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메일책벌레 684호 미움받을 용기

무엇이든 마중물............... 조회 수 251 추천 수 0 2015.02.09 22:59:18
.........

 

샬롬!

오랜만에 글 드립니다.

입춘이 지났는데도 눈이 내라고 날씨는 아직도 겨울이네요.

지난 1월 독서모임에서는 아들러 심리학을 쉽게 풀어 쓴

미움 받을 용기』를 읽고 함께 나누었습니다.

우리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고정관념을 깨는 내용이

많은 이 책은  독자의 생각의 폭을 넓혀 줍니다.

이 책의 저자는 아들러 심리학은 누구나 무엇인가 배우고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공동채석장' 같은 것이라고 합니다.

아들러가 말하는 이상적인 삶이란 자기수용, 타자신뢰,

타자공헌으로 나아가 공동체 감각을 기르는 것이라고 하는데요,

숙한 인간상을 지향하고 있는 점에서 귀기울이게 되는군요.

책벌레님에게 일독을 권하고 싶습니다.

2월의 책은 <기쁨은 여기서 시작된다>(두란노)입니다.

기쁨은 여기서 시작된다

 

인간은 변화될 수 있다

미움 받을 용기를 읽고 나서 - / 윤필교

 

이 책의 키워드 : 자유의지, 선택, 용기, 자립, 자유, 공동체 감각

 

   생각을 자극하는 참 좋은 책을 읽었다. 변화에 대한 긍정적인

면을 일깨워 준 희망 메신저를 만난 느낌이랄까. 심리학자로서

대중들에게 인지도가 높았던 프로이트와 융에 비해 비교적 덜

알려진 아들러를 이 책에서 좀더 깊이 만나게 된 것은 큰 수확이다.

저자(기시미 & 고로)가 청년과 철학자의 대화식으로 이 책을 쉽게

풀어내어 아들러심리학에 대중들이 다가가기 쉽도록 징검다리를 놓아준 덕분이다.


인간은 변할 수 있다는 말이 가장 마음에 와닿았다. 변화와 성장에 관한

책을 좋아하는 내게 이 책은 제목부터 호기심을 끌었다. 그런데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이란 노래를 좋아하는 세상에

미움 받을 용기라니.


자유롭게 살기 위해 치러야 할 대가가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 독자들을 차분히 설득하고 있는 이 책은 당연하다고 생각하던

것을 뒤집는다. 상식과 고정관념에 딴지를 걸며 생각을 흔들어 놓는 책.

처음에는 이 책의 화자인 청년처럼 철학자의 새로운 사고방식과

접근에 의문을 제기하지만, 철학자의 설득력 있는 대화로 ? 그럴 수도

있겠네하며 한 걸음 물러서게 하는 힘이 있는 책이다

.

아들러는 프로이트와 같은 시대를 살며 초기에는 학문을 같이 연구했지만,

서로가 다른 방향임을 알고 아들러가 결별을 선언한다. 프로이트는 아들러를

제자라고 생각하지만, 아들러는 대등한 관계로서 라이벌로 여겼다고 한다.

동상이몽! 아들러는 자기 노선에 뚜렷한 신념을 가지고 다른 길을 걸었던 것이다.

 

트라우마는 없다?

인간의 성격이나 기질은 변하지 않는다. 그 기질과 성격을 생활양식이라고 한다.

삶에 대한 사고나 행동의 경향, 그 사람이 세계를 어떻게 바라보는가?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하는 의미부여 방식을 집약시킨 개념이 생활양식이라는

것이다. 좁게는 성격에서부터 넓게는 세계관, 인생관까지...” 이것을 싸잡아서

사람들은 성격이라고 규정하고 성격은 변하지 않는다고 핑계(?)를 대는 모습을

많이 보았기에 성격은 변하지 않는다는 말에 늘 회의를 가져왔다.

 

나는 비관적인 성격이야하면 성격은 변하지 않는다는 뉘앙스가 있지만,

나는 비관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있어하면 세계관은 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변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생활양식이

선천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선택한 것이라고 한다면 다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할테니까 말이다.


자네가 불행한 것은 과거의 환경 탓이 아니네. 그렇다고 능력이 부족해서도

아니고, 그저 용기가 부족한 것뿐이야.”(24) 아들러의 심리학을 용기의 심리학이라고

부르는 핵심적인 내용이다. 일반적인 카운슬러나 정신과 의사는 그저 당신이 괴로움에

시달리는 것은 과거에 원인이 있었다고 하며 당신에게 잘못이 없다고 한다.

트라우마는 원인론의 전형이다

책을 읽어가면서 아들러의 주장에 공감하는 것도 있는 반면 무리수를 둔다고

생각되는 것들도 있었다. 트라우마를 부정하는 것이 그렇다. 프로이트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정신분석론은 과거의 삶에 의해 현재가 결정된다는 인과관계를

주장한다. 원인론을 부정하고 목적론을 주장한다. 인간은 모두 어떤 목적을

따라 살고 있으며,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기에 과거가 어떠하더라도 현재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를 볼 때 원인론으로 접근하면 변할 수 있는

게 없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이 부분은 공감하지만 우리가 부정한다고

트라우마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지 않는가. 트라우마를 인정하되 극복하고

새로운 삶을 선택하고 사는 것이 개인의 과제라고 생각한다.

 

지금 & 여기를 산다는 것

경험에 의해 우리 인생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에 부여한 의미에

따라 자신을 결정하는 것이다. 인생이란 누군가가 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선택하는 걸세.”(37) 이 부분은 이야기치료에서 주장하고 있는

이론과 같다. 의미치료를 주장한 빅터프랭클도과거를 바꿀 수는 없지만,

과거에 대한 해석과 의미를 다르게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네가 변하지 않는 것은 스스로 변하지 않겠다고 결심했기 때문이네.

조금 불편하고 부자연스럽긴 해도 지금의 생활양식에 익숙해져서 이대로

변하지 않고 사는 것이 편하니까. 이대로의 나로 살아간다면 눈앞에 닥친

일을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그리고 그 결과 어떤 일이 일어날지 경험을

통해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은 이런 저런 불안이 있더라도 이대로의

로 사는 것이 편하고 안심되기에 변하는 것이 두렵다. 생활양식을 바꾸려고

한다면 큰 용기가 있어야 한다. 변함으로써 생기는 불안을 선택할 것인가?

변하지 않아서 따르는 불만을 선택할 것인가?”(63p)

 


우리의 자아는 욕망과 두려움 사이에서 결정된다고 한다. 아들러는 우리를

움직이는 두 축 가운데 하나인 불안 즉 두려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이 두려움을 넘어설 수 있는 개인의 임계점은 개인차가 있다. 즉 자아강도가

강한 사람은 두려움의 압박감을 견뎌내고 새로운 선택을 하겠지만, 수많은

시행착오와 방황 끝에 조금씩 변하는 이도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서 새롭게 깨달은 것은 열등감과 콤플렉스가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나는 학력이 낮아 성공할 수 없다.” A라서 B를 할 수 없다는

것은 열등감을 변명거리로 사용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열등감이란 말을 대체로

부정적인 의미로 쓰고 있다. 그러나 건전한 열등감이란 타인과 비교해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이상적인 나와 비교해서 생기는 것이라는 표현이 사고의

새로운 전환을 가져왔다.

 

또한 과제분리라는 것도 이 책에서 제시한 새로운 용어다. “인간관계의 입구에는

과제분리, 목적지에는 공동체 감각이 있다”(217)고 말한다. 과제분리는

이론적으로는 인간관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종결자 같다. 하지만 이에 따르는

갈등과 미움받을 용기는 개인이 해결해야 할 연구과제다. “과제를 분리하고,

서로 다름을 받아들이면서 대등한 수평적 관계를 맺을 것. 용기 부여는 그

과제가 선행되어야 가능하다”(233). “구체적으로 자신에 대한 집착을 타인에

대한 관심으로 돌리고 공동체 감각을 기르는 것. 이에 필요한 것이 자기수용과

타자신뢰, 타자공헌이다”(259)라고 주장한다.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주제들이다.


아들러의 사상은 한 사람의 일생을 바꾸는 힘이 있다(326).이 책의 저자 기시미

이치로가 말했듯이 아들러 사상은 누구나 거기서 뭔가를 발굴해 낼 수 있는

공동채석장”(327)이라 할 수 있기에. 이 책을 통해 아들러를 재발견하는

기회가 되었다. 그런데 그가 인생은 원래 의미가 없지만 의미를 부여한다

말을 보니 신앙인은 아닌 것 같다. 하지만 여러 가지 내용을 신앙에 적용할 수

있을 것 같다인생 최대의 거짓말은 지금 & 여기를 살지 않는 것이다

(313). 이것은 어쩌면 평생 마음에 새겨야 할 중요한 과제가 아닐까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0099 무엇이든 [조봉상 목사] 장례예배가 어떻게 우상숭배인가?:L.A 골든벨장로교회 박노아 2013-12-24 1527
10098 광고알림 제20기 (무료) 영혼육 전인치유 세미나(5월27-30일) kka11 2013-04-02 1527
10097 광고알림 요한계시록 사경회 안내 우석철 2008-09-25 1527
10096 무엇이든 가볍게/고도원. 외1 이정자 2007-03-12 1527
10095 광고알림 외국인 근로자 교회에서 그합니다 수베디 2006-08-11 1527
10094 광고알림 캄보디아어 5/7(토) 개강! 캄크로스 2011-04-28 1526
10093 무엇이든 아직도 엉터리 축복만을 팔고 있는 한국교회 puco 2007-08-17 1526
10092 광고알림 (7월8-10일 18차 성령치유집회, 예언,상담,치유,기름부으심) 주님사랑 2012-06-03 1525
10091 무엇이든 진정한 회개는 죄에 대한 슬픔이 아니라 마음의 변화이다 file 삶의 예배 2011-08-08 1525
10090 칼럼수필 신앙개혁-3 전규성 2007-07-24 1525
10089 무엇이든 삶의 12가지 재산 하사이사/청뢰 2008-10-03 1524
10088 무엇이든 ▷◁ *solomoon의 영상편지-함석헌 그사람을 가졌는가 솔로몬 2002-03-14 1524
10087 광고알림 한중일 청소년의 사회문제와 학교폭력 관련 국제 심포지엄 rlawlsghd 2012-04-18 1523
10086 광고알림 와~! 캠프비가 2박 3일에 38,000원이다.초대합니다. 행복한아이들 2009-06-25 1523
10085 칼럼수필 효부(孝婦) 와 호랑이 호호호헬비 2009-04-03 1523
10084 무엇이든 하나님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자들이 천국에 들어간다 file 말씀 2011-08-04 1522
10083 무엇이든 [70인이 전하는 WCC란?] "종교다원주의는 헛된 소문이다" 박노아 2012-09-12 1521
10082 광고알림 2011년 은보강좌에 한국교회 목회자들을 초대합니다 국제제자 2011-01-13 1521
10081 무엇이든 아버지 학교를 졸업 하던날 김정하 2007-06-29 1521
10080 무엇이든 기도문 맺는말 [1] jemhas 2012-12-13 1520
10079 광고알림 봉사자와 쌀이 급히 필요합니다! 찬미 2008-10-31 1520
10078 방명록 방명록입니다 황의봉 2005-08-25 1520
10077 무엇이든 ★충격적인 영화!!~ 멜 깁슨의 The Passion of the Christ 5094 2004-03-07 1520
10076 무엇이든 화나고 속상할때 마음이 상했을때 4861 2004-02-03 1520
10075 무엇이든 성경, 이렇게 읽지 말고 이렇게 읽읍시다. 황병철 목사 2002-11-13 1520
10074 광고알림 복음성과와 찬송가 곡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예배 PPT 씨씨엠 2013-02-25 1519
10073 칼럼수필 빨강 구두의 추억 [2] 김성숙 2011-04-27 1519
10072 광고알림 사사평생교육원 행사안내 사사청소년문화원 2009-04-30 1519
10071 무엇이든 신앙개혁-31(이 시대에 부끄러운 목사!) agape 2008-11-03 1519
10070 무엇이든 주보신청합니다. [2] 견민옥 2006-10-21 1518
10069 무엇이든 목회자를 찻습니다. 기도하여 주십시요. 이희정 2006-05-19 1518
10068 광고알림 [KCM 선교훈련] 26기 IT선교훈련생 모집 kcm 2011-02-26 1517
10067 광고알림 치유가 필요하신 분 보세요. file 주님사랑 2011-02-04 1517
10066 광고알림 5월 가정의 달을 위한 획기적인 관계 중심의 캠페인!! md 2009-03-25 1517
10065 뉴스언론 왜, 팥쥐정부의 놀부 감세인가? 전병헌 2008-11-23 1517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