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명설교 모음

택스트 설교

설교자'가 확실한 설교만 올릴 수 있습니다.

숭배자로서의 [예수]와 그냥 [예수]

마태복음 허태수 목사............... 조회 수 136 추천 수 0 2017.03.23 22:43:57
.........
성경본문 : 마21:7 
설교자 : 허태수 목사 
참고 : 2016.9.21 성암감리교회 

숭배자로서의 [예수]와 그냥 [예수]

마21:7


종교개혁 이전시대 즉 서기 400년에서 1500년대까지는 성서를 해석할 때 은유적인 해석법을 썼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겁니다.

 

성경에 선한 사마리아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잖아요. 그걸 이렇게 해석하는 겁니다. 강도를 만나 쓰러져 있는 사람은 죄의 결과로 죽어가는 인류다. 강도 만난 사람을 돌보아주는 선한 사마리아 사람은 당연히 예수님입니다. 그러면 사마리아 사람이 강도 만난 사람을 데리고 간 여관은 오늘날 뭐라고 할 수 있을까요? 그렇죠. 교회죠. 그러면 사마리아 사람이 여관주인에게 이 사람을 치료해 달라고 하면서 건넨 돈, 모자라면 더 주겠다고 한 걸 요즘으로 치면 뭘까요? 헌금입니다. 사마리아 사람이 다시 와서 하는 대목은 예수의 재림이라 말할 수도 있겠죠. 어때요? 이렇게 은유적으로 맞추어 보니까 나름 은혜가 되지 않습니까?

 

고대세계에서는 이와 같은 은유적인 해석을 통해서 당시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올바른 삶의 행위를 제시해주는 하나의 생활 교본과 같은 역할을 했습니다. 이렇게 성서를 대하면 매사에 삶을 성서에 갖다 맞춰야 하니까 율법적이게 되죠. 훗날 종교개혁을 하게 된 루터가 가장 고민하던 문제가 이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성서를 성서답게 하느냐는 것이었습니다. 사람들의 형편에 따라 이랬다저랬다 은유를 해 대지 않는 성서만의 교훈을 찾는 거 말입니다.

 

오늘 그래서 우리도 성서 본문 중에 은유로만 이해되는 본문 하나를 본래의 뜻이 뭔지를 찾아볼까 합니다.

 

예수님이 예루살렘으로 들어가실 때 카고 들어간 짐승이 나귀입니다. 우리는 이 나귀에 대해서, 왜 예수님이 그 많은 짐승 중에, 번듯하고 위용 있는 짐승을 놔두고 나귀를 타셨을까 생각을 하다가 얼른 이걸 윤리적으로 해석을 해 버렸습니다.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지만 낮은 자로 이 땅에 오셨기 때문에 이 나귀를 카는 장면은 필시 [겸손]을 뜻한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이 세상에 오실 때 구유로 오셔서 입성 하실 때 나귀를 타는 건 처음과 나중의 완성이라는 겁니다.

 

정말 그럴까요? 그런데 왜 요즘 목사들은 나귀 즉 겸손하게 뭔가를 타지 않고 비싸고 좋은 것들을 타려고 하는 걸까요? 엄청 이율배반적이죠? 나귀를 겸손으로 해석하는 건 이스라엘의 문화를 무시하고 접근하기 때문입니다. 징기스칸이 말을 타고 하루 20리를 달리며 유럽을 정복하던 사절이 서기1200년대입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이 오시기 전부터 이스라엘이나 고대 바벨론이나 슈메르에는 말이 등장하지 않습니다. 앗시리아 문헌에도 나오지 않습니다. 서기전 700년대엔 말입니다. 그러다가 이란의 아르메니아에서 말을 훈련시킨 기록들이 나옵니다.

 

이건 뭘 뜻하는가 하면 말은 사람이 안전하게 이용 할 만큼 훈련하기 어려웠다는 것이고, 말은 안전한 이동수단이 아니었다는 의미입니다. 혹시 여러분이 이스라엘이나 태국에 가서 코끼리나 낙타를 타 보신 분은 압니다. 보기보다는 그 높이가 주는 공포가 대단합니다. 물론 안전하기는 하지만 단순한 이동수단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 코끼리나 낙타보다 말은 어떻습니까. 더 순하지 않습니다. 야생성이 대단합니다. 요즘도 승마를 하는 이들 중에 간혹 말이 발광을 하는 중에 말 등에서 떨어져 크게 부상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기도 합니다. 그만큼 사람이 부리기에 위험한 동물입니다.

 

이스라엘을 둘러싼 주변의 오래 된 국들에서는 오래전부터 임금이나 사신이 타국을 방문할 때 나귀가 끄는 수레를 이용했다는 기록이 나옵니다. 서기전 1790년 경 앗시리아의 왕 샴쉬-아다드는 타국을 방문하다가 나귀를 발을 다치자 사신에게 “나귀 한 마리를 구할 수 있느냐?고 묻는 대목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 주변국가에서는 오래전부터 위엄하고 성질 사나운 말 대신에 고분고분한 나귀가 그는 안전한 수레를 이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요즘으로 치면 대통령 전용차량이 멋지게 생기고 빠르게 달리는 것인지 아니면 튼튼하고 안전한 차량인지를 생각하면 되겠지요. 시리아의 어느 신하가 왕에게 보낸 편지에는 이런 내용도 있습니다. “왕이시여! 왕가의 위엄을 지키십시오. 말 등에는 타지 마시고 노새가 그는 전차를 타세요.”

 

이렇게 성서의 대부분은 당시의 문화적인 배경을 그대로 반영한 것일 뿐, 단어 하나나, 사건 하나하나가 무슨 의미를 가지고 우리에게 교훈되는 건 아닙니다. 예수님이 겸손하시니까, 우리더러 너희도 겸손하라고 일부러 골라 골라 나귀를 탄 게 아닌 겁니다. 우리교회에 봉고차가 있어서 그냥 봉고차를 타는 것이지 무슨 의미나 해석을 가지고 타는 게 아니듯이 말이죠.

 

나귀는 하찮은 짐승이고 그래서 겸손을 의미한다는 해석은 지어낸 것입니다. 옛 부터 나귀는 전통과 위엄과 안전한 짐승이었습니다. 고대인들은 군마보다는 나귀가 메시아에게 더 적합하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겸손이 아니라 예루살렘으로 입성하는 메시아의 위용에 맞는 것이죠. 왕들이 다 그랬으니 까요. 예수님이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으로 들어간 것은 겸손이라는 은유보다는 그저 전승에 충실했던 것이고, 이것은 예수가 메시아(왕이나 임금 같은)라는 대중의 기대를 확인시켜 주는 것이었습니다.

 

지나치게 성서의 모든 부분을 예수숭배를 위한 언어로 이해하면 숭배의 대상이 되기 이전의 예수를 찾아내기가 어렵습니다. 예수를 예수로 알지 않고 숭배할 대상으로 예수를 이해하고 믿게 되면 인간의 현실적인 삶과 어긋납니다. 그러니까 믿는 것과 사는 게 따로따로가 된다고 이해하시면 되죠. 이 시대 기독교나 기독교인들의 숙제는 숭배의 대상으로 전착되어있는 예수를 본래의 예수로 읽고 해석하는 것입니다. 인간의 삶과 고통의 문제를 개인적이고도 사회구조적으로 접근하고 행동했던 예수를 찾아내고 그런 예수를 믿고 따르는 것입니다. 이것이 개개인의 좀 더 나은 삶의 구현이며 공동체의 실현이 되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경본문 설교자 날짜 조회 수
11098 갈라디아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 갈6:9  한태완 목사  2014-08-12 1756
11097 고린도전 어린아이의 일을 버릴 때 고전13:11  김남준 목사  2014-08-12 829
11096 사도행전 예수님 부활사건의 의미 행26:14-18  김남준 목사  2014-08-12 1016
11095 고린도후 십자가, 생명의 길 고후4:10  김남준 목사  2014-08-12 953
11094 고린도전 온전히 알게 되는 날에 고전13:9-10  김남준 목사  2014-08-12 565
11093 고린도전 온전한 것이 올 때에 고전13:9-10  김남준 목사  2014-08-12 784
11092 고린도전 떨어지지 않는 사랑 고전13:8  김남준 목사  2014-08-12 785
11091 베드로전 남편과 아내, 그리고 신앙 벧전3:1-7  김남준 목사  2014-08-12 803
11090 골로새서 아내와 남편 골3:18-19  김남준 목사  2014-08-12 634
11089 시편 여호와의 집에 심기라 시92:12-13  김남준 목사  2014-08-12 929
11088 골로새서 네 자녀를 노엽게 말라 골3:21  김남준 목사  2014-08-12 1106
11087 레위기 부모를 경외하라 레19:3  김남준 목사  2014-08-12 615
11086 마태복음 연약한 것을 담당하심 마8:16-17  김남준 목사  2014-08-12 836
11085 요한복음 주님 말씀하시면 요3:36  한태완 목사  2014-08-11 1443
11084 베드로전 영광의 관 벧전5:1-4  강승호 목사  2014-08-11 789
11083 디모데전 청지기의 소명과 충성 딤전1:12  한태완 목사  2014-08-11 1573
11082 빌립보서 염려를 해결하라 빌4:6-7  강종수 목사  2014-08-10 1212
11081 베드로전 가까이 왔으니 벧전4:7-11  강승호 목사  2014-08-09 1063
11080 창세기 꿈꾸는 자 창37:5-24  강승호 목사  2014-08-09 1075
11079 역대하 낮은 곳에서 최선을 다하라 대하31:21  한태완 목사  2014-08-09 1503
11078 시편 여호와를 기뻐하고 즐거워하라 시37:1-40  한태완 목사  2014-08-09 2090
11077 요나 말씀을 인격적으로 받고 있습니까? 욘1:1-10  김경형 목사  2014-08-08 1286
11076 느헤미야 하나님의 크신 은혜와 긍휼 느9:17-31  한태완 목사  2014-08-07 1804
11075 이사야 두 마음을 품지말자 사24:1-23  최장환 목사  2014-08-06 1994
11074 예레미야 아픔이 성공의 비결 렘25:1-14  최장환 목사  2014-08-06 1232
11073 요한계시 오직 하나님만 바라보십시오 계6:12-17  이한규 목사  2014-08-05 884
11072 요한계시 하나님 무서운 줄 아십시오 계6:12-17  이한규 목사  2014-08-05 785
11071 요한계시 기다림의 축복 계6:9-11  이한규 목사  2014-08-05 1004
11070 요한계시 끝까지 견디십시오 계6:7-8  이한규 목사  2014-08-05 724
11069 룻기 사랑의 4가지 정의 룻3:14-15  이한규 목사  2014-08-05 1152
11068 요한계시 성령 충만한 삶의 실체 계6:5-6  이한규 목사  2014-08-05 990
11067 요한계시 인생을 주관하시는 하나님 계6:3-4  이한규 목사  2014-08-05 881
11066 요한계시 거짓에 미혹되지 마십시오 계6:1-2  이한규 목사  2014-08-05 716
11065 요한계시 구원받은 삶의 6가지 증거 계5:11-14  이한규 목사  2014-08-05 1063
11064 베드로전 계속해서 자라 가십시오 벧전3:18  이한규 목사  2014-08-05 1127

설교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