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김교신9] 우리의 가정에 천국을 투사(投射)시키라

수필칼럼사설 백소영 교수............... 조회 수 333 추천 수 0 2015.05.15 20:10:32
.........
출처 : http://fzari.com/170 

꽃자리로고_mini.jpg

백소영의 다시 김교신을 생각한다(9) 

우리의 가정에 천국을 투사(投射)시키라

- <가정생활> 19396 -

 

김교신은 아내를 아끼기로 유명했다. 부부금슬도 좋았을 뿐더러 안팎으로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늘 들고 나는 사이 소위 남정네의 손이 필요한 곳이 없나 살뜰히 살피고 미리 손길을 뻗었던 근면 성실한 가장이었다. 교사의 빠듯한 수입으로 <성서조선>지 출간과 우송비를 감당하고 학생들의 어려운 사정 또한 외면하지 못하는 성정이었으니, 필시 넉넉한 생활비를 제공하지는 못했을 터이다. 그러나 자녀들의 회고를 들어보아도 김교신은 당시로는 드물게 집안을 챙기는 사랑 많은 가장이었던 것 같다.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홀어머니 밑에서 컸던 김교신이었다. 그러니 좋은 아버지, 좋은 남편의 모습을 가까이서 보고 배운 까닭에 자연스레 터득한 모습은 아닐 것이다. 많이 노력했을 것이다. 하여, 공적으로 드러나는 교사의 모습만큼이나 일상을 나누는 가정에서도 선한 가장이 되기 위해 기도하고 또 기도했을 것이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라고 하니, 평천하보다 치국보다 제가가 더 어려운 일인 듯하다. 단상에서 고명한 교사 노릇 하기는 차라리 쉬우나 가정에서 선한 주인 되기는 실로 어려운 일이다. 그러므로 독실한 신도중에도 가정 살림을 해체하여 버리고 홀로 산중에 은거하기를 원하는 이들이 적지 않음은 가정에서 성도(聖徒)의 생활하기가 얼마나 짐이 무거운 것임을 말함이다.


다른 사람들의 마음인 듯 서술하고 있지만 앞뒤 문맥을 보면 김교신 자신도 종종 홀로 자유롭게 살고픈 마음이 일었던 것 같다. 그가 완전히 종일을 서적과 함께 호흡하며 사는 날을 희망했던 것을 보면, 교사로서, 성서조선 모임 인도자로서, 가장으로서 책무를 다하느라 개인으로서 하고픈 일들을 많이 접으며 참으며 살았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김교신의 가장 큰 매력은 그가 신앙 안에서 가족들의 관계성을 끊임없이 고민했다는 점이다. 페미니즘은 알 턱이 없었고, 오히려 유교적 사상이 체화된 김교신이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김교신은 당시 유교 사회는 물론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도 지배적이었던 가부장제의 껍질을 어느 정도는벗어버리고 있다. <성서조선> 모임에 나오는 한 독실한 여신도가 결혼 10년차 다섯 자녀를 기르며 가정에만 갇혀 지내다보니 가정 밖에 며칠이라도 나가 보고 싶다” “항상 속에 차지 못한 것이 있다고 외치는 고백을 들으며, 그리고 다 자란 딸이 출가하여 시집살이의 고됨을 가까이서 보면서, 김교신은 자신이 당연이라고 생각했던 남편과 아내의 관계성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힐티(Hilty) 선생의 가정훈에 주인은 밖에 대하여 사자 같고 안에 대하여 양과 같으라했건마는 우리는 처자를 대할 때만 사자 같지 않은가. 부부 된 이상 재산의 처분권에 있어서도 동권이라야 한다 했건마는 우리는 주부의 영적 수양의 여비에까지도 핑계를 대지 않았던가. 권리 없어 보이는 자의 권리를 존중하며 약한 자의 항의에 몸서리쳐 순종하기까지 우리 신앙의 도정은 아직 전도요원하다 할 수밖에 없다. 가장 약한 자의 정당한 의지가 장해 없이 이루어지는 곳이 천국일까 한다. 우리의 가정에 천국을 투사(投射)시키라.


실로 많은 기독교 남성 지도자들이 자신들의 사회적, 영적 성장을 위해서는 시간과 금전을 아끼지 않으면서도, 아내는 자신의 성장을 온전케 하는 보조자로 여겨온 것이 사실이다. 심지어 그것이 아내의 창조 목적이라고까지 신앙적 정당화를 일삼아 온 교계 지도자들이 아직도 많다.

 

76.jpg

 

오늘날까지도 개신교의 가장 지배적인 남편-아내 모델은 사도 바울이 말했던 그리스도와 교회의 은유이다. 남편도 아내도 같은 인간이므로 존재론적으로는 평등하되, 가정 안에서 그 기능은 위계적이라는 논리다. 하여 아내는 남편의 권위에 순종하고 남편을 그리스도처럼 주()로 받들고 따르라는 거다. 물론 이렇게 순종적인 아내의 덕목은 교회를 위하여 죽기까지 사랑하신 그리스도의 성품을 닮은 남편의 덕목과 짝을 이룬다. 그러니 너무 억울해하지 말라 한다.


물론 사도바울 당시로서는 혁명적인 모델이었다. 사도바울의 시절은 강한 가부장제도가 작동하던 한중간이었다. 한 가정의 가장은 아내와 아이들을 향해 생살여탈권까지 가지던 절대 ()’였다. 그러나 교회의 가 되시는 그리스도는 오히려 공동체 구성원들을 위하여 자신이 죽기를 서슴지 않는 사랑의 주가 되신다. 이를 고백했던 바울이기에, 그리스도를 닮아 각 가정의 가장들 또한 가정에서 절대자로 군림하는 가장의 모습을 버리고 죽기까지 사랑하는 그리스도를 닮으라 권고했을 일이다.


그러나 이는 바울의 문화적 한계다. 오히려 그의 교회론에 입각하여 풀어야 남편-아내 관계에 대한 하나님의 계시가 온전히 전달된다. 기독 신앙을 가진 이들은 모두 한 가정의 구성원이기 때문이다. ‘부모가 되신 하나님과, 인간의 갈 길과 살 길을 먼저 보이신 맏아들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자녀로서 서로 평등하게 살아가는 형제자매들로 이루어진 우주적 공동체가 하나님의 가문(오이코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인은 밖에 대하여 사자 같고 안에 대하여 양 같으라는 교훈은 반만 옳다. 남편도 아내도 온전히 양이다. 목자는, 주인은 따로 있다. 한 가정의 는 그리스도이시기 때문이다. 기독 신앙을 가진 남편과 아내, 최소한 그 둘이 모여 이룬 공동체는 이미 교회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에클레시아의 기원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모인 두 세 사람! 사도 바울의 혁명적 교회론을 아는 사람이라면 결코 그리스도와 몸의 은유를 동등한 인간인 남편과 아내에게 적용할 수 없다.


그래서였을까? 기독 신앙의 핵심과 기독 공동체의 원리를 바르게 이해하고 있었던 김교신은 당시로서는 상당히 혁명적인 부부(夫婦)론을 펼쳤다. 유교적 덕목을 체화해 살았던 김교신이었음에도 말이다. 기독교의 해방적 혁명성이 인성과 덕성을 존중하는 유교적 텍스트를 만나 아내의 주체됨을 선언하게 된 것이 아닐까 싶다.


추측컨대 10년을 하루같이 부엌간만 지키는 주부에게 나가 보고 싶은 생각이 어찌 없으랴. 기소불욕물시어인[논어》 「위령공편자기가 하고자 아니한 바를 남에게 강요하지 말라]이라는 구가 내 가슴에 소생하였으므로 남의 가정은 할 수 없으나 먼저 우리 집 40넘은 주부에게 가고 싶은 때에 가고 싶은 데로 가라는 것을 선언한다. 친정으로도 좋고 사경회로도 가하고.


아니, 뭐 굳이 남편이 이런 선언을 하지 않아도 나는 가고 싶은 때에 가고 싶은 데로 잘만 다닌다, 그렇게 생각할 오늘의 여신도들이 많을 줄 안다. 회사에 갇혀 사는 우리보다 훨씬 자유롭고 잘만 다니더구만, 그렇게 억울해할 오늘의 남신도들도 많을 줄 안다. 그러나 김교신의 이 선언이 70여년도 훨씬 전의 문화적 상황에서 선포되었음을 고려한다면, 우리가 배워야할 것은 문자적 적용이 아니라 한 가정 안에서 작동하는 근본 원칙이어야 한다. 소위 황금률이라고도 부르는 이 원칙은 예수께서도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마태복음 7:12)는 말씀으로 강조하신 바 있다. 천국, 하나님 나라! 만일 우리 가정이 하나님 나라의 구체적 투사(投射)라고 고백될 수 있다면, 그것은 낭만적 사랑의 스윗~ 스윗~ 홈의 감정 때문이 아니다. 가장 작은 단위의 교회인 가정 안에서도 교회의 작동 원리가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교회의 머리가 그리스도이시듯, 가정의 머리는 그리스도이시다. 그리고 남편과 아내는 머리되신 그리스도를 따르는 순종적이고 평등한양들이 되어 서로가 함께 서로를 세우며 사랑으로 살아가는 평등 공동체다.


설 연휴다. 모처럼 가족 공동체가 모여 있을 터인데, 스스로 가장이라고 여기는 신자가 있다면 얼른 주변을 둘러보라. 지금 아내의 정당한 의지가 장애 없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지금 당신의 가정이 하나님 나라의 투사인지교회인지.


백소영/이화여자대학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83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또 하나의 복지, 물>을 읽고 file 김학현 목사 2016-06-09 373
582 순전한신앙이야기 진정한 교회 개혁은 복음이 한다 황부일 2015-10-24 372
581 인기감동기타 교회에 잠입한 신천지 구별하기 file 장상태 목사 2017-02-10 368
580 순전한신앙이야기 예수님을 가리는 산타할베 황부일목사 2015-12-16 366
579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정의로운 재판 이야기 <판결> file 김학현 목사 2016-04-30 364
578 논문신학성경 성경을 읽고 말하기 file [1] 김익수 목사 2015-10-28 361
577 한국교회허와실 교회가 사그라질 때 나타나는 징후 11가지 [2] 정미진 기자 2015-10-23 361
576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초등학교 선생님이 들려주는 <역사 속 인권 이야기> file 김학현 목사 2015-10-10 360
575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무라야마 아야의 <당신이 배고픈 건 착각이다> file 김학현 목사 2015-09-12 360
574 수필칼럼사설 [김교신1] 응답하라. 2015년 이 땅에서 오늘을 사는 신앙인들이여! file [1] 백소영 교수 2015-02-28 359
573 논문신학성경 국악찬양, 어떻게 볼 것인가? 이재용 2016-12-09 354
572 영성묵상훈련 청교도 영성가들의 계보와 그 저서들 백금산 목사 2015-08-07 354
571 치유영적전쟁 하느님 20명, 재림예수 50명 file 이세영 2019-05-11 352
570 더깊은신앙으로 이현주의 최후의 심판(1) 하나님 맙소사! file [1] 이현주 2016-04-20 350
569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갈림길에 선 당신이 꼭 읽어야 할 <천국에서 보낸 5년> file 김학현 목사 2015-10-03 350
568 수필칼럼사설 가톨릭 교회의 ‘우스꽝스러운’ 팬데믹 대처? file 신동수 목사 2021-01-07 348
567 경포호수가에서 후회하는 인생... file 피러한 2017-07-15 347
566 인기감동기타 [이해인 수녀의 詩편지4]아침의 향기 file 이해인 수녀 2019-05-13 346
565 수필칼럼사설 조상이 같은 세 종교가 원수 된 이유 file 최재석 2015-08-15 345
564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교황의 자비의 경제학 <이놈의 경제가 사람 잡네> file 김학현 목사 2016-04-26 343
563 순전한신앙이야기 하나님을 거부하는 인본주의와 하나님을 이용하는 인본주의 황부일 2017-11-26 340
562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데이브 톰린슨의 <불량 크리스천> 통해 본 참 크리스천 file 김학현 목사 2015-10-25 340
561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시모주 아키코의 <가족이라는 병> 비판적 읽기 file 김학현 목사 2015-10-14 338
560 순전한신앙이야기 영적예배는 이런것이다! 황부일 2020-12-26 337
559 순전한신앙이야기 좁은 땅 좁은 마음들 황부일목사 2016-11-27 336
558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참살이 가르치는 <밥상에서 세상으로> file 김학현 목사 2015-11-16 336
557 한국교회허와실 한국 교회의 설교의 문제점 선한꺼벙이 2021-01-02 335
556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뺄셈의 리더십>을 읽으며 대통령의 리더십을 생각하다 file 김학현 목사 2016-03-11 335
555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최성락의 <말하지 않는 한국사> file 김학현 목사 2016-04-08 333
» 수필칼럼사설 [김교신9] 우리의 가정에 천국을 투사(投射)시키라 file 백소영 교수 2015-05-15 333
553 수필칼럼사설 죽은 예수의 국물만 마실 셈인가 최용우 2015-02-17 333
552 순전한신앙이야기 칼빈의 5대교리와 복음의 일치 4-불가항력적 은혜와 복음의 일치 황부일 2017-07-06 331
551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참 교회 제시하는 <대한민국교회 리스타트> file 김학현 목사 2015-10-14 328
550 목회독서교육 한국인 개신교회는 ‘유교적 개신교회’ file 뉴스엔넷 2015-06-06 328
549 순전한신앙이야기 《하나님의 구원이 취소될 수 있는가?》 황부일 2018-02-22 327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