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편하지만 외롭다...

경포호수가에서 피러한............... 조회 수 120 추천 수 0 2018.04.03 04:04:52
.........
출처 :  

20180424_184143.jpg
편하지만 외롭다


<미.우.새> 방송에서
주병진 집을 찾아 갔는데,
그 날 박수홍은
어릴 때부터 롤 모델이었던 주병진과의
만남에 들떠있었다.


박수홍은 가장 먼저
커다란 TV에 마음을 뺏겼고,
또 페도라 모자에 눈을 떼지 못했다.


주병진은 많은 싱글의 로망이라
불리 우지만,
정작 본인은 이에 다른 입장을
갖고 있었다.


한 층이 집 한 채로 살고 있지만,
그는 ‘진짜 따뜻한 집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가 생각하는 '진정한 집'은
살아있는
사람과 함께 사는 집이다.


그러면서 후배들에게
진심어린 조언의 말들을 늘어놓았다.


“내 전 재산을 다 주고라도
너희 나이로만 갈수 있다면 나는 가겠다.
가서 반드시 결혼할 것이다.”


혼자 사는 것은 편하지만
외롭더라는 것이다.


20180424_184150.jpg


주병진의 이런 생각은
우연한 계기를 통해서였다.


어느 날 뇌졸중 증세로 급히
응급실로 갔는데,
간호사가 보호자 연락처를 물었다.


‘보호자가 없다’라고 대답할 때,
새삼스럽게
그는 가족의 빈자리가
얼마나 컸는지를 깨달았다고 한다.


그 때 그는 "내가 이럴 때
부인이 옆에서 나를 돌봐주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를 생각해봤다.
나는 돈은 조금 있어도
부인이 없다는 것이 너무 슬펐다“고
털어놨다.


후배를 위한
걱정되는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그의 말 한마디는


그가 실제로
살아오면서 겪는 경험이라
돈으로 살 수 없는 소중한 금언이었다.


그들 뿐 아니라,
모두에게 적용되기에 듣는 이로 하여금
공감과 함께 많은 것을
일깨워 줬다.


20180424_184155.jpg

어느 순간
의식주가 해결된 이후엔
문화적 욕구와
명예욕까지 채워보지만,


이상하게도
고독과 외로움은
오히려 더 커져만 가며
또 다른 그리움만
쌓여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이란 말인가.


이제 면역력이 생길 때도
되었건만,


여전히 계절만 바뀌면
겉은 멀쩡한데
가슴은 시베리아 벌판처럼 싸늘하다.


어느덧
‘홀로’(alone),
‘외로이’(lonely),
그리고 ‘고독’(loneliness)이라는
세 단어가 이 시대에
어이없게도
가장 위력적인 의미로 자리 잡아
있었다.

20180424_184250.jpg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라는
어느 시처럼,
곁에 좋은 사람이 있어도
외로운 이유를
칼 로저스는 이렇게 말했다.


내 안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 줬을 때,
상대가 수용해 주지 않을까하는
두려움이
마음 문을 열지 못하게 하면서 외로움은
커져만 간다는 것이다.


자신은 솔직하게
다 보여주고 싶은데 오히려 상대가
내 약점을 평가하고
상처내지 않을까하는 두려움이
외로움 속에서도 가까이 가질 못하게
만들었다.


가까이 가고 싶어도
도무지 상대를 신뢰할 수 없기에
최소한의 관계 속에서만
가면을 쓴 채,


피상적인 만남을 갖다보니 마음은
공허하며
삶은 외로울 수밖에
없었다.

20180424_184202.jpg


"아프냐? 나도 아프다"
이 명대사는
‘내면아이’와 현재의 나와의 관계를
쉽게
설명하는 대목이다.


과거에 상처받은 아이가 지금도
내 안에 살고 있다.
그 애가 바로 ‘내면아이’다.


그 아이가 때때로
근심이나 열등감, 분노 그리고
죄책감에
빠지게 되면,


내 마음은 뒤죽박죽되면서
스스로 ‘쓸모없는 인생’,
‘실패자’로 느껴져 사람들과 거리를
두면서
외로움은 더 극에 달한다.


20180424_184208.jpg


그러나 그것은 거짓 메시지였다.
그는 속고 살았다.


인생은 외로울지라도
버림받은 존재가 아닌 것은
불행한 과거 자체가
‘자아’가 아니기에 그렇다.


누구라도
이 어둠에서 벗어나려면,


‘나는 어디에서 왔는가.’,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왜 나는 지금 이 곳에 있는가.’라는
인생의 본질적 질문에서
출발해야 한다.


1억 원 수표는
아무리 발로 밟고 침을 뱉어도 여전히
1억 원의 가치가 있다.


그렇다.
내가 설령 누군가에게 짓밟히고
버림받았다 해도,
그러한 아픔이나 과거 자체가
‘나’라는
존재 가치를 바꿀 수는 없다.

20180424_184214.jpg


분명 ‘소외’라는 정신적 질병은
고독과 외로움이라는
원초적 고통을 가져다준다.


하지만  외로움이
그렇다고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몸과 그림자는 하나이듯,
사람은 그러한 고통을 통해서
자신을 발견하는
통과 의례가 될 수도 있다.


어쩜 이 의식들을
제대로 지나가지 않으면,
일평생 두려움과 분노, 우울증이라는
거짓자아 앞에
무릎을 꿇게 될지도 모른다.


외로움은
본시 사람에 대한 잘못된 기대에서
시작되는 것이라고 누군가가
말했다.


외로움은 어쩜 이기적인 인생의
여정 속에서
당연한 과정일지도 모른다.

20180424_184222.jpg


본시 사람이니까
외롭다고 자위해보지만,
생각해 보면 외로움은
또 사람 때문에 생겨난 바이러스다.


외로움이
온 몸을 감쌀 때마다
사람에 대한 기대를 버리면 버릴수록
좋다.


흔히 정치권이
가장 무정하다고 말하지만,
세상이 다 무정하다.


인간은
철저히 이기적이고 무정하다.


사람은 의지하고
기대할 대상이 아니라,
사랑하고
용납할 대상임을 기억해야만 한다.


실망스러울 때마다,
홀로 있다는 느낌이 들 때마다,
모든 기대를 내려놔야만
외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20180424_184227.jpg


한국인이
머리가 아픈 가장 큰 원인은
생각과다에 있다.


두통이 올 땐 생각을 줄여야 하듯이,
외로울수록
자신을 묶고 있는 생각을 내려놔야 한다.


생각이 깊어질수록
좋은 것보다 나쁜 것이 더 많다.


자기 생각에 빠질수록
억울하고 비참하고 바보 같다는
생각 밖에 안 든다.


벨트마냥
허리를 두르고 있던 뱃살도
살포시 내려놓아야 한다.


뱀처럼
머리를 감싸고 있는 기막힌 생각들을
내려놔야만
외로움에서 벗어나
일상의 행복이 가슴에 새겨진다.


20180424_184233.jpg

나이가 들수록 꿈은 있지만,
욕심은 내려놔야
우울하지 않고 외로워도 견딜 수 있다.


내 안의 욕심을 비운만큼
이웃이 들어온다.


부버의 <나와 너>에서 말하듯,
‘나와 너’는
인격적 만남이 되어야 함에도,


 ‘나와 그것’처럼
물질적 관계가 되어가기에 관계는
병과 상처를 안겨준다.


문제는
이 두 관계 형성에 따라 삶의 양상이
달라진다.


부버는
더불어 살아가는 인격적인 관계형성을
통해서만
참다운 인생으로 살아갈 수 있다고
역설했다.


나도 외롭고 약하지만,
나보다 더 외로운 소외된 이웃과
함께해야만,


<나와 그것>이 <나와 그>가 되므로,
인생의 멋과 맛을 알고,
외로움 속에
사랑이라는 새순이 돋아
‘소외’라는 자아를 벗어나 눈을 떠도
두렵지 않는 삶이 된다.

20180424_184243.jpg
◆2018 필리핀 망양족 봉사 안내◆
[여길] 클릭하시면 자세히 보실 수~~^^
-2018. 4. 23(월)-28(토)
-후원 방법 [여기 클릭]~~

2018년 4월 1일 강릉에서 피러한(한억만) 올립니다.


사진허락작가:하누리님, 우기자님, 이요셉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08 수도관상피정 봉쇄 수도원 개원을 앞두고(7) 수도의 길 당당뉴스 2018-08-28 178
3207 수도관상피정 봉쇄 수도원 개원을 앞두고(6) 타 종교 수도원 당당뉴스 2018-08-27 221
3206 수도관상피정 봉쇄 수도원 개원을 앞두고(5) 한국 토속 수도사 당당뉴스 2018-08-22 222
3205 목회독서교육 소비자 취향 저격하자 골목서점이 돌아왔다 file 중앙일보 2018-08-08 91
3204 경포호수가에서 양 한 마리, 양 두 마리... file 피러한 2018-08-08 107
3203 순전한신앙이야기 기독교 기복주의와 이상주의 황부일 2018-08-05 146
3202 경포호수가에서 중간이 없다 file 피러한 2018-07-19 145
3201 수도관상피정 봉쇄 수도원 개원을 앞두고(3) 수도학교 창립 당당뉴스 2018-07-06 415
3200 수도관상피정 봉쇄 수도원 개원을 앞두고(2) 이스라엘 수도원 방문 당당뉴스 2018-07-04 244
3199 순전한신앙이야기 신앙은 이데올로기가 아니다! 황부일 2018-07-03 126
3198 수도관상피정 봉쇄 수도원 개원을 앞두고(1) 봉쇄 수도원을 세워라. 당당뉴스 2018-07-02 282
3197 수도관상피정 이스라엘 수도원을 찾아서(5)게라시모스 수도원, 세례 요한 빈들 수도원 당당뉴스 2018-07-02 270
3196 순전한신앙이야기 그리스도의 옷은 벗고 세상 옷을 입는 현대 교회들 황부일 2018-06-19 251
3195 수도관상피정 이스라엘 수도원을 찾아서(4)유티미우스 수도원, 네게브 사막 수도원 당당뉴스 2018-06-14 531
3194 수도관상피정 이스라엘 수도원을 찾아서(3)야곱의 우물 수도원, 가르멜 갈멜산 수녀원 당당뉴스 2018-06-06 594
3193 수도관상피정 이스라엘 수도원을 찾아서(2) 성묘교회, 성조지 수도원 당당뉴스 2018-06-05 240
3192 순전한신앙이야기 목회사역에도 영전(榮典)이 있는가? 황부일 2018-06-03 142
3191 순전한신앙이야기 견생과 인생 file 황부일 2018-06-03 157
3190 수도관상피정 이스라엘 수도원을 찾아서 (1) 채리톤 수도원과 마르사바 수도원 당당뉴스 2018-05-29 268
3189 순전한신앙이야기 예배에는 이런 은혜가 있다 황부일 2018-05-28 207
3188 경포호수가에서 무엇을 남길 것인가... 피러한 2018-05-18 208
3187 사회역사경제 밀양에 나타난 기독교 file 김영한 교수 2018-05-10 270
3186 순전한신앙이야기 교회에서 어린이 주일 어버이 주일은 없어야 한다 황부일 2018-05-06 242
3185 선교화제현장 [기획4] 카페 교회 꿈꾸는 목회자를 위한 3가지 조언 file 뉴스엔죠이 2018-05-02 200
3184 선교화제현장 [기획3] 카페 교회 1년 만에 문 닫은 까닭 file 뉴스엔죠이 2018-04-30 178
3183 선교화제현장 [기획2] 카페 교회 1세대 목사들의 생존법 file 뉴스엔죠이 2018-04-29 199
3182 순전한신앙이야기 교회는 세상의 희망도 변화도 아니다 [1] 황부일 2018-04-28 262
3181 인기감동기타 ⑫빛으로 산다는 것 김남준 목사 2018-04-26 237
3180 인기감동기타 ⑪목사는 학문인이어야 한다 김남준 목사 2018-04-24 127
3179 경포호수가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 file 피러한 2018-04-21 180
3178 더깊은신앙으로 [이지현의 두글자-옹근] 비우면 채워주시니 온전하지 않겠는가 최용우 2018-04-19 272
3177 순전한신앙이야기 대체적으로 교인들은 잘못된 가르침을 더 좋아한다 황부일 2018-04-18 206
3176 선교화제현장 [기획1] '카페 교회'를 아십니까? file 뉴스엔죠이 2018-04-17 161
3175 인기감동기타 ⑩현대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김남준 목사 2018-04-16 138
» 경포호수가에서 편하지만 외롭다... file 피러한 2018-04-03 120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