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서울대권장도서백권10] 도덕계보학 (프리드리히 니체)

목회독서교육 최정운............... 조회 수 3340 추천 수 0 2005.06.10 08:25:41
.........
출처 : http://news.donga.com/Series/List_70070000000665/3/70070000000665/20050412/8178770/1 


프리드리히 니체가 ‘도덕의 계보’를 1887년에 출간한 것은 이미 8권의 저서를 낸 후였다.

이 책은 니체가 1886년 그의 사상을 종합해 출간한 ‘선악의 피안’의 속편으로 그 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저술된 약 160쪽의 비교적 얇은 책이다.

니체는 사상에서 가장 근본이라 할 수 있는 ‘도덕적 가치’가 무엇이며 어떻게 생성됐는지를 이 책을 통해 탐구하고 있다. 그는 도덕적 가치의 기준이라는 것들이 역사 속에서 구체적인 행위들을 통해 오랫동안 강요되면서 뿌리내려오게 됐다는 것을 분석적으로 보여주려 하고 있다.

이 책은 도덕적 가치 기준 중 공존하지만 구별되는 두 가지 기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는 ‘좋다’와 ‘나쁘다’, 그리고 이와는 구별되는 ‘선하다’와 ‘악하다’라는 두 쌍의 기준이다. 그는 이 두 기준이 명확하게 다른 연원을 갖고 있으며, 또 서로 다른 역사를 거쳐 발달해왔다고 강조한다.

니체는 ‘좋다’와 ‘나쁘다’의 가치 기준은 객관적인 기준으로 확립된 것이라기보다는 권력을 독점하던 종족 집단이 스스로를 ‘좋다’고 일방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강요한 결과로 생긴 기준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이 가치 기준은 ‘금발의 야수’로 불리던 게르만 전사(戰士) 귀족들의 것이었고, 게르만의 관습이 그들이 지배하던 유럽 대륙 전체로 전파돼 유럽 사회의 일반적 속성으로 뿌리내리면서 굳어진 기준이라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선하다’와 ‘악하다’의 기준은 다수의 피지배 계층이 갖고 있던 지배자들에 대한 원한과 증오의 표현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는 이 과정에서 당시 전사 귀족들과 갈등 관계에 있던 성직자들이나 유대인들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강조한다.

그는 성직자들이 대중의 원한을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했다고 주장한다.
즉, ‘선’과 ‘악’이라는 기준은 피지배층이 갖고 있던 원한을 분출해 지배자들에게 복수하는 길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복수는 현실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기보다는 여러
지 우회적인 형태로 지난 2000년 동안 서서히 서구인들에게 정착돼 왔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이러한 가치 기준이 만들어낸 결정체가 바로 ‘금욕적 이상’이라고 결론짓는다.
니체는 이 책에서 ‘선과 악’이라는 기독교적 가치관을 비판하고 있다. 그리고 분출하는 본능에 따라 자신을 위해 행동하는 강력한 동물로 인간을 회복시키려 하고 있다. 그는 여기서 더 나아가 인간이 ‘차라투스트라’처럼 자신을 극복하는 위대한 모습으로 삶을 긍정하고 운명을 사랑하는 존재로 진화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주장을 통해 ‘초인’이란 독재적 영웅이 아니라 자신을 극복하는 자유롭고 창조적인 인간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다. 또 사회적 약자들의 원한이 만들어내는 독소는 특히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이 책은 결국 사회적, 개인적인 원한이 쌓이면 그 사회 또는 개인에게 독이 되어 돌아오므로 이들이 핍박받지 않도록 자유주의의 확산, 창의력의 독려가 사회 구성의 중요한 요소임을 암시하고 있다는 점을 되새겨 봐야 한다.

최정운 서울대 교수·외교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718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23] 수사학 교수직의 사임 어거스틴 2010-02-28 3362
2717 경포호수가에서 운명과의 한 판 피러한 2008-05-11 3362
2716 가정결혼양육 중년기(中年期) 위기와 상담 권대근 2010-04-28 3361
2715 北山편지채희동 [북산편지636] 너희는 세상의 소금과 빛이다! 최완택 2008-03-08 3361
2714 인기감동기타 [읽을꺼리89] 아버지의 얘기를 먹고 자란 아이! 도인숙 2005-03-10 3361
2713 사회역사경제 [주5일 근무] 토요일 놀고 일요일 쉰다 주간조선 2003-01-14 3361
2712 치유영적전쟁 영적전투대상 - 크리스천 사이언스 예수분별 2010-07-16 3360
2711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06] 그리스도만이 구원에 이르는 길 어거스틴 2010-02-04 3360
2710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266] 나는 그대들에게 모든 풀을 식용으로 준다.. 어거스틴 2011-03-25 3359
2709 경포호수가에서 인사를 잘 하는 사람 피러한 2004-08-30 3359
2708 인기감동기타 남성에 대한 배려 64가지 돌쇠 2003-01-06 3359
2707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34] 죽은 어머니를 위한 기도 어거스틴 2010-03-19 3358
2706 영성묵상훈련 [빛을따라간사람들] 썬다 싱 file 조영란 기자 2010-04-21 3356
2705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247] 물위에 운행하시는 성령 어거스틴 2011-01-09 3354
2704 주보회보신문 그리스도인의 성경적인 대화법 열가지 [1] 최용우 2008-01-11 3353
2703 北山편지채희동 고요한 밤 거룩한 밤-- 교회문 두드리는 아기 예수 채희동 2003-03-21 3350
2702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46] 점성술 최용우 2009-05-20 3349
2701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230] 창세기에 나타난 창조 어거스틴 2010-10-10 3348
2700 영성묵상훈련 행복의 비결 루디아황 2007-12-26 3348
2699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11]젊은 예술가의 초상 (제임스 조이스) 김길중 2005-06-10 3348
2698 성경적재정원리 하나님께서 베팅하시는 자 신상래 목사 2010-05-18 3347
2697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97] 신플라톤파의 책에 대한 기독교도의 회고 어거스틴 2010-01-09 3346
2696 목회독서교육 [서평] '예수는 없다'는 있다 김상일 2004-07-14 3346
2695 경포호수가에서 그녀를 좋아하는 이유는... 피러한 2003-08-31 3346
2694 인기감동기타 일년내내 줄수있는 101가지 선물 peace119 2002-11-24 3346
2693 수도관상피정 명상의 위대성과 위험성 file 박석 2008-11-02 3345
2692 경포호수가에서 내 인생도 도청된다면 피러한 2005-08-09 3345
2691 생명환경자연 ‘미친 소’는 고기도 미쳐 있다? 전상일 2004-01-21 3345
2690 수도관상피정 쉬지말고 기도하라 헨리 나우웬 2009-03-28 3344
2689 인기감동기타 [독후감]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을 읽고.. 주원엄마 2008-09-05 3344
2688 경포호수가에서 추억, 그거 아무 힘도 없어 피러한 2005-07-17 3344
2687 목회독서교육 새해엔 이런 달 이름 어떠신가? 임의진 2003-01-15 3344
2686 성경적재정원리 [재정과 영적전쟁16강] 저축과 투자에 대한 하나님의 법칙 다람지 2007-07-14 3344
»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10] 도덕계보학 (프리드리히 니체) 최정운 2005-06-10 3340
2684 목회독서교육 성전건축이 교회의 지상과제인가 [1] 뉴스앤조이 2004-07-02 3340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