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출처 : http://omn.kr/kjvv 

20160906_232617.jpg

놀이가 노동이다 - 거참 마음에 드네

[책 뒤안길] 진중권의 새 인문학 패러다임 <테크노 인문학의 구상>

    

그야말로 '인문학 열풍'이다. 스티브 잡스가 생전에 "인문학과 기술의 교차점에 있는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애플의 정신이라고 해서일까. '인문학과 기술의 조화'를 들먹이며 내로라하는 기업들은 물론, TV프로그램까지 인문학을 배우고자 하는 열의(?)가 그야말로 대단하다.

인문학이란 언어, 역사, 문학, 철학 등을 아우르는 자연과학과는 배치되는 개념으로 인간에 관한 가치를 따지는 학문이다. 그러니까 스티브 잡스가 돈버는 것과 밀접히 관계된 과학기술문명의 선두에 섰으면서 돈 하고는 상관이 없는 인문학을 이야기한 것은 그야말로 어울리지 않는 표현방식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더 획기적이라고 생각한 모양이다.

'인문학의 죽음'과 '인문학의 열풍'이 공존?

우리 대학에서는 철학이나 심리학 등 기초학문을 배우는 학과들이 하나둘 사라지고 있다. 그 이유를 콕 집어서 말하면 돈벌이가 안 되기 때문이다. 의예과, 이공과 계열의 학과를 졸업해야 먹고 사는데 지장이 없는 시대다. 그런데 이런 사회 분위기와는 전혀 다르게 '인문학 열풍'이라니.

그래서 어떤 이는 이런 현상을 "뻔뻔한 지성들의 르네상스"란 말로 꼬집었다. 보헤미안 작가가 <뻔뻔한 지성들의 르네상스>(베프북스)에서 일부러 어려운 용어로 지적 우월감을 만끽하는 일부 전문가들의 모습을 비꼬며 '인문학 열풍이 헛똑똑이를 양산한다'고 비판한 이유다.

대학 현장에선 인문학을 폐강하는데, 사회에서는 인문학 열풍이 인다. 참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인문학의 죽음'과 '인문학의 열풍'이 어떻게 같은 사회에서 일어나는가. 보헤미안 작가의 말처럼 헛똑똑이의 뻔뻔한 지성 때문일까.

실제로 인문학이 죽었다고 하는데 도서관의 인문·사회과학 도서는 대출이 늘어나고 있고, 인문학 분야의 책 출판도 늘어나고 책도 잘 팔리고 있다. 이런 현상을 "각자도생의 시대에 공부에서 길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개인적으로 동의하지 않지만)이라고 본 출판사가 있다.

'창작과 비평(창비)'이다. '창비'가 50주년 특별기획으로 '공부의 시대'라는 시리즈 강의를 열었다. 물론 문전성시를 이뤘다. 이 강의에는 강만길, 김영란, 유시민, 정혜신, 진중권 등 다섯 명의 지식인들이 강사로 나섰다. 강의 내용은 모두 '공부의 시대'라는 시리즈물로 출판되었다.

진중권의 <테크노 인문학의 구상>도 그 중 하나다. 미학자 진중권은 디지털 시대에 인문학이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존 방식을 뛰어넘지 않고는 인문학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감의 또 다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인문학이 죽어가고 있다는 전제 아래 인문학의 거짓 열풍을 넘어 진정한 인문학의 토대를 마련하려는 시도다.

진중권은 과학기술 및 미디어의 발전과 더불어 인문학이 위기를 맞이했다는 것을 인정하고 인문학을 지속 발전시킬 새로운 방안으로 '테크노 인문학'이란 새로운 구상을 독자들에게 주창한다. 그는 이를 "문자문화의 종언이 가져온 위기 속에서 인문학이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하는 지적 여정"이라고 표현한다.

학문이 영리활동과 결부된 20세기에는 먹고사는 것에서 자유롭던 인문학을 자연스레 영리활동과 결부시킬 수밖에 없으며, 그런 시도는 디지털시대와 걸맞아야 한다는 뜻이다. 그는 인문학의 종언을 선언하려는 이 시대를 위기라고 보지 않고 새로운 도전 앞에 인문학이 서있다고 본다. 위기는 또 다른 기회라는 말의 우회적 입장 표명이다.

인문학의 새로운 도전, '테크노 인문학'

그러니까 겉모양만 인문학의 무늬를 입힌 '헛똑똑이 지성'으로는 안 된다고 보고, 시대의 물결을 흡수하는 인문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디지털 인문학'으로 본 것이다. 르네상스 이후 전통적 인문학은 거시적 사회변동의 소용돌이 속에 놓여 있다. 그러므로 시대에 뒤떨어지는 인문학으로는 대처가 힘들다. 그런 인문학은 죽은 인문학이 맞다.

현대는 문자문화에서 급격하게 영상문화로 미디어적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스마트 기기의 발달과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의 일상화는 글자가 아니라 미디어가 대세다. 우리의 문화를 완전히 바꿔놓은 디지털 시대에 인문학이 가야 할 길도 디지털이어야 한다. 기성세대의 히스토리는 젊은이들의 스토리로 바뀌고, 거짓말하는 자가 아니라 지루한 자가 '나쁜 놈'인 세상이다.


"정보 전달의 플랫폼이 바뀌었으니 인문학 역시 이제는 텍스트를 넘어 사운드와 이미지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다시 규정하고 고민을 해야 한다는 겁니다. (중략) 디지털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우리 생활 세계를 완전히 바꿔놓았습니다. 그것은 곧 인문학에서 다뤄야 할 주체 역시 과거와 완전히 달라졌다는 것을 의미하죠." - 본문 39~41쪽

예를 들어, 자신의 책 <미학 오디세이>를 전자책으로, 에셔(M. C. Escher, 기하학적 원리와 수학적 개념을 토대로 2차원의 평면 위에 3차원 공간을 표현한 네덜란드의 판화가- 기자 주)의 그림을 3차원 입체영상으로, 바흐(J. S. Bach)의 <무한히 상승하는 카논>을 이미지와 사운드로 재현하여 영상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대는 지식권력의 시대다. 아는 자가 권력을 행사한다. 그렇기에 빠르게 변하는 기술문명에 버금가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인문학에 적용되어야 한다. 이제 본질을 묻는 대신 세계 인식에 사용하는 정신과 의식의 본질부터 묻는 '인식론의 전회'가 일어나고 있다. 20세기 후반부터는 '미디어적 전회'가 일고 있다.

'테크노 인문학'은 제작학으로 발전해야

구체적으로 디지털 시대의 존재론은 파타피직스(디지털 시대의 가상과 현실이 중첩된 상태- 기자말)여야 하고, 인간학은 호모 루덴스(놀이가 문화의 한 요소가 아니라 문화가 놀이자체라는 요한 호위징하(Johan Huizinga)의 주장- 기자말)여야 하고, 사회학은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로 갈리며, 이를 아우르는 '테크노 인문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새로운 시대는 놀이가 노동이다. 그러나 강요된 예술은 더 이상 자유가 아니다. "미학적 인간, 유희적 인간이 되라는  요구는 사실상 자본주의의 전언명법"이라면서도 획일화된 '헬조선'의 해프닝을 염려한다. '스티브 잡스 같이 되라'고 말할 때 '그럼 아이들을 자퇴시켜야 한다'는 웃픈 이야기를 예로 든다. 테크노 인문학을 주장하면서도 그런 획일화된 모습이 될까 걱정하는 것이다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창조경제'를 표방했습니다. 그러자 대한민국 정부부처들은 자기 부서 이름 앞에 '창조'라는 글자를 붙였지요. 그 결과 팔십 몇 개의 부서가 획일적으로 '창조'라는 이름을 갖게 됐습니다." - 본문 100쪽

이름 바꾼다고 '창조경제'가 되는 건 아니다. 마찬가지로 인문학 또한 그런 형태의 이름 바꾸기가 되어선 안 된다는 뜻이다. 발상의 전환, 새로운 패러다임의 적용이 필요하다. 우리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산다.

저자는 소비자본주의에서 미적자본주의, 유희자본주의, 기호자본주의 형태로 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 디자인을 강조하여 제품이 아니라 작품을 만드는 시대는 이런 변화의 대표적 모습이다. 결국 새로운 인문학은 세계의 해석학에서 제작학으로 변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뒤안길은 뒤쪽으로 나 있는 오롯한 오솔길입니다. 책을 읽으며 떠오르는 생각의 오솔길을 걷고 싶습니다. 함께 걸어 보지 않으시겠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03 목회독서교육 한국의 신흥종교와 신천지 file 최용우 2017-02-01 381
3102 순전한신앙이야기 나는 지금 하나님편에 서 있는가! 황부일목사 2017-01-29 413
3101 인기감동기타 2016년 국가별로 가장 사랑받은 성구 88개 cyw 2017-01-22 266
3100 경포호수가에서 판단(judgement) file 피러한 2017-01-21 151
3099 순전한신앙이야기 교회된 자들에게서 사라지는 하나님제일 중심교육 황부일목사 2017-01-20 234
3098 수필칼럼사설 촛불을 든 한국의 젊은이들에...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2017-01-14 191
3097 경포호수가에서 현실과 낭만 file [3] 피로한 2017-01-12 194
3096 한국교회허와실 종교개혁500주년 맞이 개혁과제 Top50 cyw 2017-01-05 266
3095 순전한신앙이야기 이젠 거룩한 세월을 살아 가야지... 황부일목사 2016-12-29 270
3094 순전한신앙이야기 교회앞에서 망령되게 말하며 하대하며 욕하는 자들을 경계하라! 황부일목사 2016-12-15 278
3093 논문신학성경 통일사회의 사회적 이질성에 대비한 교회론의 정립 및 선교적 역할 file 이재용 2016-12-09 327
3092 논문신학성경 국악찬양, 어떻게 볼 것인가? 이재용 2016-12-09 354
3091 논문신학성경 속죄론의 발전과 현대적 의미 연구 이재용 2016-12-09 488
3090 순전한신앙이야기 교회에서 감사패와 공로패 증정은 불의한 일 황부일목사 2016-12-03 610
3089 더깊은신앙으로 지구별 마지막 전쟁 이현주 2016-11-30 195
3088 순전한신앙이야기 좁은 땅 좁은 마음들 황부일목사 2016-11-27 336
3087 순전한신앙이야기 성시화 운동은 기독교 이상주의 황부일목사 2016-11-07 288
3086 순전한신앙이야기 교회성장은 그리스도로 온전해져 감에 있다 황부일목사 2016-11-01 400
3085 순전한신앙이야기 《올바른 신앙의 뿌리를 찾아서》 황부일목사 2016-10-29 703
3084 더깊은신앙으로 이현주의 최후의 심판(5) 존경하는 재판장 각하! 이현주 2016-10-11 484
3083 논문신학성경 칭의를 주시는 분은 반드시 성화를 이루신다 운영자 2016-10-01 506
3082 순전한신앙이야기 인본적인 개혁주의와 복음적인 개혁주의 황부일목사 2016-09-30 447
3081 더깊은신앙으로 예수도 제자들을 편애하셨나? 이현주 2016-09-28 454
3080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박노자의 <대한민국 주식회사>로 본 박근혜 정권 file 김학현 목사 2016-09-24 473
3079 더깊은신앙으로 약은 청지기의 처세술 file 이현주 2016-09-18 625
3078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유시민의 글쓰기 이론 <공감필법> file 김학현 목사 2016-09-08 579
»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진중권의 새 인문학 패러다임 <테크노 인문학의 구상> file 김학현 목사 2016-09-06 527
3076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최병성 목사의 <길 위의 십자가> file 김학현 목사 2016-09-01 722
3075 순전한신앙이야기 "구원을 얻고 구원을 살아 가는 믿음에 대해" 황부일목사 2016-08-28 616
3074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강수돌의 착한 경제학 책 <지구를 구하는 소비> file 김학현 목사 2016-08-24 522
3073 순전한신앙이야기 이시대 우리들의 심각한 예배문제 황부일목사 2016-08-20 537
3072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정욱식의 실험 소설<말과 칼>통해 본 정권의 속내 file 김학현 목사 2016-08-06 411
3071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세월호로 조명한 한국사회, <가만히 있는 자들의 비극> file 김학현 목사 2016-08-03 448
3070 순전한신앙이야기 "우리교회인가? 주의교회인가?" 황부일목사 2016-08-02 530
3069 순전한신앙이야기 교회안에있는 불의한 사조직 황부일목사 2016-07-15 476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