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가톨릭과 개신교의 공통점과 차이점 (가톨릭의 입장에서)

논문신학성경 wild306............... 조회 수 5457 추천 수 0 2007.10.02 10:55:11
.........
출처 :  
1. 일단 기독교(가톨릭=천주교회, 개신교)의 종파 문제는 아래에 참고로 정리하였습니다.

2. 가톨릭과 개신교의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
1) 2000년간 믿어온 가톨릭교회의 신앙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삼위일체 하느님 신앙.
- 동정녀 마리아에거 탄생한 예수의 십자가 희생 구속,
- 거룩하고 보편(가톨릭)된 교회를 믿음(=>다가오는 천년왕국을 부정함)
- 성인(성도)들의 통공(교통)을 믿음
- 천국과 지옥이 있음을 믿음
- 예수 재림을 믿음
- 육신의 부활을 믿음
- 영원히 삶을 믿음

위의 신앙사항은 가톨릭교회의 사도신경에 고백되어 있음

2) 성경은 하느님의 말씀이심을 믿음(신약 27, 구약 46권, 개신교는 70인역에만 있는 7권은 외경으로만 인정하여 39권만 인정. 그러나 70인역 7권은 학문의 대상으로 연구 함)

3) 가톨릭교회의 신앙신조문을 믿음 즉,
사도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 니체아 콘스탄티노플신경, 에페소신경, 칼케톤 신경 등==> 이 신경들른 기독교의 근본 믿음으로서 삼위일체, 예수님의 신성과 인성, 기독교의 교리체계의 골격에 대한 신앙고백임.

4) 은총안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의화(칭의)됨을 믿음.
(=>한번 의화된 자(거듭난 자=구원을 받은 자>는 영원히 의화된 상태임)

이렇게 기독교의 기본적이며 전체적인 윤곽에서 개신교는, 가톨릭교회의 신앙을 그대로 믿음.^^

<차이점>
가톨릭교회와 개신교 차이점은, 기본 신앙에서의 차이점이 아니라^^,

1) 교계제도에 대하여 조금 다름
===> 교황제도를 부정함

그러나 성공회와 루터교는 교황은 반대하였지만, 주교, 사제 부제라는 가톨릭교계정신은 그대로 가짐(루터교는 교계제도를 많이 약화시켰음, 성공회는 교황을 기독교의 최고 지도자로서만 인정하고 교계제도는 온전히 가톨릭대로 따름)

장로교는 장로제도를 중심으로함,
감리교는 감독제도를 가지고 있음, 감독제도는 가톨릭교계제도와 비슷함.
다른 개신교 종파들(오슨절, 복음주의 등등)은 비슷한 명칭을 사용하여도 서로가 다름.

2) 교회 공동체의 "성화"를 위한 성례(성사)의 수가 다름.

가톨릭은 7가지(세례, 견지, 성체, 고백, 병자, 혼인, 신품)

개신교는 서로가 다 다름 즉,
루터교는 3가지(세례, 견진, 성체)
성공회는 가톨릭과 같은 7가지.
장로교 등 다른 개신교 종파들은 2가지(세례, 성찬)

그러나 죄의 사함(용서=죄의 고백)의 부분에서 루터교는 공동사죄는 인정
장로교측에서도 공동사죄에 대한 것을 예배에 첫머리에다 "약화된 의미"에서 인정함.

보통 개신교가 2가지 성례(성사)를 가졌다고는 하지만,
서로 그 성사의 의미를 정함은 서로가 다 다름.
가톨릭과 같거나 비슷한 성찬(성체성사)을 하는 교단은, 성공회, 루터교,
성찬의 의미를 영적인 임재설(루터교는 실재임재설)을 믿는 장로교와 성찬을 그리스도의 몸과 피라고 믿는 감리교가 가톨릭이나, 성공회나, 루터교와 근접하고,

*가톨릭과 성공회는 실재변화(빵과 포도주가 실재로 주님의 몸과 피이고 예수님이 온전히 인격적으로 현존함)
루터교는 <빵과 포도주 안에 예수님이 온전히 실재적으로 현존 함^^)
장로교는 <빵과 포도주 안에 예수님이 영적으로^^온전히 임재하심^^)
감리교는 <빵과 포도주는 예수님의 몸과 피임^^)

다른 개신교 종파들은 가톨릭이나 이들 개신교 주류들과는 아주 다른 "상징설"을 믿음

3) 개신교인들이 오해하는 가톨릭신앙.

- 가톨릭은 선행으로 구원을 받는다더라.===> 아닙니다.

은총안에서 예수를 통한 믿음으로 의화(죄를 용서받고 거듭남) 됨,
가톨릭은 <선행으로, 혹은 믿음과 선행으로 의화(구원)받는다는 설을 이단으로 단죄하였음.^^
(가톨릭이 선행을 강조함은 심판시에 "천상상급"과 관련하여 강조하는 것임)
여기에서 루터교, 장로교 등과 가톨릭의 차이점은
같은 의화를 믿지만,
많은 개신교(툭히 루터교, 장로교등)는
<인간은 절대적으로 부패하여 ,자유의지가 없다>라면서 설명하고,
가톨릭은 <인간은 부패하였으나 자유의지는 있다>라고 설명합니다.^^

- 교황은 교리를 마음대로 정하고, 교황은 절대 오류가 없다고 한다?
===> 교황이 교리를 마음대로 교리를 만드는게 아닙니다. 그런일은 없습니다.^^
또한 교황은 사람이므로 죄를 지을수 있으며, 오류를 범합니다.

가톨릭에서는 위와 같은 교리는 없습니다.^^
다만,
교황은 다른 주교들과 함께,
지금까지 교회가 믿어온 것에서,
"신앙이나 도덕"에 관하여, "교황직무에서 공식적"으로 "전체 교회에 선언"할 때 "그 선언(=내용)은 오류가 없다"라고 합니다.
2000년 교회사안에서 단 두번 그렇게 했습니다.

그것도 교황마음대로가 아니라, 교회가 2000년간 믿어 온것을 전세계 사도들의 후계자들인 주교들과 일치하여^^ 그리고 그 선언을 정리하여 선언한 것입니다.^^

- 교황이 죄를 사해준다?^^
죄는 우리 주님이 사해 주는 것입니다.
부활하신 주님은,
사도들을 파견하시면서,
성령을 사도들에게 주시면서, 복음을 전하고 가르치며, 주님의 이름으로 "죄를 용서해 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요한 복음 20장 22-23절 을 잘 보세요. 정확히 나와 있습니다.

또한 마태복음 16장도 잘 보세요.
마태16장에서는
"무엇이던지, 네가 푼것은 풀어 주고, 묶어둔것은 묵인채 있으리라, 하시면서 지옥문도 이기지 못할 것"이라고 하였지요?^^
이 말씀들은 주님이 "직접" "베드로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주님이 "베드로 신앙고백에게" 하신 말씀이 아닙니다.^^
주님은 또한 베드로에게, "하늘의 열쇄"도 직접 주시겠다고 하셨습니다.
이것(하늘의 열쇠 등등)들도, 주님이 "베드로의 신앙고백에다가" 주셨단 말인가요?

^^주고 받는 것은 인격적인 행위입니다.^^

마태 16장 은 주님은 베드로와 "직접 대화"하시고 계십니다.
베드로의 신앙고백에다가 교회를 세우시니^^,
하늘의 얼쇄를 주시니^^, 지옥문이 이기지 못하느니^^, 하신적이 없습니다.^^
(마태 16.15-20을 잘보세요)

이해를 돕기위해서,

하느님이 창세기 19장에서

"아브람"을 인류의 아버지로 선택하실때에 "이름을 새로 지어" 주셨어요.
"아브라함"이라고.
베드로에게 주님이 교회를 세우시기 전의 베드로의 이름은 시몬이었지요?
창세기 19장과 같이,
시몬 바르요나에게 새 이름(베드로=반석)을 지어 주시고,
"베드로(반석)위에 주님의 교회를 세우신다"고 했어요.

<성서를, 주님의 말씀을 고의로 자기 마음대로 뜯어 고치는 것은 죄입니다.^^>
야훼(여호와)가 구약의 새백성의 아버지를 간택하실 때의 아브라함과
예수께서 신약의 교회를 세우실 때 베드로라는새 이름을 주신 것을 비교해 보십시요. 같은 맥락입니다.^^

다시 "죄의 고백(죄의 용서)"으로 되돌아 와서,^^

교황(베드로 직무자를 로마의 주교 혹은 교황이라고 합니다.)뿐 아니라,
모든 성직자들은 그러한 권한(고백성사=죄를 용서해 줌)을 예수님으로부터 받았습니다.
그러나 사제들이 죄를 사해 줌은 자기들이 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주님이 하시는 입니다.

목사가 세례를 베풀어 "사람을 거듭나게 해 준다"고 하여,
사람이 거듭나게 하는 것을 목사의 능력이란 말입니까?
고백의 성사도 같은 이칩니다. 그래서 세례나 고백의 성사등을 같은 성사(성례)라고 하는 것입니다.

물론 일상의 "사소한 잘못들"은, 고백의 성사를 하지 않어도 됩니다.
통상적인 회개와 죄를 짓지 않으려는 다짐, 그리고 잘못한 이에게 가서 화해 함 등등을 통해서 죄의 용서를 하느님으로부터 받습니다.

- 천주교회는 성모마리아를 믿는다?

이는 사도신경에서 고백하는 <모든 성도들의 교통=모든 성인들의 통공>에 따른 해석의 차이입니다.
천주교회는 <천상의 교회와 지상의 교회는 하나의 그리스도의 몸이고 하느님의 백성이므로 서로 기도를 통하여 도울수 잇다>라고 합니다, 이를 사도신경에서 "성도들의 교통"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성모마리아는 신앙의 대상이 아니기에, 기도를 받으시는 분도 아닙니다.
성모마리아와 다른 천상의 성도(성인성녀)들과 함께, 천주교인들은 하느님께 기도를 하는 것입니다.

즉 성모마리아의 도우심(우리를 위하여 빌어 주심)과 함꼐 기도를 하기를 좋아한다는거십니다.
개신교인들은 살아있는 사람들과 함께 기도를 잘 하지요?
천주교인도그렇습니다.

그러나 또한 천주교인은 살아있는 사람들과 함꼐 기도를 잘 하는것처럼,
같은 교회공동체인 천상영복(천국)에 계시는 교회의 지체들이신 "성모마리아, 성인성녀천사들과도 함께 기도를 잘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런 분들 다 필요없이 혼자 오롯하게 하느님께 기도도 잘 합니다.^^
이런 것을 두고 마리아를 믿니 섬기느니 하지만 그것은 절대 아닙니다.
교회 공동체관의 차이지요.^^

그래서 가톨릭을 "공동체적"이라고 주로 말을 하고,
개신교단들은 "개인주의적"이라고도 합니다.
등등 이런것들을 모르면서도,
마음대로 무식한 자들이 지껄이는 말을 그대로 믿으면서(자기들은 인간인 목사의 말은 자주 인용하면서, 혹은 맹종하듯 믿으면서,^^)
신앙의 대상이 아닌 교황님에게는 니가 신이냐 뭐냐하는 식으로^^ 터무니없이 비난을 할때는 안타까울 뿐입니다.^^.
윗 글 어느 형제님의 글에서도 그런 글이 좀 보입니다만,^^

5. 말이 나왔으니 교회(=교회론)라는 명칭을 설명하겠습니다.

기독교(가톨릭=천주교회, 개신교)의 교회라는 의미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교회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을 믿는 모든 하느님의 백성들(그리스도인들)을 말하며,
이 하느님의 백성들은 그리스도의 몸이 되며 예수 그리스도는 교회(=하느님의 백성=그리스도의 몸)의 머리가 된다.
교회를이루는 공동체는 지상의 그리스도안 뿐 아니라, 천상에서 하느님의 영광을 받고 있는 천국영혼도 천상교회의 공동체로서 하나의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는 교회이다.

두번째는,
교회란 예수 그리스도께서 마태 복음 16장에서 보듯,
사도 시몬에게 새로운 이름 즉 베드로(반석)라는 이름을 지어 주시고,
(하느님이 아브람을 뽑아,
인류의 아버지로 세우실 때에도 아브람에서 "아브라함"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셨습니다. 창세기 19장 이하 참조)
베드로위에 교회를 세우셨으며,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이,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받은 <가르칠 권한과 양떼를 돌보아야 할 권한> 즉 봉사적인 교직제도를 통하여 복음을 전하고 세웠던 바 이렇게 가시적인 "봉사적인 교회 직분=교계제도"안에서 모든 공동체가 이루어짐을 교회라고 합니다.

가톨릭교회(천주교회)는 첫번째, 두번째 개념을 모두 다 받아드려,
이 두가지 요소가 완비하게 구비된 즉 2000여년동안 예수 그리스도를 증거하여 온 <가톨릭교회에게만 온전한 교회>라고 믿습니다.

개신교는 16세기에 가톨릭교회에서 갈라져 생겼는데,
교황제도를 반대하였지만,
(프로테스탄트란 말은 "교황에게 반항 하였다"라는 말입니다.
그들은 교황은 반대하였지만, 가톨릭교회는 반대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순수한 가톨릭교회로 개혁한다고 했어요.^^)

교황을 제외한 교직제도는,
각각의 개신교 종파마다 새로, 혹은 가톨릭교회의 제도대로 만들어 시행했습니다.(물론 저마다 성경에 근거를 두었다고 주장하지만.^^)

즉 성공회는 가톨릭교직제도를 그대로, 그리고 그 위에다가 영국왕을 성공회의 최고의 어른으로 만들었지요?^^

루터교도 비슷하게,
장로교는 장로제도로 만들었고, 칼빈자신이 신정국가를 세워 군림했지요?
감리교는 감독제도를 만들었고,~~ 등등

그래서인지, 서로 다른 다양한 교직제도를 각기 가지고 있는 개신교에서는,
교직제도에 대한 교회론은 별로 중요시 하지 않고^^(개신교안의 많은 교단들이, 서로의 교계제도를 가지고 논의 해 보아야 서로에게 답을 전혀 줄 수 없잖아요?^^),

하여,
위에서 언급한 "첫번째의 교회 개념만 가장 중요한 교회론"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므로 첫번째; 교회론을 중심으로 개신교끼리 교회연합기구(교회일치운동기구)를 만들었지요.

즉, wcc(세계교회협의회)
kncc(한국기독교협의회)
cck(한국기독교총연합회) 등등~~

이들이 이런 연합체를만들게 된 신앙은 위에서 언급한 가톨릭신앙신조들이 기준으로 된 것입니다.^^

그런데 오늘날 한국에서는 천주교회에서 갈라진 개신교들(장로교, 루터교, 성공회, 감리교 등등)이 스스로 자기네를 <교회>라고 말합니다.
그래서인지 개신교와 구분을 하기 위해서 천주교회를 <성당>이라고 부르는 수가 있는데 그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교회는 위에서 설명한 그런 개념이고,
성당이란 가톨릭교회에서 예배를 드리는 장소를 성당이라 하며,
개신교에서 예배를 드리는 장소는 예배당이라고 합니다.

6. 님이 질문하신 것은 아마도 기독교안에서 천주교회(가톨릭)와 개신교의 차이를 물으시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교회의 개념을 위에서 설명드렸으므로,

이번에는 기독교가 왜 천주교회(가톨릭교회)와 다른 수많은 개신교 종파들이 생겼는지에 대하여 조금 길지만, 정확히 알려드리기 위하여 길지만 조금 더 설명해 드립니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서 사도 베드로 위에 설립이 되었고(마테16.17),
성령강림 후 사도들은 힘차게 복음을 전하였습니다.
이렇게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면서 성장하였습니다.
주님의 복음은 어느 시기던 어느 계층이건 누구나 보편적으로 믿을 진리라 하여,
기독교의 교회를 <가톨릭(보편)교회>라고, "서기 100년" 전후 부터 불러왔습니다.

<<기독교의 분열 과정과 분열 이유>>

마태복음 16장을 보면, 예수 그리스도께서 베드로위에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를 세웁니다.
그리고 마태복음 마지막장에는 <가서 복음을 전하고 가르치라>고 명하십니다.
요한복음 마지막 장(21장)에는 "부활하신 예수님이 베드로에게 3번씩이나 양떼를 잘 돌볼 것"을 당부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승천하신 후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은 각지에서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세웠습니다.

이 기독교의 교회를 가톨릭(=보편된, 누구나 믿을 수 있는)교회라고 서기 100년 이전부터 공식적으로 불러왔습니다.

1) 가톨릭교회는 초기에는 로마교회를 중심으로 안티오키아, 알렉산드리아, 예루살렘 교회 등이, 이단들과 투쟁을 하며 <사도로 부터 전해 받은 신앙>과 다른 신앙을 주장하는 집단 즉 "반삼위일체 신봉자"을 교회에서 쫓아 내면서 발전을 하였습니다.

가톨릭교회의 중심은 <로마교회>였습니다.
이는 로마교회를 사도 베드로가 세우고, 베드로의 순교 위에서 베드로의 권위 계승에 의하여 로마 교회가 성장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2) 로마제국의 황제가 사는, 로마제국의 새로운 수도의 새로운 교회 즉 <콘스탄티노플 교회>는 로마 황제의 보호하에 <전체 교회의 2위>라는 명예를 얻게 되었습니다.
(로마황제는 그리스도교의 공인 후에 로마제국의 수도를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플로 옮겼습니다. 그래서 황제가 사는 도시의 교회라고 하여 로마교회 다음 번째의 순위를 준것 입니다.)

이후 콘스탄티노플 교회의 총대주교는 로미황제의 보호하에, 간혹 로마 교회의 주교(교황)에게 권위적 도전을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두 교회간에는 감정적 앙금이 많이 싸여져 갔습니다.

3) 또한 로마교회와 콘스탄티노플 교회는, 동유럽(콘스탄티노플)과 서유럽(로마)에 위치한 고로 즉
지역적 차이로 문화, 언어, 표현, 등등의 차이점을 보였습니다.
같은 신앙을 고백하면서도 이러한 표현력의 차이, 로마교회에 대한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의 도전 등등이 쌓여 1054년도에 서로 갈라져 버렸습니다.

로마교회는 가톨릭교회의 중심으로서 활발하게 유럽(과 세계)로 선교를 하였습니다.
로마교회에 갈려 나간 콘스탄티노플 교회는 그 총대주교의 영향을 받는 다른 동방의 많은 교회들은 스스로 <정교회=비잔틴교회>라고 부르기 시작하였습니다.

로마가톨릭교회와 정교회의 신앙과 직분은 거의 같습니다. 서로 정통성을 인정하면서 형님(로마교회), 아우(콘스탄티노플교회 등)하는 사이입니다.

4) 로마가톨릭교회는 서유럽의 여러 왕으로부터 많은 간섭과 박해를 당하기도 하였습니다.
당시의 왕들은 자기 나라의 정치의 통일을 위해서 기독교(가톨릭교회)를 국교로 받아들였고,

왕은 하늘이 내린 자라하여 <교회의 성직자>들도 미음대로 세우곤 하였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부패를 제거하기 위해서,
교황은,
왕의 부당함에 대하여 싸웠기도 하였고, 그러나 대부분은 군사권력을 가진 왕에게 교황이 박해를 받거나 감금당하거나 죽임을 당하기도 하였습니다.
(우리가 보통 흘려 들었던 교황하고는 좀 다르지요? "교황의 힘이 너무 막강하여 모든 짓을 다하였다" 라고 하는 사람들의 말은 거짓말이거나 과장입니다.^^)

5) 이렇게 교회가 왕과 부패한 성직자들에 의해서 세속화 되어가자,
교회안에서 개혁을 위한 많은 성인성녀들이 출현하곤 하였습니다.
교회는 항상 쇄신되고 개혁되어져야 하는 법입니다.

성베드로 대성당을 짓다가 돈이 부족하자 건축 기금을 헌금을 받도록 하였는데,
프랑스나 스페인 영국 같은 나라들은 이미 정치가 중앙잡권화 되고, 교회안이 비교적 개혁되어 있었기에 헌금이 잘 걷히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독일 같은 나라는 그 당시에는 아주 미개국이 되어 사람들이 헌금을 걷기가 딱 좋은 나라였지요.
거기에서 성직자들은 사람들이 헌금을 하면 <헌금 증서>를 발부하여 주었습니다.
그리고 아주 무식한 사제들도 있어, 헌금을 긁어 모으기 위하여 혹세무민을 하기도 하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즉 <헌금을 내면 죄가 사해진다는 증서를 주기도 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소위 <면죄부>라고 하지만, 가톨릭교회에서는 <면죄부>란 없습니다.

다만 죄를 회개를 하게되면 죄는 용서를 받더라도,
<벌>을 받아야 하는데, 특정한 지향을 가지고 기도, 자선, 순례, 헌금등을 하게되면,
^^ <그 벌을 탕감해 주는>,
<면벌부> 혹은 <대사>라는 것은 있습니다. 이의 원어는 <인둘젠시아>라고 합니다.

6) 여하튼 이렇게 무식한 일부 사제들의 행위가 독일 일부 지방에서 사람들을 혹세무민하자 신부(사제)이던 루터 등이 교회의 개혁을 위해서 나섰습니다.

독일에서는 루터, 프랑스에서는 칼빈(칼뱅), 영국의 녹스, 쯔빙글리 등등이 나타났습니다.
이들은 교회 개혁을 위해서 등장하였으나,
사사건건 교회의 지도부와 마찰을 하였고, 하여 <교황에게 반항하였다>하여 후일 프로테스탄트(반항자===>개신교)라고 불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개신교를 기독교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대단히 잘못된 것임을 이제는 아셨으리라고 생각합니다.^^

7) 여하튼,
루터에게서 루터교가 생겼으며,
캘빈, 녹스 등에게서 장로교가 생겼습니다.

영국의 왕 헨리 8세는 왕위를 계승할 아들이 없자, 교황에게 이혼을 요청하였으나 거절 당하였습니다.
이에 헨리8세는 로마가톨릭교회와 인연을 끊고, 영국안에서 수장령을 발표하여,
영국의 교회는 교황이 아닌, 영국의 왕이 최고의 지도자라고 하였습니다.
이에 반대하는 영국의 수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순교를 하였고,
우리가 아는 유명한 사람 즉 유토피아라는 책을 저술한 영국의 제상 <토마스 모어>도 이때 순교를 합니다.

영국은 엘리자베스 여왕때에 영국교회는 교황과 완전히 인연을 끊고 <성공회>로 됩니다.
오늘날 성공회는 가톨릭교회와 재일치를 위하여 <서로가 서로에게 지었던 잘못들을 용서하고, 공식적으로 교회일치위원회를 두고 노력>을 해 오고 있습니다.

영국 성공회 신부였던 J 스미스(1554-1612)가 침례교를 만들었으며,
영국 성공회 신부였던 웨슬리(1791년 사망)가 죽은 후 그 제자들이 미국에서 감리교를 설립하였습니다.

기타 개신교에 속하는 많은 종파(오순절 종파 등등)들은 1900년도 전후에 미국에서 거의 생겨났습니다.

8) 요약을 하면,

예수께서 베드로위에 세우신 가톨릭교회(천주교회)에서 우선 정교회가 분리되었으나 서로 정통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다시 로마가톨릭교회에서 루터교, 장로교, 성공회가 분리되었습니다.
(이들을 프로테스탄트 즉 교황에게 반항을 한 자들, 혹은 개신교라고 부릅니다.)

루터교나 장로교나 성공회는 가톨릭교회를 개혁하고자 한 교회들이기에,
근본적으로 로마가톨릭교회의 신앙유산을 모두 받아 고백합니다.

(성경, 신앙신조들 즉, 사도신경, 니체아 신경, 아타나시우스신경, 칼케톤 신경 등등 이러한 신조문들은 믿음의 진수를 드러내는 것입니다.)

참고로 루터교도 로마가톨릭교회와 일치를 위해서 교회일치위원회를 설치하고 서로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감리교는 성공회 고교파(성공회에서 가톨릭신앙전승에 충실한 그룹) 출신인 요한 웨슬리의 감화에서 탄생을 하였기에,
가톨릭과 우호적인 관계를 지닙니다.

침례교는 위의 개신교와 조금 다른 면이 있습니다.
가톨릭이나 개신교가 인정하는 <유아세례>를 부정한다거나. 침수례만을 주장한다거나 하는 것 등등.

참고로,
가톨릭, 정교회, 성공회가 성직제도로 주교, 사제, 부제를 두고 있으며,
루터교에서는 사제라는 개념은 좀 희박하지만 비슷한 교직제도를 두고 있습니다.

대략, 가톨릭교회와 정교회 그리고 대표적인 개신교 교단들의 설립과정을 보았습니다.

9) 개신교단들의 설립 혹은 창설과정은 위에서 보듯 처음에는 가톨릭교회의 개혁에서부터 시작(루터교, 장로교)하여,
신학적인 차이(특히 성화 과정을 설명하는 신학적 차이),
그리고 서로 사회를 바라다 보는 관점(사회 구원을 위한 투신 정도)에 따라,
혹은 다른 여러가지 이유등으로 인하여 분열을 거듭하여 왔습니다.

한국에서는,
장로교가 개신교안에서 세력이 큽니다만, 약 60여가지 장로교파로 분열이 되어 있으나 장로교 통합, 장로교합동이 전체 개신교안에서 가장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으며,
감리교는 두가지로 분열이 되어 있습니다.
한국 침례교는 미국에서 온 남침례교 계통이라고합니다만 기독교참례회와 성서 침례교가 개신교 진영에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기독교협의회 가맹교단(KNCC)과 한국루터회, 한국정교회 등의 10개 개신교단과 한국천주교회가 서로 그리스도교 일치를 위하여 공식적으로 신학위원회를 창립하고 서로의 이해와 일치를 위해서 노력을 하기로 합의하였답니다.

기독교계 중 개신교안에서는 급격하게 핵분열을 하고 있는 경향도 있지만 전체 기독교계로 본다면 또한 서로 일치를 위하여 헌신하는 교단들도 많습니다.
그리스도교는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일치를 이룩하기 위하여 오늘날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10 경포호수가에서 아직도 아랫배는... 피러한 2007-11-11 3239
1109 영성묵상훈련 분노의 발상과 치유 루디아황 2007-11-10 3213
1108 수도관상피정 침묵 루디아황 2007-11-09 3408
1107 수필칼럼사설 사탄아 물러가라 돌담길 2007-11-08 3401
1106 경포호수가에서 무엇을 챙길 것인가 피러한 2007-11-04 2848
1105 인기감동기타 [불교] 법구경 다람지 2007-11-03 2950
1104 한국교회허와실 한국의 '찬송가' 이의 있습니다. 나단 2007-11-02 3762
1103 수필칼럼사설 재운이 윤동재.권정생 2007-10-29 3197
1102 北山편지채희동 [북산편지633] 자유혼을 가지고 극진히 사랑하자! 최완택 2007-10-27 2897
1101 경포호수가에서 자극적인 맛 피러한 2007-10-21 3769
1100 정치건강취미 [건강] 구연산에 대하여 [2] 이부경 2007-10-20 11641
1099 성경적재정원리 사랑하는 아이들! 돈 걱정없이 살게 하려면... 신상래 2007-10-18 2984
1098 성경적재정원리 가난해야 좋은 신자인가? 신상래 2007-10-18 2887
1097 성경적재정원리 크리스쳔의 재정관리에 대한 마음자세 신상래 2007-10-18 3143
1096 경포호수가에서 뺏기면 안 되는 것 피러한 2007-10-14 3228
1095 목회독서교육 에니어그램 전도법 다람지 2007-10-11 3544
1094 목회독서교육 전병욱 목사님 추천도서 다람지 2007-10-11 5064
1093 北山편지채희동 [북산편지632] 인간관계를 새롭게 빚어라! 최완택 2007-10-09 2619
1092 北山편지채희동 [북산편지631] 이슬로 내리시는 하느님? 최완택 2007-10-09 2587
1091 수필칼럼사설 목사의 `공부방' [1] 無然 2007-10-08 3130
1090 경포호수가에서 떠나기 위해 준비하라 피러한 2007-10-07 3195
1089 성경적재정원리 그리스도인의 재정원칙 얼 피츠 2007-10-04 4029
1088 논문신학성경 [성경] 십계명이 아니라 열가지 말씀 file phjyohan 2007-10-03 5703
» 논문신학성경 가톨릭과 개신교의 공통점과 차이점 (가톨릭의 입장에서) wild306 2007-10-02 5457
1086 경포호수가에서 양심불량... 피러한 2007-09-30 2927
1085 목회독서교육 [이단] 구원파를 왜 이단이라 하는가 [4] 옥한흠 2007-09-28 5969
1084 논문신학성경 [성경] 성경 66권을 통해 만나는 하나님 [1] 잡다구니 2007-09-28 3721
1083 영성묵상훈련 [묵상] 조나단 에드워즈의 70가지 결심문 카이퍼 2007-09-27 4422
1082 주보회보신문 영혼을 살찌우는 80가지 잔소리 유머 [5] 최용우 2007-09-27 5994
1081 주보회보신문 이 열쇠가 아니네! [1] 고현석 2007-09-27 3386
1080 경포호수가에서 돌아가야 할 고향 [1] 피러한 2007-09-23 2643
1079 성경적재정원리 신앙인의 돈 생각하기 - 돈! 영적인 차원의 문제 김병삼 2007-09-23 3288
1078 논문신학성경 [신학] 성령훼방죄란 어떤 죄인가 박일민 2007-09-23 7067
1077 논문신학성경 [논문] 우찌무라 간조(內村鑑三)의 전도이해 이후천 2007-09-17 3716
1076 경포호수가에서 인생 폭락 40빵 [2] 피러한 2007-09-16 2961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