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추수감사주일’ 이렇게 지킵시다.

최한주 목사............... 조회 수 995 추천 수 0 2016.11.24 22:32:03
.........

추수감사주일’ 이렇게 지킵시다.


추수감사절은 구약에서 수장절, 추수절로 가을에 곡식을 거둔 후 하나님께 감사의 제사를 드리는데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당시는 농경 문화였기에 곡식을 거두고 난 후에 드렸지만 오늘날에는 다양화된 사회에서 살기 때문에 그 정신을 따라 추수감사절을 지키면서 하나님의 은혜에 특별히 감사하는 절기다.

오늘날 11월에 추수감사절을 지키는 것은 미국을 개척한 청교도들로부터 시작되었다. 1620년 102명의 성도들이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신앙의 자유를 찾아 미국으로 건너갔다. 그 후세대들이 102명의 선진들을 기념하여 빌딩을 세웠는데 102층의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이다.

그들은 추위와 배고픔 속에 44명이나 죽음을 맞게 된다. 그 때 왐파노그라는 인디언 원주민들이 그들을 도와주었다. 정착할 수 있는 마을을 건설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백인들의 출현을 싫어하는 다른 인디언 부족의 공격에서 청교도인들을 지켜주었고, 옥수수 농사법까지 가르쳐 주었다. 1년 후에 청교도들은 추수기를 맞아 은인과 같은 왐파노그 인디언들을 초청해서 풍성한 잔치를 베풀었는데 이것이 오늘날 추수감사절의 유래가 되었다.

추수감사절(Thanksgiving Day)은 하나님을 향한 감사(Thanks)와 이웃을 향한 나눔(giving)이 감사절의 원리다. 그래서 지금도 감사절기가 되면 연약한 이웃을 초청하여 함께 식사를 하는 것이 청교도들의 전통이다. 구약성경에서도 추수할 때 이웃을 위해 이삭을 적당히 흘려두라고 하셨다.

그런데 그 후 청교도 후예들이 원주민 인디언 뿐 아니라 그들의 조상들에게 생명의 은인인 왐파노그 인디언까지 전멸시켰다. 정복하는 데 걸림돌이었기 때문이다. 10여 년 전부터 추수감사절이 되면 왐파노그를 자칭하는 인디언 엘스워드 오클리 씨가 수십 명의 인디언들을 인솔해서 플리므스에 나타나 조상들을 애도하는 추도회를 갖고 있다. 그들은 청교도의 후예들이 부를 누리며 축제를 행하는 추수감사절 날을 통곡의 날로 선포한 것이다.

추수감사주일은 그 주일에만 의미가 있는 게 아니다. 하나님께 감사하고 그 은혜를 이웃과 함께 나눌 때 진정한 의미를 갖는다. 예수님도 이웃을 생각지 않고 하나님께만 하면 다 되었다고 하는 “고르반 사상”을 경계하셨다. 우리의 추수감사절은 하나님 편에만 치우쳐진 축제가 아니어야 한다. 나는 은혜를 받아서 기뻐하며 축제를 갖지만 주위에 있는 고통하는 이웃을 외면한다면 그 축제는 허사가 될 것이다. 추수감사절의 본래의 의미대로 한국의 천만 성도들이 매 추수감사절에 어려운 한 사람의 이웃을 초청해서 교제를 갖는다면 수년이면 모든 백성들과 함께 갖는 추수감사절이 될 것이다. 추수감사절기의 참된 정신을 되살리자.

최한주 목사 <푸른숲교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1674 선한 일에 예비되는 일꾼 앤드류 2004-05-12 2548
31673 지속의 힘 김필곤 목사 2013-05-28 2547
31672 인생의 종착역 이후 김필곤 목사 2011-10-01 2547
31671 복음을 전하라는 영감 김학규 2011-04-14 2547
31670 빵 한 덩어리 한태완 목사 2011-02-21 2547
31669 어느 목사님의 회개 이정수 목사 2009-10-24 2547
31668 가장 중요했던 시험 문제 조안.C. 존스 2002-12-24 2547
31667 행복한 삶 김장환 목사 2014-09-04 2546
31666 Not for Self, 나 자신을 위해서가 아닌 김동현 목사 2011-11-11 2546
31665 책임전가 김장환 목사 2010-06-17 2546
31664 분명한 목표,좋은 꿈 홍일권 목사 2010-04-23 2546
31663 교회의 의미 신경하 2009-02-07 2546
31662 파스칼의 신앙관 [1] 이정수 2005-05-17 2546
31661 하나님 말씀을 가까이 하는 자가 복이 있다. 한태완 2018-06-04 2545
31660 십자가 묵상 이주연 목사 2012-09-06 2545
31659 믿는 자들의 표적 김장환 목사 2012-04-24 2545
31658 엔돌핀의 4천 배 김동현 목사 2011-12-06 2545
31657 오직 한 분을 ‘희망’으로 세우자 정영관 목사 2011-02-13 2545
31656 너는 나만 바라봐라 [1] 조신형목사 2010-12-25 2545
31655 축복의 명령 file 정승룡 2008-09-15 2545
31654 하나님을 아는 방법 무명 2006-02-11 2545
31653 액자 효과와 기독교 김필곤 목사 2012-02-29 2544
31652 기도냐? 의학이냐? 황성주 박사 2011-04-20 2544
31651 돌아가셨습니다” 할 때 천서희 2011-02-28 2544
31650 인생의 참 의미 설동욱 목사 2010-12-17 2544
31649 축복받은 속박 김장환 목사 2010-05-28 2544
31648 거룩한 삶 이광호 목사 2010-02-20 2544
31647 루디야드 키플링의 <IF> 이정수 목사 2009-12-19 2544
31646 인생길이 풀리지 않을 때 강준민 2005-09-13 2544
31645 건강한 가정 공수길 목사 2013-07-27 2543
31644 죽을 때와 살 때를 아는 지혜는 축복이다. 명성조은교회노보현목사 2012-07-13 2543
31643 매발톱의 새싹과 부활 file 김민수 목사 2012-02-13 2543
31642 잠언의 여성학 황성주 박사 2011-05-20 2543
31641 인생의 성공 방정식 설동욱 목사 2010-10-05 2543
31640 건강의 비결 김장환 목사 2010-06-27 2543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