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명설교 모음

택스트 설교

설교자'가 확실한 설교만 올릴 수 있습니다.

갑오개혁(1894년)과 기독교의 [주일]

갈라디아 허태수 목사............... 조회 수 226 추천 수 0 2016.12.09 00:00:35
.........
성경본문 : 갈2;11-21 
설교자 : 허태수 목사 
참고 : 2016.8.16 

갑오개혁(1894년)과 기독교의 [주일]
갈2;11-21

 2016년 현재 전 세계에 설치된 에어컨은 9억대 가량입니다. 2030년엔 16억 대가 되고, 2050년엔 25억대가 된답니다. 아시는 것처럼 에어컨이 기후변화를 일으키는데 크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크린썸머홀리데이’는 세상을 바꾸는 복음과 같다는 자부심을 갖으셔도 되겠습니다. 이 자부심으로 아침 일찍 일어나는 수고에 대한 보상이 되시기 바랍니다.

구약성서에는 두 개의 안식일 지침이 나옵니다. 하나는 출애굽기 20:8-12인데요.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라는 명령은 십계명에 안에 들어 있는 것이고, 출애굽기의 십계명을 ‘원 십계명’이라 부릅니다. 출애굽기가 말하는 ‘안식일 규범’을 보면 10절에 그 방법에 대해서 말합니다. 누구나 차별을 두지 말고 안식하라는 것입니다. 왜 그래야 하냐면 ‘하나님이 그러셨으니까’그래야 한다는 겁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안식일을 잘 지킨다는 것은 이것이었습니다. 무조건 토요일엔 창조주 하나님의 처신을 본받아 신분고하를 막론하고 일 하지 않는 겁니다. 아니 좀 더 적극적으로 짐승에게라도 일을 시키면 안 되는 것입니다. 이러면 안식을 잘 지키는 것입니다.

신명기 5:12-15에도 출애굽기와 같은 십계명의 틀 안에 안식일 규범이 등장합니다. 거룩하게 지킬 뿐만 아니라 힘써 지키라고 합니다. 어떻게 지키는가 하면 출애굽기와 마찬가지로 사람이나 짐승이나 이 날은 일시키지 말라는 것입니다. 주인이나 종이나, 사람이나 짐승이나 똑 같이 일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신명기에는 왜 그래야 하는 이유가 출애굽기와 다릅니다. 신명기의 사람들이 안식일을 지키는 이유는 ‘하나님의 창조’에서 비롯되는 게 아니라 ‘출애굽’에서 시작됩니다. 종살이하다가 자유를 얻어 애굽을 나온 것을 기억하며 안식일을 지키라고 하는 겁니다. 안식일을 지키는 방식은 다르지 않지만 그 이유가 달라졌죠?

유대인들에게 가장 큰 역사는 ‘창조’와 ‘출애굽’의 역사입니다. 안식일의 출발을 그래서 하나는 창조에 하나는 출애굽에 두었던 겁니다. 그러나 예수시대에 이르러서 유대인들은 이 안식일의 근거를 또 바꾸게 됩니다. 이제 이들은 지나간 역사적 사건에 안식일의 근거를 두지 않습니다. 그것은 ‘장차 오실 메시아’에 안식일의 근거를 설정하는 겁니다. 그것은 기억이 아니라 기다림이었습니다. 그게 신약시대의 유대인들이 믿었던 안식일 믿음입니다.

그래서 엣세네파 같은 경우는 자기의 재산을  팔아 공동체에 모두 바치고 자발적으로 ‘가난한 삶’을 선택합니다. 메시아를 기다리는 입장에서 이렇게 해야 옳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장차 올 메시아를 기다리는 사람은 자기의 재물을 붙들고 있을 수는 없는 겁니다. 예수님 시대의 유대인들이, 엣세네파가 안식을 잘 지키는 방법은 이런 것이었습니다. ‘가난한 삶’그게 곧 안식일을 잘 지키는 것이었죠. 그것이 진정 새로 오실 그이를 기다리는 자세였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가난한 자는 복이 있다’했습니다.

예수님도, 그의 제자들도, 예수님이 돌아가신 다음에도 주일이 아니라 안식일을 지켰습니다. 그러다가 서기 34년경에 헬라파 유대인이었던 스테판이 히브리파 유대인들의 배척에 의해 돌에 맞아 죽고 예루살렘의 있던 헬라파유대인들이 안디옥으로 건너갑니다. 안디옥 교회는 그렇게 덜 보수적인 이들에 의해 서기 35년경에 세워집니다. 덜 보수적이라는 말은 덜 유대적이라는 말이고, 이는 이방인에 사고에 대해, 이방인의 삶에 대해 너그럽다는 뜻입니다. 할례를 꼭 받지 않아도 되고, 음식을 가려먹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으로 비유대인에 대해서 관용적이었습니다. 바울도 회심 이후에 안디옥에서 이런 그의 새로운 신앙관으로 공동체를 바나바와 이끌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베드로가 안디옥에 왔을 때 이방인들과 함께 식사를 하는 자리가 있었는데, 이방인들과 밥을 같이 먹던 베드로가 예루살렘에서 누가 온다는 이야기를 듣고 급히 자리를 떠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이에 거부감을 갖게 된 바울은 안디옥을 떠나 고린도로 가서 교회를 세우게 되는데 이때가 서기 49년 무렵입니다. 이때까지 예수를 믿는 기독교 공동체라 할지라도 회당에서 안식일을 지키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안디옥 사건을 경험한 바울은 고린도 교회를 시작하면서 유대교와는 다른 몇 가지 운영체제를 정합니다. 그것이 세례와 성만찬 그리고 바로 주일입니다, 안식일을 주일로 바꾸는 겁니다. 이때 비로소 수 천 년 동안 유대인들이 지켜오던 안식일이 주일로 바뀌는 겁니다. 그러면 바울이 안식일을 주일로 날짜를 바꿀 때에 과연 그 주일의 의미는 뭐였을까요? 만약 에수시대의 유대인들처럼 ‘다시 오실 메시아’를 생각하고 주일을 만들고, 그 주일을 거룩하게 지켜야 한다고 생각했다면 모두들 주일을 거룩하게 지키기 위해 뭘 했어야 할까요? 그렇습니다. 재산을 팔아 공동체에 바치고 자발적인 가난을 선택해야 했을 겁니다. 물론 바울에게 메시아를 기다리는 마음이 없지는 않았겠지만 주일의 근거를 거기에 두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면 뭘까요? 유대인과 이방인 이라는 신분제의 폐지입니다. 남자나 여자나, 종이나 주인이다, 유대인이나 이방인이나 모두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는 신분제의 폐지 말입니다. 그러므로 오늘날 우리가 지키는 [주일]은 평등을 지향하는 가운데 실현되는 것입니다. 이게 오늘날 안식 즉 주일을 거룩하게 지키는 개념입니다.

우리나라는 근대에 이르기까지 신분제 사회였습니다. 양반과 상놈이 구별되고, 상놈은 양반에 의해 먹고 살고 죽고 사는 게 결정되었습니다. 그러다가 1894년 동학농민 운동이 일어납니다. 여러분이 잘 아는 흥선대원군이 등장하면서 개혁을 단행하는데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신분제 폐지]입니다 양반과 상놈의 차별이 사라지게 된 것입니다. 이는 주자학을 바탕으로 운영되던 사회체제가 실학으로 변환되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이스라엘의 신분제 폐지는 바울이 안디옥 교회를 나와 고린도교회를 세우면서 시작되었고, 대한민국의 신분제 폐지는 1894년의 갑오개혁과 더불어 출발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엊그제 우리나라의 교육 정책을 담당하는 고위공무원이 이렇게 말을 했다고 합니다. “요즘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출발이 다르다. 그러니 공부하고 돈 벌고 애쓴다고 어찌 같아지나? 잘난 사람은 잘나고 못난 사람은 영원히 못나게 되어 있으니 차라리 신분제를 공고히 하고, 잘난 사람들 1%가 개돼지 같은 99%의 백성들을 먹여 살리면 되지 않느냐. 지난 번 지하철 도어 스크린을 고치다가 열차에 치어 죽은 아이를 자꾸 내 아이처럼 생각하라는데 나는 내 아이처럼 생각이 안 든다. 자꾸 그걸 내 아이처럼 생각하란 말은 위선이다. 왜냐하면 내 아들은 절대로 태어나면서부터 스크린 도어나 고치는 그런 일은 하지 않을 테니 말이다.”

오늘 기독교인이 거룩하게 지키려는 안식 또는 [주일]은 과연 어디서 출발했습니까? 그러면 오늘날 우리는 주일의 본래 뜻을 이루어가고 있습니까? 고린도교회를 시작하며 안식일을 주일로 바꾸던 바울의 마음으로 돌아가 차별이 없는 평등한 세상, 차별을 음습하게 희망하고 있는 못된 자기욕망을 제어해야 합니다. 이래서 그리스도의 주일을 지키는 이들에겐 세상을 보는 통찰과 자기를 살피는 성찰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경본문 설교자 날짜 조회 수
13861 누가복음 성탄을 맞이하는 마음 (정신) 눅2:14-20  전원준 목사  2016-12-17 1539
13860 마태복음 하늘에서의 눈물 마1:18-25  강승호 목사  2016-12-15 605
13859 창세기 기다림에서 성취로! 창41:9-25  장하철 목사  2016-12-14 540
13858 예레미야 부르짖으라 렘33:3  강승호 목사  2016-12-14 371
13857 요한계시 재림하실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 계1:12-20  강종수 목사  2016-12-12 426
13856 마태복음 주 너희 하나님께 경배하고 다만 그를 섬기라. 마4:5-11  김경형 목사  2016-12-11 510
13855 마태복음 사람이 떡으로만 살 것이 아니라. 마4:1-4  김경형 목사  2016-12-11 1259
13854 요한계시 내 말을 지키며 계3:7-13  박상훈 목사  2016-12-10 303
13853 누가복음 자기가 나은 것을 보고 눅17:11-19  박상훈 목사  2016-12-10 420
13852 요한계시 계3:1∼6 죽은 자로다 계3:1-6  박상훈 목사  2016-12-10 370
13851 요한계시 여자 이세벨을 네가 용납함이니 계2:18-29  박상훈 목사  2016-12-10 385
13850 요한복음 그를 믿는 자마다 요3:16-21  박상훈 목사  2016-12-10 446
13849 요한계시 사탄의 권좌가 있는 데라 계2:12-17  박상훈 목사  2016-12-10 277
13848 요한계시 네가 죽도록 충성하라 계2:8-11  박상훈 목사  2016-12-10 791
13847 에배소서 자녀의 도리 엡6:1∼3  박상훈 목사  2016-12-10 553
13846 시편 밤에 찬양하자 시30:1-5  강승호 목사  2016-12-10 314
13845 마태복음 예수 그리스도의 세계를 이루자 마1:1-3  전원준 목사  2016-12-10 365
13844 이사야 메시야와 재림예수 사11:1-5  이상호 목사  2016-12-09 435
13843 이사야 성육신 - 사람이 되신 하나님 사7:14  이상호 목사  2016-12-09 659
13842 마태복음 하나님사랑 . 이웃사랑 마22:34-40  이상호 목사  2016-12-09 1104
13841 히브리서 감사의 제사 히13:15-16  이상호 목사  2016-12-09 767
13840 마태복음 자기(몫)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라. 마16:24-25  이상호 목사  2016-12-09 1337
13839 에배소서 효자는 반드시 복을 받습니다. 엡6:1-3  이상호 목사  2016-12-09 660
13838 마태복음 어린 아이 같이 살자 마18:1-6  이상호 목사  2016-12-09 645
13837 요한복음 십자가의 고난 요19:17-18  이상호 목사  2016-12-09 989
13836 창세기 문지방의 귀신을 조심하세요. 창4:6-7  허태수 목사  2016-12-09 417
13835 출애굽기 잠언의 방식으로 읽는 십계명 출20:8-17  허태수 목사  2016-12-09 404
13834 마태복음 뙤약볕과 소금 밭 마5:13-16  허태수 목사  2016-12-09 378
13833 요한복음 우리는 ‘나사렛 예수’를 믿는다. 요1:45-46  허태수 목사  2016-12-09 277
» 갈라디아 갑오개혁(1894년)과 기독교의 [주일] 갈2;11-21  허태수 목사  2016-12-09 226
13831 누가복음 저 따위 인간’과 ‘이 사람’ 눅18:9-14  허태수 목사  2016-12-09 293
13830 고린도전 사랑 밖에 난 몰라(I only know LOVE) 고전13:1-8  허태수 목사  2016-12-09 462
13829 빌립보서 성공이 아니라 성숙입니다. 빌3:12-15  허태수 목사  2016-12-09 540
13828 출애굽기 도적질하지 말라 출20:15  한태완 목사  2016-12-08 365
13827 마태복음 온유한 자의 복(2) 마5:5  김남준 목사  2016-12-08 338

설교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