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기독교 피정의 집- 영적 피정

알려드립니다 최용우............... 조회 수 4434 추천 수 0 2002.12.06 15:26:18
.........
영적 피정이라는 말은 우리에게 그리 익숙한 말은 아닙니다. 이 말은 중세 수도사들이 쓰던 말인데 근래에 가톨릭에서 묵상을 하기 위해서 분주한 삶에서 떠나 고요한 장소에서 방해 받지 않고 묵상을 할 수 있도록 만든 장소를 피정의 집으로 부르면서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지만 개신교에서는 아직은 낯선 단어입니다.

개신교에서는 묵상만을 위한 장소가 아직은 별로 없는 실정입니다. 기도원 하면 우선 부르짖는 기도를 생각하게 되고 묵상은 보편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편입니다. 태백에 있는 예수원 정도가 일반에게 알려져 있습니다.

영적 피정이란 영적인 각성과 성찰을 위해 분주한 삶의 자리를 떠나 홀로 고요함 속에서 주님과 친밀한 교제를 나누는 것을 말합니다. 인위적인 피정을 위해서 일부러 시간을 내어 고요 속으로 들어가는 것은 매우 귀한 일입니다. 그러나 주님이 사역자에게 강제로 피정으로 이끄는 경우가 있습니다.

엘리야는 그릿 시내에서 3년간이나 피정해야 했습니다. 고독한 가운데 주님만을 바라보는 훈련은 이제 사역자에게 어떤 유익을 주는 것일까요. 그리고 일반적인 성도들에게도 영적 피정은 무슨 의미를 가지는지를 생각해 봅시다.

영적 피정으로 부르심을 받게 되는 까닭은 하나님의 특별한 섭리를 위해서입니다. 영적 은둔이라고도 불려지는 이 피정은 주님이 그 사람에게 특별한 지시를 위해서 따로 세우는 과정입니다. 이 은둔을 통해서 우리는 영적으로 다시 정결해지고 모든 마음과 생각을 오로지 하나님에게 집중하게 되는 것입니다.

일반인들에게는 이런 은둔은 거듭나는 시기에 부분적으로 경험하는 것입니다. 특히 늦게 구원에 이른 사람들에게 있어서 거듭나게 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세속적인 것에서 떠나게 하시는 경우가 있으며 새로운 은사를 주시려고 하실 경우 일시적인 피정으로 인도됩니다.

영의 불순한 것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그릇으로 재생되게 하기 위해서 단기적으로 은둔으로 부르시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그 사람은 하던 일을 잠시 중지하게 되는 것이지요. 문제가 어려워진다든가 해서 기도원으로 올라가지 않으면 안되게 되는 답답함을 겪게 됩니다. 이런 문제를 통해서 강제적으로 은둔을 경험하게 되고 그 기간에 새로운 은혜를 경험하게 되며 영적 성숙이 한 단계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강제적인 피정으로 말미암아 영적 성숙을 이루는 것이 일반인들의 속성입니다. 세속적 삶에 얽매이다 보면 생각처럼 그렇게 쉽게 시간을 내어 주님과 친밀한 교제를 나눈다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영적 성숙은 원하지만 삶이 받쳐 주지 못하는 안타까움이 있지요. 그러나 영적 성숙은 반드시 이루어야 하는 것이고, 성장에는 시기가 있기 때문에 주님은 강제로 피정하게 하는 것입니다. 현명한 성도들은 주님이 강제로 이끌기 전에 어떻게 해서든지 시간을 내어 영적 성장을 이루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강제로 이끌린다는 것은 곧 문제를 만난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사역자에게 영적 피정은 필수 요소입니다. 이는 선택할 사항이 아니지요. 주님과 주기적인 교제를 위해서 시간을 내어 조용한 곳에서 주님을 깊이 묵상하는 것은 의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님은 사역자를 강제로 은둔으로 불러내십니다.

이 영적 피정을 겪는 까닭은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중대한 의무와 사명과 연관되어 있는 것입니다. 새로운 일을 주시기 위해서 사역자를 은둔으로 불러내시는 것입니다.

이 은둔은 성공한 사역자에게는 매우 힘든 과제가 될 수 있습니다. 잘 나가던 일을 그만 두고 은둔하게 하실 때 이를 선뜻 따를 용기를 낼 수 있는 사역자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잘 나가는 사역을 접고 은둔으로 들어간다는 것은 대단한 모험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님이 부르실 때는 그만한 이유와 까닭이 있기 때문입니다.

성공한 사역자가 아니라 해도 주님은 새로운 사역으로 지경을 넓히고자 할 때 은둔으로 부르십니다. 그 부르심의 방법은 사람마다 각각 다르겠지만 우선 일을 한가하게 하십니다. 일이 제대로 풀려지지 않고 꼬이게 된다든지 어려움을 만나게 되지요.

평상시 순종하는 사람에게는 마음 속에 일을 놓고 주님과 깊은 교제를 나누어야 하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듭니다. 주의 음성을 잘 듣는 사람인 경우 주님은 직접 은둔하도록 하실 것입니다.

영적 피정은 일을 손에서 떼고 완전히 은둔하는 완전 피정이 있고, 일을 계속하면서 주님과 깊은 피정으로 들어가는 부분 피정이 있습니다. 사역의 중대한 변화나 새로운 능력으로 채워지기를 원하는 경우 완전 피정으로 부르시며, 사역의 지경을 넓히거나 부분적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정도라면 부분 피정으로 부르십니다.

은둔의 자리로 나가게 되면 새로운 일을 위한 몸가짐에 필요한 것들을 경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은둔이란 고통스런 일입니다. 바울은 다메섹에서 주의 환상을 경험한 후 14년의 긴 은둔으로 이끌려 광야의 학습을 거쳤고, 그 이후 전도 사역에서 수시로 은둔의 자리에 불려나갔습니다. 에베소에서 여러 해를 머물렀고 두란노 서원에서 역시 은둔을 해야만 했습니다.

로마 감옥에서 여러 해 동안 은둔하면서 죽음을 준비하여야 했습니다.

이런 은둔을 통해서 자신의 선교사역을 돌아보게 되었고 주님을 깊이 생각하면서 편지를 써 보내게 되었으며 이런 일이 후에 성경을 우리에게 전하는 중대한 일로 쓰임을 받는 시간이었음을 당시 바울은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우리가 은둔으로 부르심을 입게 되면 당시는 그 까닭을 모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훗날에 그 의미를 알게 되는 데 이처럼 주님의 일은 오묘하며 신비한 것입니다.

주께서 사역자를 일정한 기간동안 은둔으로 부르심은 그 분의 주권적인 일입니다. 우리는 부르심에 충실하게 응답해야 하는데 이것이 그렇게 쉽지 않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활동하고 싶어하는 본능적 욕구가 있습니다. 움직이지 않는 것은 실패를 의미하며 낭비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무언가 해야 한다는 생각이 항상 앞섭니다. 이런 생각은 때로는 주님을 앞서서 행동하게 만듭니다. 우리가 우리의 생각으로 주의 일을 한다면 이는 엄격히 주의 일이 아니라 주의 이름을 빌려 하는 우리의 일이 되는 것입니다. 주님은 지금 하고 있는 일이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주께 어떻게 드려지는 것인지를 되돌아보기를 원하십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자주 한적한 곳에 나아가 깊은 기도를 했던 주님의 피정하는 태도를 본받을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주님이 이끄시는 영적 피정은 자신을 돌아보고 자신에게 향하신 주의 부르심이 어떠한 것인지를 깨닫게 하시는 은혜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우리의 사역이 주님의 뜻으로 복귀하게 되며 주의 새로운 비전과 능력을 덧입는 기회가 되는 것입니다.

주님은 우리의 생활을 교제로 사용하시어 우리를 가르치십니다. 생활을 통해서 주제의 의미를 파악하고 공부하게 하시는 것입니다. 공부(工夫)란 몸으로 익혀서 깨닫는 것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머리 만으로 배우는 것은 공부가 아니고 가르침을 받는 것입니다. 주님은 사역자에게는 가르침을 받기를 원치 않으며 공부하기를 바랍니다.

몸으로 겪어서 배우지 않으면 다른 사람을 가르칠 수 없습니다. 모든 사람이 공부하는 것이 아니며, 오로지 선택된 소수의 지도자만이 공부하게 됩니다. 이것을 제자들에게 가르치게 하는 것입니다.

영적 피정은 새로운 사역을 위해서 주님이 배려하시는 공부 기간입니다. 우리는 이것을 고통으로 받아들이지만 성숙한 사역자는 기쁨으로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은둔은 사람들의 눈에는 이상하게 보일 것입니다. 엘리야가 사렙다의 과부집에서 은둔하는 동안 그가 겪었던 심리적 갈등은 이루 말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과부에게 빌붙어 지내는 건강한 남자를 사람들이 어떻게 판단했을지 생각해 보십시오.

엘리야에 대해서 과부마저도 원망했습니다. 한 두 달은 손님 대접을 해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래도록 곁을 떠나지 않는 엘리야에 대해서 과부는 불만을 품지 않을 수 없습니다. 말이 선지자지 자신에게는 달갑지 않은 사람일 뿐입니다. 그래서 원망하는 과부를 위해서 주님은 엄청난 일을 준비했습니다. 아들의 갑작스런 죽음은 과부의 분노를 폭발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런 상황에 이르게 하신 주님은 엘리야로 하여금 아들을 살리게 하심으로써 과부의 원망을 잠재웠습니다. 이는 과부 뿐만 아니라 엘리야도 위한 것이었습니다. 지친 주의 종을 위로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영적 은둔은 하나님의 사역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과정입니다. 자신의 사역의 지경이 넓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입니다. 강제적인 은둔이든 자발적인 은둔이든 우리는 여러 차례 이 과정을 통해서 사역의 지경이 넓어지는 것입니다.

영적 피정은 하나님의 은혜의 부르심입니다. 이 부르심의 자리에 기꺼이 즐거운 마음으로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사역소개 햇볕같은이야기 사역 소개 file [53] 최용우 2009-02-03 106080
83 기타보관창고 [들꽃피는-제13호] 운전대가 왜 왼쪽에 있을까? file 들꽃향기 2003-03-01 5025
82 기타보관창고 [들꽃피는-제12호] 미국놈들 그냥 콱 망해불어야 헌디 file 최용우 2003-02-20 3580
81 기타보관창고 [들꽃피는-제11호] 고무신신고 농사짓는 목사님 file 최용우 2003-02-14 4239
80 기타보관창고 [들꽃피는-제10호] 독립기념관과 기독교 file 들꽃향기 2003-02-04 3575
79 알려드립니다 [책] <숲속의 아침> 보고 싶어요 최용우 2003-01-29 6316
78 기타보관창고 [들꽃피는-제9호] 물 불 그리고 사람 file 최용우 2003-01-27 3345
77 기타보관창고 [들꽃피는-제8호] 성 같은 교회를 바라보는 내마음 file 최용우 2003-01-18 3970
76 언론보도내용 월간<금나팔2003.1월호>취재기사 file 최용우 2003-01-15 4495
75 기타보관창고 [들꽃피는-제7호] 행복= P+(5 X E)+(3 X H) file 들꽃향기 2003-01-12 4693
74 기타보관창고 [들꽃피는-제6호] 주님의 臨... 가득하시기를 file 들꽃향기 2003-01-07 3316
73 기타보관창고 [들꽃피는-제5호] 한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으며 file 들꽃향기 2003-01-03 3569
72 기타보관창고 [들꽃피는-제4호] 동방박사는 아기예수를 못만났다. file 최용우 2002-12-21 3723
71 기타보관창고 [들꽃피는-제3호] 대통령 선거전을 보며 file 최용우 2002-12-15 3048
70 기타보관창고 [들꽃피는-제2호] 대설을 살며 file 최용우 2002-12-14 2971
69 알려드립니다 100만명 방문기념 <독거노인돕기 행사> 안내 최용우 2002-12-12 3975
» 알려드립니다 기독교 피정의 집- 영적 피정 최용우 2002-12-06 4434
67 기타보관창고 [들꽃피는-제1호] 예수향기 날리며 file 들꽃 2002-12-06 3015
66 알려드립니다 <햇볕같은이야기> 발송통계 최용우 2002-12-05 7706
65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52호](10.13)- 홍시주간 들꽃 2002-11-03 2982
64 알려드립니다 사이버 시대의 대안예배는 가능한 것인가? - 김순환 교수 최용우 2002-10-20 5871
63 언론보도내용 월간<작은이야기2000.9>-가을에 만난 사람 file 최용우 2002-10-16 3683
62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51호](10.6)- 갈대주간 들꽃 2002-10-06 2674
61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50호](9.29)- 기도주간 돌쇠 2002-09-29 2580
60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49호](9.22)- 알밤 주간 돌쇠 2002-09-28 2547
59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48호](9.1)-장마주간 최용우 2002-09-04 2571
58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47호](8.24)-행복한주간 돌쇠 2002-08-26 2528
57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46호](8.18)- 매미소리주간 주보 2002-08-18 2442
56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36호] 부모의 기도 2002.5.19 2002-08-13 2498
55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35호] 어리석은 어부가 되지 않게 하소서 2002.5.12 2002-08-13 2452
54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34호] 우리 어머니 2002.5.5. 2002-08-13 2346
53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33호] 날마다 배우며 살게 하소서 2002,4.28 2002-08-13 2566
52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32호] 남을 용서하며 살게 하소서 2002,4.14 2002-08-13 2546
51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31호] 아침기도 2002,4.14 2002-08-13 2181
50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30호] 나의 기도 2002,4,7 2002-08-13 2497
49 기타보관창고 [주보 제29호] 목마른 사슴 2002.3.24 2002-08-13 2682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