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명설교 모음

택스트 설교

설교자'가 확실한 설교만 올릴 수 있습니다.

세례 요한의 죽음

마가복음 정용섭 목사............... 조회 수 1598 추천 수 0 2015.09.10 22:59:43
.........
성경본문 : 막6:14-29 
설교자 : 정용섭 목사 
참고 : http://dabia.net/xe/830597 

jys.jpg세례 요한의 죽음

막6:14-29, 성령강림후 일곱째 주일, 2015년 7월12일

 

14 이에 예수의 이름이 드러난지라 헤롯 왕이 듣고 이르되 이는 세례 요한이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났도다 그러므로 이런 능력이 그 속에서 일어나느니라 하고 15 어떤 이는 그가 엘리야라 하고 또 어떤 이는 그가 선지자니 옛 선지자 중의 하나와 같다 하되 16 헤롯은 듣고 이르되 내가 목 벤 요한 그가 살아났다 하더라 17 전에 헤롯이 자기가 동생 빌립의 아내 헤로디아에게 장가 든 고로 이 여자를 위하여 사람을 보내어 요한을 잡아 옥에 가두었으니 18 이는 요한이 헤롯에게 말하되 동생의 아내를 취한 것이 옳지 않다 하였음이라 19 헤로디아가 요한을 원수로 여겨 죽이고자 하였으되 하지 못한 것은 20 헤롯이 요한을 의롭고 거룩한 사람으로 알고 두려워하여 보호하며 또 그의 말을 들을 때에 크게 번민을 하면서도 달갑게 들음이러라 21 마침 기회가 좋은 날이 왔으니 곧 헤롯이 자기 생일에 대신들과 천부장들과 갈릴리의 귀인들로 더불어 잔치할새 22 헤로디아의 딸이 친히 들어와 춤을 추어 헤롯과 그와 함께 앉은 자들을 기쁘게 한지라 왕이 그 소녀에게 이르되 무엇이든지 네가 원하는 것을 내게 구하라 내가 주리라 하고 23 또 맹세하기를 무엇이든지 네가 내게 구하면 내 나라의 절반까지라도 주리라 하거늘 24 그가 나가서 그 어머니에게 말하되 내가 무엇을 구하리이까 그 어머니가 이르되 세례 요한의 머리를 구하라 하니 25 그가 곧 왕에게 급히 들어가 구하여 이르되 세례 요한의 머리를 소반에 얹어 곧 내게 주기를 원하옵나이다 하니 26 왕이 심히 근심하나 자기가 맹세한 것과 그 앉은 자들로 인하여 그를 거절할 수 없는지라 27 왕이 곧 시위병 하나를 보내어 요한의 머리를 가져오라 명하니 그 사람이 나가 옥에서 요한을 목 베어 28 그 머리를 소반에 얹어다가 소녀에게 주니 소녀가 이것을 그 어머니에게 주니라 29 요한의 제자들이 듣고 와서 시체를 가져다가 장사하니라.

 

예수님과 동시대에 살았던 인물로서 신약성경의 복음서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로 거명된 이는 세례 요한입니다. 당시 경건하게 살려고 하던 사람들은 빈부귀천을 가릴 거 없이 모두 요단강에서 세례를 베풀던 요한에게 가서 세례를 받았습니다. 예수님도 그에게 세례를 받았습니다. 기독교가 하나님의 아들이자 그리스도로 믿고 있는 예수님이 그에게서 세례를 받았다는 게 별로 자랑스러울 게 없는데도 복음서 기자들이 그 사실을 숨기지 않은 이유는 그 사건이 명백한 사실이었을 뿐만 아니라 세례자 요한을 예수님의 구원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겼기 때문입니다.

 

오늘 제3 독서에 바로 세례자 요한이 등장합니다. 끔찍한 이야기입니다. 당시 그 지역의 왕은 헤롯 대왕의 큰 아들인 헤롯 안티바스입니다. 성경에는 그냥 헤롯이라고만 나옵니다. 그는 이복동생인 헤롯 빌립의 아내였던 헤로디아와 재혼합니다. 고대 왕실에서는 이런 일들이 심심치 않게 일어났습니다. 헤롯이 헤로디아에게 마음을 빼앗긴 건지, 거꾸로 헤로디아가 주도적으로 남편인 헤롯 빌립과 이혼하고 헤롯 안티바스와 재혼한 건지, 또는 정략적으로 서로의 이해타산이 맞아떨어진 것인지는 확인할 길이 없습니다. 당시 유대백성들은 이를 못마땅하게 여겼지만 왕실에서 벌어지는 일을 드러내놓고 비판하기는 어렵습니다.

 

막 6:18절에 따르면 요한은 헤롯에게 ‘동생의 아내를 취한 것은 옳지 않다.’고 직언했습니다. 헤롯의 심기를 아주 불편하게 하는, 그래서 목숨을 걸지 않으면 안 되는 발언이었습니다. 요한의 비판을 헤롯보다는 헤로디아가 더 못마땅하게 여긴 것으로 보입니다. 19절에 따르면 ‘헤로디아가 요한을 원수로 여겨 죽이고자 ...’ 했습니다. 요한이 헤로디아를 직접 비판한 게 아닌데도 그녀가 앞장서서 요한을 죽이겠다고 난리를 친 겁니다. 헤로디아는 남편을 들볶았을 겁니다. 요한을 죽이지 않으면 ‘보따리 싸겠다.’고 말입니다. 헤롯의 입장이 난처하게 되었습니다. 요한을 죽이라는 아내 헤로디아의 요구를 모른 척 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해서 마음 깊이 두려워하면서 존경하고 있는 요한을 죽일 수도 없습니다. 그는 정치인이기 때문에 요한에 대한 유대 민중들의 여론을 무시할 수도 없었습니다. 자칫하다가는 폭동이 일어날지도 모릅니다. 그는 일단 세례 요한을 감옥에 가두는 수준에서 이번 일을 끝내려고 했습니다. 헤로디아의 분이 풀리면 적당한 때 석방시킬 계획이었겠지요.

 

그런데 일이 이상하게 꼬이게 되었습니다. 헤롯의 생일이 되었습니다. 왕의 생일이라 왕궁 내외 귀빈들이 다 모였습니다. 유랑 극단도 초청되었을 것이며, 연예 기획사도 동원되었겠지요. 한창 잔치 분위기가 무르익는 순간에 헤로디아의 딸이 나비처럼 나풀거리며 무대 중앙에 등장해서 춤을 추기 시작했습니다. 헤롯의 조카였지만, 헤로디아와 재혼한 뒤로는 딸로 부르는 여자아이였습니다. 공주가 나와서 춤은 춘다는 것은 당시 예법에 맞지 않습니다. 대개는 전문 무희들이 관능적인 몸짓으로 춤을 춥니다. 헤로디아가 일부러 딸을 그 자리에 내보낸 것으로 보입니다. 공주의 춤이라는 파격적인 행위 앞에서 헤롯을 비롯한 여러 사람들이 크게 즐거워했습니다. 헤롯은 소녀에게 무엇이든지 원하는 게 있으면 말해라, 이 나라의 반이라고 주겠다고 큰 소리를 쳤습니다. 기껏해야 로마에서 만든 최고급 가죽신이나 인형, 또는 아프리카에서 잡아온 아기 원숭이 한 마리를 원할 거라고 생각했겠지요. 그 뒤로 일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잘 아시지요? 소녀가 어머니 헤로디아에게 가서 조언을 구합니다. 헤로디아는 아무도 감히 상상조차 하지 못할 말을 합니다. “세례 요한의 머리를 구하라.”(24절).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는 우리나라 속담이 옳은 걸까요? 헤로디아는 자기의 재혼을 비판한 선지자 요한을 도저히 용서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축제가 열리는 순간에도 그녀는 요한을 없앨 궁리에 몰두했습니다. 그 집념이 놀랍습니다. 팜므파탈(요부)의 한 전형일까요? 헤롯은 어쩔 수 없이 감옥에 갇혀 있는 요한의 머리를 베라고 명령을 내렸고, 기계처럼 명령을 수행한 시위병이 피가 흥건한 요한의 머리를 쟁반에 얹어 가져와서 살로매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 소녀에게 주었습니다. 많은 화가들이 이 장면을 그렸습니다. 소녀는 그것을 자기 어머니 헤로디아에게 전달했습니다. 그 순간에 헤로디아의 표정이 어땠을지 상상해보십시오.

 992320442cd219fe372b816613bcb46e.jpg

0d4c7c2fc209983afda1e77667f2c7a3.jpgc2e2db817ff8e04299311e8ce01cd9e9.jpg


마가복음 기자는 왜 세례 요한의 죽음을 이렇게 자세하게 보도하는 것일까요? 복음서에 간혹 다른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기는 하지만 세례 요한의 이야기에는 비길 바가 못 됩니다. 예수님의 부모들도 잠간 언급되고, 예수님을 찾아왔던 여러 인물들도 ‘행인 1,2’ 정도의 엑스트라 역할을 벗어나지 못합니다. 빌라도 총독 이야기도 자세하게 나오지만 요한 이야기에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합니다. 북음서 기자들에게 세례자 요한이 특별하게 다뤄지는 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두 가지입니다.

 

우선 초기 기독교 안에 세례자 요한의 추종자들이 무시하지 못할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한 가지 이유입니다. 행 19장24절 이하에 아볼로라는 인물이 나옵니다. 그는 초기 기독교에서 상당한 리더십을 보이던 인물입니다. 그는 세례자 요한의 제자입니다. 요한의 세례만 알고 있었지 성령의 세례는 몰랐다고 합니다. 세례 요한 파에 속한 사람들이 에베소에도 많았습니다. 고전 1:12절에 따르면 당시 고린도교회는 네 파로 나뉘었는데, 그중의 한 파가 바로 아볼로 파입니다. 세례 요한의 제자 중에서 일부는 나중에 예수님의 제자가 되었습니다(요 1:37). 기독교 공동체의 정회원 조건이 세례였다는 사실도 세례 요한의 영향입니다.

 

초기 기독교가 세례 요한을 예수님의 선구자로 간주했다는 사실이 다른 한 가지 이유입니다. 이게 실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이유입니다. 공관복음과 요한복음은 한 목소리로 이사야 선지자의 예언을 인용하면서 세례 요한을 광야에서 외치는 소리로서 예수의 길을 예비하는 자라고 말했습니다. 마 3:3절만 인용하겠습니다.

 

그는 선지자 이사야를 통하여 말씀하신 자라 일렀으되 광야에 외치는 자의 소리가 있어 이르되 너희는 주의 길을 준비하라 그가 오실 길을 곧게 하라 하였느니라.

 

세례 요한은 제사장 계급에 속한 인물이었습니다. 목수였던 요셉을 아버지로 하는 예수님과는 출신 성분이 좀 달랐습니다. 누가복음 기자는 예수를 낳은 마리아와 요한을 낳은 엘리사벳이 친척지간이라고 했습니다(눅 1:36). 사촌지간인지 육촌지간인지는 모릅니다만 어쨌든지 예수와 요한의 관계가 완전히 남남이 아니라는 것만은 분명해보입니다. 나이도 동갑입니다. 요한이 여섯 달 먼저 태어났습니다. 요한이 먼저 출가해서 하나님 나라를 선포했습니다. 당시 그는 대단한 카리스마를 발휘했습니다. 그의 설교는 유대인들의 양심을 뒤흔들었습니다. 오죽 했으면 예수님께서 그를 가리켜 여자가 낳은 자 중에서 가장 큰 자라고 했겠습니까. 예수님은 요한에게서 영향을 받고 출가를 결심했을지 모릅니다. 옥에 갇힌 세례자 요한은 제자들을 예수님에게 보내서 ‘당신이 메시아인가.’ 하고 묻기도 했습니다.

 

세례자 요한과 예수님의 운명에서 가장 큰 공통점은 죽음입니다. 둘 다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다가 젊어서 죽었고, 둘 다 악한 세력의 음모에 의해서 죽었습니다. 죽음에 이르는 전개 과정도 비슷합니다. 예수님에게 십자가 처형 선고를 내린 빌라도는 예수를 석방시키려고 노력했습니다. 헤롯이 요한을 거룩한 사람으로 알아 죽이지 않으려고 했던 것처럼 말입니다. 유대의 최고 법정인 산헤드린이 나서서 예수는 신성을 모독하고 로마의 평화(팍스 로마나)를 위협한 인물이니 사형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헤로디아가 헤롯을 부추겼고, 결국 음모를 꾸며서 요한을 없애버린 것과 비슷합니다. 선지자인 요한이 악한 세력에 의해서 참수형을 당한 것처럼 하나님의 아들인 예수도 십자가 처형을 당했습니다. 이게 인류의 역사입니다. 선지자도 제거되었고, 하나님의 아들도 제거되었습니다. 악의 완벽한 승리입니다.

 

지금 설교를 듣는 분들 중에서는 이런 이야기가 멀게 느껴지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2천 년 전에 일어났던 악의 승리가 어쨌다는 거냐,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일과는 아무 상관없는 문제로 보인다고 말입니다. 그런 생각을 저는 충분히 이해합니다. 지금 당장 우리가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더미 같으니까 요한과 예수의 죽음 같은 이야기는 비현실적인 것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예수 당시의 사람들도 우리의 생각과 비슷습니다. 자신들의 사는 일에 바빠서 세례 요한이 참수당하거나 하나님의 아들 예수가 십자가에 처형당해도 거기에 신경을 쓸 틈이 없었습니다. 요한에 관한 이야기를 나중에 전해 듣고 아까운 사람이 죽었네, 하고 안타깝게는 생각했겠지요. 예수에 관한 이야기를 전해 듣고도 마찬가지로 ‘나사렛 예수라는 친구, 참 괜찮은 사람이었는데 그렇게 죽다니 안 됐군. 그래도 다행이야. 이런 일을 핑계로 로마 총독이 우리를 힘들게 했으면 어떨 뻔 했어.’ 하고 한 마디씩 했을 뿐이고, 그렇게 시간은 흘렀습니다. 사소한 것에 마음을 뺏겨 정말 중요한 일을 알아보지 못한다는 게 인류 역사의 비극이고, 개인의 비극입니다.

 

실제로 중요하지만 일상에서 우리가 전혀 실감하지 못하는 한 가지 사실을 예로 들겠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입니다. 자전 속도는 적도를 중심으로 계산하면 시속 1천6백 킬로 미터입니다. 국제여객선 비행기보다 빠릅니다. 공전은 그것보다 10배 이상 빠릅니다. 엄청나게 빠르게 움직이는 지구라는 비행체에 우리는 잠시 올라탔습니다. 곧 내려야 합니다. 이러한 우리의 상황은 백척간두에 올라선 것과 비슷합니다. 이것 외에도 인류의 운명을 결정짓는 더 중요한 것들이 많습니다. 이런 사실에 밀착해서 살아가는 분들이 있고, 아무 의식 없이 살아가는 분들이 있습니다. 신앙생활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세례자 요한의 죽음과 예수의 죽음이 자신의 실존에 밀착되어 있는 분들이 있고, 아무런 생각이 없는 분들이 있습니다. 후자에 속한 분들은 다른 이유로 교회에 다니는 겁니다. 그냥 재미가 있다거나, 복을 받는다거나, 마음이 편해진다는 생각으로 나옵니다. 이런 상태에서 신앙생활은 그야말로 소비생활과 다를 게 없습니다. 다시 여러분 스스로에게 질문해보십시오. 세례자 요한의 죽음과 예수의 죽음이 우리의 영혼을 흔들고 있을까요? 아니면 여전히 겉도는 이야기에 불과한가요? 이 이야기를 좀더 따라가 봅시다.

 

저는 앞에서 마가복음 기자를 비롯해서 모든 복음서 기자들이 세례자 요한을 예수님의 앞길을 예비한 사람으로 보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요한의 비참하고 허무한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바로 예수의 죽음을 암시합니다. 세례 요한의 죽음에 이미 하나님의 아들인 예수의 죽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무슨 말인가요? 인간은 세상과 역사와 자기 자신을 파괴합니다. 인간에게는 구원의 능력이 없습니다. 개인으로서의 인간도 그렇고 사회를 이루는 인간도 그렇습니다. 인간의 문명도 마찬가지입니다. 제가 세상을 너무 비관적으로는 보는 걸까요? 세상에는 희생적으로 사는 착한 사람도 많지 않느냐, 그래서 그들을 통해서 좋은 일도 많이 일어나지 않느냐, 하고 말입니다. 예, 그런 사람도 많고 그런 일도 많습니다. 그런 사람과 그런 일은 예수 당시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예수를 죽음에 이르게 한 산헤드린과 빌라도로 대표되는 로마 제국도 좋은 일을 많이 했습니다. 그들은 그 시대의 인격자이고 지성인이었고,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아 마땅한 사람들입니다. 그러나 자신들의 이익, 또는 자신들의 이데올로기가 위협받는다고 느끼는 순간에 선지자와 하나님의 아들을 제거했습니다.

 

여러분들은 21세기 인류와 문명을 어떻게 보십니까? 2천 년 전과 지금은 무엇이 다르고 무엇이 같을까요? 겉으로는 달라진 게 많은 것 같지만 사람의 속성은 그대로입니다. 인간은 여전히 파괴적이고, 위선적입니다. 겉으로 친한 척하면서도 가슴 속에는 비수를 품고 있습니다. 지난 몇 주간에 걸쳐서 그리스 사태로 EU(유럽 연합)이 서로 옥신각신했습니다. 유사시에는 그 조직 자체가 와해될 것입니다. 미국, 중국, 러시아는 세계 헤게모니를 잡기 위해서 계속 신경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미국 자체 안에서도 인종 간의 충돌은 화약고와 비슷합니다. 다른 나라에 대해서 말할 것도 없습니다. 남한과 북한은 해방 이후 70년 동안 적대관계를 청산하지 못했습니다. 이 문제를 전향적으로 풀어가려는 노력도 요즘에는 눈에 뜨이지 않습니다. 남한만의 문제도 힘에 버겁습니다. 경상도와 전라도의 지역감정은 왜 이렇게 불편한 걸까요? 빈부격차는 왜 더 심해지는 걸까요?

 

겉으로는 세련된 것처럼 보여도 21세기 문명 역시 계속해서 선지자들의 목을 치고, 하나님의 아들을 십자가에 처형할 계획을 세우고 음모를 꾸미고 있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인간은 자신을 구원할 능력이 없습니다. 무늬만 달라질 뿐이지 근본은 그대로입니다. 그런데다가 우리가 직접 나서서 무얼 바꿀 수도 없습니다. 한편으로는 소시민으로서의 무력증에 빠지기도 하고, 개인의 무사안일주의에 빠지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냥 세월아 가라, 하는 식으로 머물러 있으면 될까요? 내면의 세계가 공허감으로 가득 차거나 공연한 것에 삶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으로 우리의 인생이 끝나도 되는 걸까요?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해서 자기희생을 감수하고 투쟁에 나서야 할까요?

 

저는 여러분에게 세상을 새롭게 하기 위해서 자기희생적으로 어떤 길을 선택하라고 강요할 생각이 없습니다. 각자의 정치적 판단도 다르고, 사회적 안목도 다르고, 성격과 심리도 다르고, 지식도 다르고, 더구나 각자 처한 삶의 조건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결국은 자기 자신이 선택해야 합니다. 저는 설교자로서 그 선택의 기준에 대해서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악의 승리로 보이는 이 세상 안에 놓여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니 그렇기 때문에 더욱더 우리는 ‘의미 충만한 삶’을 추구해야 합니다. 이것은 곧 여러분의 영적인 시선을 하나님에게로 돌리는 데서 시작됩니다. 하나님의 존재, 하나님의 통치, 하나님의 섭리, 하나님의 약속, 하나님의 의와 평화에 눈을 돌리는 것입니다. 여기에 영적인 시선이 밀착해있지 않으면 우리는 의미 충만한 삶으로 들어갈 수가 없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세상은 여전히 선지자와 하나님의 아들을 제거하려는 시도가 진행되는 중입니다. 안타깝게도 그런 와중에 우리도 끼어듭니다. 이런 시도는 지난 인류역사에서 실행되었고, 지금도 실행 중에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만 보고 낙심하지 마십시오. 하나님을 보십시오. 하나님은 십자가에 달린 예수님의 운명을 질적으로 다른 차원으로 돌리셨습니다. 죽은 자들로부터 다시 살리셨습니다. 그게 하나님의 고유한 통치 능력입니다. 이걸 보는 사람은 의미 충만한 삶으로, 즉 죽음의 세계에서 빠져나와 생명의 세계로 들어설 수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마가복음 기자는 세례자 요한의 끔찍한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서 바로 이 놀라운 사실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습니다. 그게 보이십니까?

 


댓글 '1'

코리도라스

2015.09.12 23:17:26

"예수님은 요한에게서 영향을 받고 출가를 결심했을지 모릅니다." 그렇다면 삼위일체의 하나이시며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께서 당신 스스로 가야할 길을 가신것이 아니라 요한의 영향을 받아 십자가의 길을 가셨다는 건가요? 순수한 한 시골청년이 서울 대형교회 목사의 설교를 듣고 감명을 받아 목회자의 길을 가게 되었다는 스토리를 예수님의 일생과 비교하고 싶으신 건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경본문 설교자 날짜 조회 수
12498 사사기 분명한 사명 의식 삿7:1-25  최장환 목사  2015-09-15 909
12497 디모데전 좋은 관계를 갖는 자 딤전3:1-15  최장환 목사  2015-09-15 570
12496 마가복음 땅 위에 심길 때에는 땅 위의 모든 씨보다 작은 것이로되. 막4:28-32  김경형 목사  2015-09-14 496
12495 마가복음 밤낮 자고 깨고 하는 중에 씨가 나서 자라되. 막4:26-27  김경형 목사  2015-09-14 492
12494 고린도전 부활신앙은 속죄의 증거 고전15:17-19  강종수 목사  2015-09-13 401
12493 디모데전 지도자의 자질 딤전3:1-13  한태완 목사  2015-09-12 618
12492 창세기 믿음으로 유혹을 이김 창14:17-24  이정원 목사  2015-09-12 453
12491 창세기 믿음으로 나라들을 이김 창14:1-16  이정원 목사  2015-09-12 625
12490 창세기 믿음의 선택 창13:10-18  이정원 목사  2015-09-12 685
12489 창세기 믿음으로 갈등을 극복함 창13:1-9  이정원 목사  2015-09-12 427
12488 창세기 약속의 땅에 기근이 오다 창12:10-20  이정원 목사  2015-09-12 531
12487 야고보서 혀의 권세 약3:1-12  강승호 목사  2015-09-12 664
12486 요한복음 갈 곳 없는 사람들 요6:56-69  정용섭 목사  2015-09-11 573
12485 에배소서 성령 가득한 삶 엡5:15-20  정용섭 목사  2015-09-11 741
12484 요한복음 하늘의 양식 요6:35, 41-51  정용섭 목사  2015-09-11 608
12483 요한복음 영원한 생명의 양식 요6:24-35  정용섭 목사  2015-09-11 593
12482 마가복음 하늘로부터 오는 고상한 지식 막8:27-38  강승호 목사  2015-09-11 586
12481 요한복음 예수와 표적 이야기 요6:1-15  정용섭 목사  2015-09-10 495
12480 사무엘하 다윗과 예루살렘 성전 삼하7:1-14  정용섭 목사  2015-09-10 690
» 마가복음 세례 요한의 죽음 file [1] 막6:14-29  정용섭 목사  2015-09-10 1598
12478 시편 이 세상에서 내 것은 없다 시90:1-17  최장환 목사  2015-09-08 789
12477 열왕기하 인생의 귀한 발자국 왕하14:1-22  최장환 목사  2015-09-08 678
12476 마가복음 너희의 헤아리는 그 헤아림으로 너희가 헤아림을 받을 것이요. 막4:21-27  김경형 목사  2015-09-07 1110
12475 마가복음 없는 자는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막4:21-25  김경형 목사  2015-09-07 555
12474 로마서 자신을 바로알고 분수대로 살자 롬12:6-11  한태완 목사  2015-09-07 769
12473 마태복음 말씀의 능력을 체득하라 마22:23-29  강종수 목사  2015-09-06 473
12472 디모데후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딤후4:2  강승호 목사  2015-09-05 1362
12471 시편 하나님의 침묵 시83:1  한태완 목사  2015-09-04 682
12470 역대상 계산을 먼저 하지 말자 대상5:1-26  최장환 목사  2015-09-01 715
12469 열왕기상 하나님의 가슴에 있는 사람 왕상13:1-19  최장환 목사  2015-09-01 837
12468 데살로전 감사하는 습관을 갖자 살전5:16-18  한태완 목사  2015-09-01 1328
12467 마가복음 침입해 들어오는 하나님 나라 막7:24-37  강승호 목사  2015-08-31 503
12466 마가복음 외인에게는 모든 것을 비유로 하나니. 막4:10-20  김경형 목사  2015-08-30 410
12465 마가복음 씨를 뿌리는 자가 뿌리서 나가서 뿌릴 새. 막4:1-9  김경형 목사  2015-08-30 658
12464 마태복음 때를 아는 성도 되자 마24:42-46  강종수 목사  2015-08-30 608

설교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