러한 2004-09-19 3003
566 경포호수가에서 일등처럼 꼴찌에게도 피러한 2004-09-12 3275
565 인기감동기타 [읽을꺼리73] 아버지의 편지 하나님 2004-09-07 3111
564 경포호수가에서 법과 양심의 소리 피러한 2004-09-06 3692
563 北山편지채희동 십자가의 자기 희생으로 오는 인류 평화 채희동 2004-09-05 2696
562 北山편지채희동 십자가 고난은 주님과 만나는 유일한 통로 채희동 2004-09-05 2797
561 北山편지채희동 "집사님은 하느님의 성전입니다" 채희동 2004-09-05 2664
560 北山편지채희동 봄바람 부니 쓰레기는 스스로 쓰레기통으로 채희동 2004-09-05 2676
559 정치건강취미 [읽을꺼리36] 숨쉬기도 잘하면 엄연한 운동 file 조재현 2004-08-31 3442
558 사회역사경제 [re] 문익환 목사님이 그립다. 권오풍 2004-08-30 2877
557 사회역사경제 피묻은 돈으로 즐거워하는 자화상 file 이준호 2004-08-30 3233
556 경포호수가에서 인사를 잘 하는 사람 피러한 2004-08-30 3359
555 영성묵상훈련 [읽을꺼리68] 기타 연습 푸꼬 2004-08-23 3149
554 경포호수가에서 아 유 해피? 피러한 2004-08-22 2964
553 인기감동기타 체중 255g 역사상 가장 작은 아기 15년 후 이지연 2004-08-20 3775
552 100가지,50가지 인생의 작은 교훈 50가지 다람지 2004-08-19 3473
551 경포호수가에서 이성과 감성의 두 얼굴 피러한 2004-08-16 4427
550 경포호수가에서 게으름 피러한 2004-08-09 3220
549 北山편지채희동 온 몸으로 통일 노래한 시인 문익환 채희동 2004-08-08 2866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