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1월23일 세례와 삶

정용섭 목사............... 조회 수 313 추천 수 0 2016.01.25 18:50:10
.........

1월23일 세례와 삶

 

지난 설교 마지막 단락에서 이렇게 말했다. ‘저는 세례를 통해서 예수 그리스도의 운명과 하나 되었습니다. ... 저의 인생은 여러분과 마찬가지로 예수와 더 긴밀히 하나가 되는 과정입니다.’ 세례 사건이 내 삶의 토대라는 뜻이다. 세례 받았으니 당연한 이야기 아닌가, 하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세례는 죽음과 삶에 대한 종교 의식이다. 예수와 함께 죽고 예수와 함께 산다는 뜻이다. 종교 의식은 단순한 형식에 머물지 않고 그 안에 내용을 담는다. 죽음과 삶을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세례가 아무런 의미가 없다. 도대체 예수와 함께 죽고 예수와 함께 산다는 게 말이 되나? 죽는다는 것은 무엇이고,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는 왜 살아 있으면서도 늘 죽음을 의식하는 것일까? 초기 기독교는 왜 이런 방식으로 자신의 신앙을 표현한 것일까?


세례를 삶의 과정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죽음을 먼 미래에 일어날 막연한 것으로가 아니라 지금 여기서 일어나는 일상으로 받아들인다. 이게 어떻게 가능한가? 아무도 죽음을 경험하지 못했으며, 죽음을 생각하기에는 우리의 일상이 너무 생생하다. 지금 이렇게 숨을 쉬고 먹고 마시며 사람들과 어울려 지내면서 그 모든 것이 정지된 상태를 어떻게 실감할 수 있겠는가. 그래서 대개 죽음은 순전히 낱말로, 또는 하나의 관념으로 떨어질 뿐이다. 예수의 부활도 마찬가지다.

 

기독교인의 삶이 예수와 하나 되는 과정이라는 말은 죽음과 삶의 문제를 수행으로 여기고 살아가겠다는 뜻이기도 하다. 한번 예수를 믿고 뜨거워지는 것으로 끝나는 아니라 숨이 끊어질 때까지 예수에게 일어난 사건 안으로 부단히 들어가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성경공부, 신학공부, 인문학공부, 자기에 대한 성찰 등등, 여러 공부가 필요하다. 공부 자체가 수행이다. 학위를 받는 공부만 공부가 아니다. 자기와 세계를 성찰하는 삶의 태도가 바로 공부다.

정용섭  http://dabia.net/xe/85637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355 골리앗이 땅에 엎드러지니라 한재욱 목사 2021-02-09 315
4354 도난당한 뒤에야 손석일 목사 2021-01-28 315
4353 더 꽁꽁 묶어주십시오 file 한희철 목사 2020-02-11 315
4352 조절할 수 있는 분노 김장환 목사 2019-12-26 315
4351 돌아가는 길 file 김민정 목사 2019-10-09 315
4350 물구나무서기 file 한희철 목사 2019-05-23 315
4349 도움이 필요한 세계 김장환 목사 2019-04-15 315
4348 행복은 향수 김용호 2019-03-19 315
4347 신영복-세상에 끊어진 길은 없다 file [1] 이주연 목사 2018-05-30 315
4346 촛불을 밝히며 매일 기도를 file 이주연 목사 2018-05-04 315
4345 신앙과 지식 file 한상인 목사(광주순복음교회) 2018-05-02 315
4344 file 한재욱 목사(서울 강남비전교회) 2018-03-06 315
4343 자신을 성찰하라(등잔대) 새벽기도 2018-02-09 315
4342 노련한 인생의 프로 file 이주연 목사 2017-05-30 315
4341 교회를 믿다 -헨리 나우웬의 묵상 글 나우웬 2016-12-30 315
4340 봉화제의 기적 정지희 2016-09-29 315
4339 지나치게 분별하여 판단하지 마십시오 file 이주연 목사 2016-06-20 315
4338 한 가지 유산 김장환 목사 2024-03-15 314
4337 이웃을 위한 도전 김장환 목사 2022-01-29 314
4336 16일의 끈기 김장환 목사 2021-07-30 314
4335 잘못된 중립의 시대 김장환 목사 2021-07-23 314
4334 사소한 다툼의 결과 김장환 목사 2021-06-30 314
4333 새를 받으시는 예수님 한희철 목사 2021-05-13 314
4332 바닷물 file 차진호 목사 2020-12-03 314
4331 내 양말 빵꾸 났네 file 한희철 목사 2020-10-12 314
4330 지성이면 감천 file 한희철 목사 2020-06-29 314
4329 스카이캐슬 file 한별 총장 2019-07-22 314
4328 나를 가장 잘 이해하는 사람 김장환 목사 2019-02-25 314
4327 와이파이의 비밀 file 곽주환 목사 2018-12-17 314
4326 생기의 근원 김장환 목사 2018-10-22 314
4325 평화를 이루는 사람 file 곽주환 목사 2018-09-05 314
4324 부드러운 대화의 방법 김장환 목사 2018-07-19 314
4323 나는 벌써 용서하였는데 file 이주연 목사 2018-01-09 314
4322 당신의 배터리·와이파이는 안녕하십니까 file 곽주환 서울 베다니교회 목사 2017-11-28 314
4321 왜 하늘이 마음에 물들까 file 이주연 목사 2015-09-09 314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