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명설교 모음

택스트 설교

설교자'가 확실한 설교만 올릴 수 있습니다.

3의 길

요한복음 김부겸 목사............... 조회 수 324 추천 수 0 2015.04.12 23:45:50
.........
성경본문 : 요14:16 
설교자 : 김부겸 목사 
참고 : http://blog.naver.com/malsoom/89058239 

2009년 9월 20일 주일설교

성경말씀 : 요한복음 14장 16절, 26절

설교제목 : 3의 길

 

【“내가 아버지께 구하겠다. 그러면 아버지께서 다른 보혜사를 너희에게 보내셔서, 영원히 너희와 함께 있게 하실 것이다. … 그러나 보혜사,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께서,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쳐 주시고, 또 내가 너희에게 말한 모든 것을 생각나게 하실 것이다.”(요한 14:16, 26).】

 

  <설교 이야기>

  제가 매주 하는 설교를 요약해서 주보에 싣고 있는데, 그 설교말씀을 ‘설교’라고 지칭하지 않고, 굳이 ‘나누고 싶은 신앙 이야기’라고 이름 짓는 데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었습니다. 수도교회를 시작하기 전, 그러니까 보통의 평범한 교회에서 목회할 때, 제가 고통스러웠던 점은 설교를 머리속에서 짜내야 한다는 사실이었습니다. 매주 일요일을 앞두고, 또 매주 수요일을 앞두고 머리 속에서 설교를 짜내야 한다는 점이 고통스러웠습니다.

 

 그냥 머리 속에서 혹은 마음 속에서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신앙적인 생각들을 교인들과 자연스럽게 나누는 차원이 아니라, 있지도 않은 생각들을 어거지로 짜내는 설교여서 힘들었습니다. 성경말씀을 펼쳐 놓은 후 주석책을 찾아가면서 혹은 다른 사람들을 설교들을 참고해 가면서, 어거지로 짜내는 설교에 지쳐있었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목회를 제대로 시작하면 억지로 짜내는 설교만큼은 하지 말자”는 것이었습니다. 그냥 신앙적인 생각들을 일주일 내내 제 마음과 생각 속에서 숙성시키고, 그렇게 숙성된 신앙적 이야기들을 교인들과 함께 나누는 설교를 하려고 마음 먹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설교’라는 이름 보다는 ‘나누고 싶은 신앙 이야기’라는 이름을 짓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런 맥락에서 오늘 설교말씀을 들어주셨으면 합니다. 오늘 설교는 특히 그런 맥락의 설교입니다. 제 머리 속에서 떠오른 신앙적 생각을 말씀 드리는 설교입니다.

 

  <책 이야기>

  제가 요즘 『다시 읽는 단군신화』(설중환 지음, 정신세계사)라는 책을 읽고 있는데, 그 책내용 중에서 귀가 번쩍 뜨일만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그 책 내용은 이런 것이었습니다. “숫자의 의미에 대해서는 일본인 다나가 히사시가 『역과 점의 과학』에서 잘 밝혀 놓고 있다. 그에 따르면, 3은 예로부터 세계적으로 가장 성스러운 숫자로 여겨져 왔다고 한다. 원래 1은 절대불변이며 만물의 근원이라는 뜻으로 받아들여 졌고, 2는 1에 대립되는 세계라고 생각되었다. 즉 1과 2는 서로 대칭적이며 상반되는 형태로서 명암(明暗) 선악(善惡) 표리(表裏) 남녀(男女) 강유(剛柔) 길흉(吉凶) 음양(陰陽) 등을 이룬다고 생각해왔다. 이에 비해 3은 1과 2를 통일시킨 새로운 완성의 의미를 가진다. 즉 고정된 세계가 아니라 움직임 속에서 새로 생겨난 세계이다. 두 세계의 대립을 초월할 수 있는 완전한 조화가 성스러운 수 3을 낳은 것이다.”

 

저는 그 책을 읽으면서 “이 글은 삼위일체(三位一體) 교리의 신비를 풀어낼 수 있는 훌륭한 통찰”이라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사실 우리 기독교에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를 말하는 교리가 있지만, 이에 대한 설명은 너무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저도 과거에 신학대학에서 조직신학에 대해서 배울 때,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공부를 해봤습니다만, 전혀 공감할 수 없는 내용이었습니다. 서양의 신학자들이 말하는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설명은 도대체 무슨 소리인지 알 수 없는 내용들로 가득차 있습니다. 공감이 전혀 안 됩니다. 그래서 사실상 삼위일체 교리는 조직신학의 세계에서 또 일상적 신앙의 삶 차원에서 죽은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저는 다나가 히사시의 통찰을 읽으면서 ‘삼위일체 교리’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았습니다. 오늘 그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성부, 성자, 성령>

  여기 전능하신 하나님이 계십니다. 거룩하시고 강하시고 선하시고 평화로우신 ‘완전의 존재’이신 하나님입니다. 1의 존재이십니다. 그런데 그 1의 존재는 우리 평범한 인간에게서 너무 멀리 떨어져 계십니다. 공간적으로도 멀리 계시고, 심리적 차원에서도 그 거리는 너무 멉니다. 평범한 인간은 그 거룩한 완전의 세계에 도달할 길이 없습니다. 이를 어찌해야할까요?

 

그러나 괜찮습니다. 우리에게는 2의 존재가 있기 때문입니다. 즉 예수님입니다. 예수님이란 어떤 존재일까요?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온 하나님입니다. 또 땅에서 하늘로 올라갈 수 있는 길을 마련해 놓으신 존재입니다. 1과 상반되지만, 1을 보완하는 존재가 2, 즉 예수님입니다. 그러면 다 끝난 것일까요? 아닙니다. 1과 2만 갖고는 부족합니다. 1인 하나님, 그리고 1을 보완하는 2의 세계가 우리 평범한 인간에게 다가와야 하는 ‘행동’의 차원이 있어야 합니다. 우리 일상적 삶 속에서 역사하는 진리의 힘이 있어야 합니다. 그건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 이를 어찌해야할까요?

 

 또 괜찮습니다. 왜냐하면 우리에게는 1과 2를 또 다시 보완하는 존재 3이 있기 때문입니다. 3은 무엇일까요? 성령입니다. 3의 성령은 1의 하나님, 그리고 1을 보완하는 2의 예수님의 세계를 우리에게 친절하게 안내해 주는 보혜사(保惠師, 위로자, Comforter)의 존재, 즉 성령님이 있습니다. 이로서 1의 하나님에게서 시작된 진리의 세계는 2의 예수님을 거쳐서 3의 성령님에 이르러서 비로소 완성됩니다. 그게 삼위일체 교리입니다. 얼마나 훌륭한 통찰입니까!

 

  <일상적 삶의 삼위일체>

  그런데 삼위일체 교리가 사상적 차원에서 머릿속에서만 통용되는 교리가 아니라는 데, 더 중요한 가치와 의미가 있습니다. 삼위일체 교리는 일상적 삶 속에서 통용될 수 있는, 아니 반드시 통용되어야 하는 인생의 아름다운 진리입니다.

 

 여기 1의 세계가 있습니다. 그것은 개인이 갖고 있는 강력한 신념일 수도 있고,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관일 수도 있고, 나름의 철학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1의 세계가 계속해서 1의 세계만으로 지속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합니다. 그건 마치 브레이크 없는 기차가 전속력으로 레일을 달려나가는 차원과 같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내용입니다. 어느 청년이 젊은 날에 결심하기를 “나는 열심히 일을 해서 돈을 많이 벌을 꺼야”라고 했다고 칩시다. 그러나 그 젊은이가 죽는 날까지 열심히 일만하면서 살았다면, 그는 인생의 풍요로움과 아름다움을 잃어버린 ‘경제적 동물’에 불과할 뿐입니다. “열심히 일해서 돈을 많이 벌어들이는” 1의 세계는 “가끔 쉬면서 마음과 생각을 풍요롭게 하는” 2의 세계, 즉 안식의 세계로서 보완되어야 합니다. 즉 2의 세계로서 보완된 1의 세계가 되어야만 제대로 된 1의 세계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여기서 말씀드릴 수 있는 제대로 된 1의 세계가 곧 3의 세계인 것입니다. 일주일에 하루 만큼은 안식하면서 열심히 일을 하는 3의 세계, 그것이 우리가 가야할 인생의 아름다운 길인 것입니다.

  삼위일체 교리의 일상적 적용이라고 할까요? 뭐 그렇습니다.

 

  <설교를 마치면서>

  이제 설교말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오늘 설교말씀의 제목을 ‘3의 길’이라고 잡아보았습니다. 오늘 이 시간 ‘3의 길’이라는 설교말씀의 제목을 깊이 묵상하시는 저와 여러분 되시길 바랍니다. 기도하겠습니다.

 

  * 축도

이제는 진리의 길을 몸소 보여주신 예수님의 놀라운 은혜와, 우리의 생명과 영혼을 언제나 치유해 주시는 하나님의 크신 은총과, 지금도 살아계셔서 우리를 인도해 주시는 성령님의 아름다운 동행이 사랑하는 수도교회 교우들 머리 위에 언제나 충만하시기를 간절히 축원하옵나이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경본문 설교자 날짜 조회 수
7353 요한복음 예수님과의 만남 요4:2-26  한태완 목사  2012-09-22 3969
7352 잠언 너희 자녀를 회심에 이르게 하라 잠20:11  김남준 목사  2012-09-22 2143
7351 시편 창조와 하나님의 영광 시108:4-5  김남준 목사  2012-09-22 2481
7350 요한복음 참된 예배의 태도 요4:23下  김남준 목사  2012-09-22 2669
7349 시편 말씀으로 구원하시는 하나님 시119:174  김남준 목사  2012-09-22 2325
7348 창세기 창조와 하나님의 아름다움 창1:31  김남준 목사  2012-09-22 1933
7347 시편 주린 영혼의 축복 시107:9  김남준 목사  2012-09-22 2880
7346 창세기 네 형제와 화목하라 창33:3-4  김남준 목사  2012-09-22 2586
7345 마가복음 이혼한 그대에게 막10:6-9  김남준 목사  2012-09-22 2230
7344 마가복음 이혼을 생각하십니까? 막10:6-9  김남준 목사  2012-09-22 2030
7343 누가복음 그리스도께 돌아오라 눅15:3-7  김남준 목사  2012-09-22 2219
7342 마태복음 함부로 비판하지 말라 [1] 마7:1-5  한태완 목사  2012-09-20 2613
7341 시편 해결받는 비결 시31:1-13  최장환 목사  2012-09-19 5088
7340 잠언 새 것을 받아드리자 잠14:1-19  최장환 목사  2012-09-19 4909
7339 마태복음 하나님 제발 힘 좀 내세요! 마6:9  박신 목사  2012-09-18 2506
7338 마태복음 세상에서 최고로 시원한 사이다 마6:9  박신 목사  2012-09-18 2133
7337 마태복음 어중이 떠중이 같은 신자 마6:9  박신 목사  2012-09-18 2157
7336 마태복음 데이트 중에 가버린 여자 마6:9  박신 목사  2012-09-18 2319
7335 마태복음 돼지도 웃는 돼지의 자살 사건 마6:9  박신 목사  2012-09-18 3089
7334 마태복음 스파게티도 못 먹는 신자 마6:9-13  박신 목사  2012-09-18 2086
7333 마태복음 당신은 지금 어떤 복을 누리고 있는가? 마5:1-12  박신 목사  2012-09-18 2329
7332 마태복음 닭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마5:10-12  박신 목사  2012-09-18 2914
7331 요한계시 천상교회 계4:3-11  강종수 목사  2012-09-16 3241
7330 창세기 말씀과 하나님 나라 창1:1-5  김동호 목사  2012-09-15 2382
7329 고린도후 새롭게 하시는 하나님 고후5:17  김동호 목사  2012-09-15 2855
7328 빌립보서 성탄과 예수님의 마음 빌2:5-11  김동호 목사  2012-09-15 2905
7327 누가복음 이젠 더 이상 우리 예수님 구유에 없다 눅2:1-7  김동호 목사  2012-09-15 2595
7326 시편 감사로 드리는 제사 시50:23  김동호 목사  2012-09-15 2798
7325 시편 내게 주신 모든 은혜 감사 시116:12-14  김동호 목사  2012-09-15 2739
7324 마태복음 반석위에 세운 교회 마16:13-20  김동호 목사  2012-09-15 2586
7323 고린도전 성령으로 보고 말하는 사람 고전2:6-16  김동호 목사  2012-09-15 4828
7322 출애굽기 진정한 영웅 출21:1-11  이한규 목사  2012-09-14 2123
7321 출애굽기 사귈 사람과 사귀지 말 사람 출20:12  이한규 목사  2012-09-14 2521
7320 출애굽기 6계명부터 10계명까지 출20:13-17  이한규 목사  2012-09-14 1793
7319 마태복음 도무지 맹세하지 마십시오 마5:33-37  이한규 목사  2012-09-14 2005

설교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