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무엇을 남길 것인가...

경포호수가에서 피러한............... 조회 수 208 추천 수 0 2018.05.18 15:53:51
.........
출처 :  
988648444_LpUczMSh_R1280x05B45D.jpg무엇을 남길 것인가 필리핀 봉사 중에 하루는 현지 투어를 한다. 이번에는 ‘APO REEF 국립공원’을 다녀왔다. 아포리프 섬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산호 군락지며, 수중환경이 뛰어나 스쿠버 다이빙을 안 해도 스노쿨링만 갖고도 거북이나 상어를 볼 수 있을 만큼 해양생물이 다양하고 풍부한 곳으로 유명하다. 우리 일행은 섬을 한 바퀴 둘러본 후, 점심식사를 하는데 국립공원 본 캠프건물 벽에 이런 글귀가 보였다. ‘Take Nothing but Pictures Bring Nothing but Memories Kill Nothing but Time Leave Nothing but Footprints‘ ‘사진 외에는 어떤 것도 가져가지 마시오. 기억 외에는 어떤 것도 갖고 오지 마시오. 시간 외에는 어떤 것도 죽이지 마시오. 발자국 외에는 어떤 것도 남기지 마시오.’ DSC_2506.JPG 나는 밥 먹다 말고 그 액자를 바로 사진에 담아 두었다. 원래 이 문구는 네팔 어느 마을 어귀에 쓰여 있던 글귀라는 것을 나중에 알게 되었다. 물론 글의 전체 개념은 자연을 존중하고 자연에 대한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좋은 추억만 남기고 다른 것은 가져가지도 말고 놓고 가지도 말라는 것이다. 필리핀 정부에서도 ‘아포리프’를 보전하기 위해 1년 중 3개월만 입장을 허락한다. 그 기간 중에도 입장객 수까지 제한하면서 자연을 보존하려고 나름대로 애를 쓰고 있다. 하지만 무인도인 이 국립공원 섬을 운영하기 위한 인력들과 함께 관광객들이 숙식하면서 파생되는 어쩔 수 없는 환경적 피해들을 생각해 봤다. images?q=tbn:ANd9GcT40qrPcQJi8u0A4qno2_y 오지여행가로 유명한 한비야 씨는 불편함은 물론이요 위험까지 감수하면서도 오지 여행을 고집하는 것은 ‘오지는 문명에 찌들지 않은 현지인들의 꾸밈없는 삶을 보고 느낄 수 있어서’라고 했다. 졸지에 오지여행 전도사가 된 그녀 덕분에 관련 TV프로그램과 서적 출간이 늘어나면서 일반인까지 오지여행에 관심이 부쩍 늘고 있다. 하지만 더 변하기 전에 더 망가지기 전에 갔다 와야 한다는 강박들이 방문하려는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새로운 문제들이 도출되고 있다. 짐작할 수 있는 일이지만 여행을 하면서 더불어 자연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현실 앞에서 우리는 다시금 참된 여행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캄보디아 앙코르와트도 유적보호를 위해 수년간 잠정폐쇄한다는 소문도 나돌았지만, 관광수입이라는 현실적인 벽에 부딪쳐 유야무야된 상태다. 2014-07-29%2B16.38.30.jpg 이런 상황 속에서 ‘사진 외에는 아무 것도 가져가지 마시오. 발자국 외에는 아무 것도 남기지 마시오.’라는 경고성 표구를 어찌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려보낼 수 있겠는가. 하지만 나는 이러한 자연보호 표구를 보는 순간 처음 의도와 다르게 인생과 결부시키면서 다르게 해석해 보았다. 인생이란 사진 곧 ‘좋은 추억’ 외에는 죽을 때 가져가서는 안 된다. 아니 사실 갖고 갈 수도 없다. 사진과 발자국에는 ‘좋은 추억’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우리가 눈을 감을 때 가져가야하고 가져갈 수 있는 것은 재물이나 명예가 아니라 바로 ‘좋은 추억’이다. 2005-03-05-18-21-49-171-1.jpg?fit=2100%2 인생이란 추억만 남기고 가는 것이다. 행복이란 좋은 기억이 많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어리석은 인간은 엉뚱한 것만 남기려고 한다. 명승고적을 찾아가면 무엇인가 남기고 싶은 인간의 심성을 쉽게 볼 수 있다. 부자들은 돈을 남기고 싶어 하고, 정치인들은 자신의 이름을 남기려고 얼굴에 철판을 깔고 살아간다. 물론 사람은 취향에 따라 중독자처럼 욕망의 늪에 빠져있는 분야가 다르다. 그 중에서 가장 가치 있다고 여기는 것은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아직도 로댕의 조각은 남았다. 미켈란젤로 그림도 남았다. 물론 추사 김정희 글씨도 남아 있다. 인생은 가도 예술은 남는다. 하지만 예술은 가도 사랑은 남는다. 사랑의 중심엔 기억과 추억이 있다. 2359163C5719927318DA28 <8 월의 크리스마스>에서 시한부 삶을 살고 있는 남자에게 그녀는 소나기처럼 찾아왔다. 남자는 만남이 더할수록 자신은 왜 죽어야 하는지 고통스러웠다. 뜨거운 사랑을 가슴에 묻고 떠나야 하는 남자는 과연 행복했을까. 하지만 적어도 그의 외로움, 두려움, 고통, 분노 등은 선물처럼 주어진 사랑을 가슴에 품을 수 있었다는 것이 천만 다행으로 여겨졌다. 나는 배경은 여름인데 왜 크리스마스라고 이름 붙였을까 궁금했는데 영화를 보면서 곧 이해가 되었다. 세상은 시한부 인생처럼 내가 어찌할 수 없는 다양한 인생의 비가 내리지만 크리스마스라는 가장 감성적인 계절에 죽어야 한다. 그럼에도 정원은 비록 ‘썸’단계에 머물다가 갔지만, 눈을 감을 때 다림과의 기억과 추억이 큰 위로가 되었다고 여기기에 영화는 덤덤한데도 눈물을 흐르게 했다. DSC_1722-0.jpg 눈물겹도록 미친 사랑을 하든 아니면 무인도에 혼자 사는 것처럼 외롭게 살았든 모든 인생은 어느 날 문득 삶의 모든 짐을 내려놓고 육신은 땅에 묻혀야만 한다. 산다는 것은 사전 예행연습 없이 혼자 있다가 어느 덧 둘이 있다가 여러 명이 함께 인생 여행을 해보지만, 마지막에는 결국 혼자 남는 것이 인생여행이다. ‘그 때 잘했어!’, ‘그건 아무리 생각해도 아니었어!’ 나이가 들수록 지나간 추억을 더듬으면서 이런 독백 속에 웃고 울면서 서서히 마지막 순간을 생각하며 대비한다. 2532624252708948258328 크리스마스이브 날, 다림이 초조한 얼굴로 사진관을 찾아온다. 문 닫힌 사진관 안에는 이 세상에서 가장 밝게 웃고 있는 그녀의 사진이 액자에 넣어져 걸려 있었다. 그래 인생은 ‘8월’에는 많은 비가 옴에도 사랑이 있었고, ‘크리스마스’라는 가장 감미로움 속에 죽음이 있다. 그 죽음 앞에 다림의 사진처럼 가장 환하고 행복하게 웃으려면, <아포로 리프 공원> 격언처럼 그나마 최선은 지워지지 않을 단 한 번 추억여행에서 아무 것도 가져가지 않고, 아무 것도 남기지 않는 것이다. 오로지 좋은 기억만 갖고 가자. 오로지 좋은 추억만 남겨놓자. 그러기 위해서 내 이웃에게 어떻게 해야 할지 내 인생에게 무엇을 해야 할지를 날마다 고민하고 남은 시간은 오직 그 일을 위해 살고 싶다. 2018년 5월 18일 강릉에서 피러한(한억만) 드립니다. footprints.jpg사진허락작가:하누리님, 우기자님, 이요셉님
^경포호수^maxresdefault.jpg <embed allowscriptaccess="never" height=0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width=0 src=http://cfile9.uf.tistory.com/media/13726A3E4E014EA4159611 allownetworking="internal" wmode="transparent"/>
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08 수도관상피정 봉쇄 수도원 개원을 앞두고(7) 수도의 길 당당뉴스 2018-08-28 178
3207 수도관상피정 봉쇄 수도원 개원을 앞두고(6) 타 종교 수도원 당당뉴스 2018-08-27 221
3206 수도관상피정 봉쇄 수도원 개원을 앞두고(5) 한국 토속 수도사 당당뉴스 2018-08-22 222
3205 목회독서교육 소비자 취향 저격하자 골목서점이 돌아왔다 file 중앙일보 2018-08-08 91
3204 경포호수가에서 양 한 마리, 양 두 마리... file 피러한 2018-08-08 107
3203 순전한신앙이야기 기독교 기복주의와 이상주의 황부일 2018-08-05 146
3202 경포호수가에서 중간이 없다 file 피러한 2018-07-19 145
3201 수도관상피정 봉쇄 수도원 개원을 앞두고(3) 수도학교 창립 당당뉴스 2018-07-06 415
3200 수도관상피정 봉쇄 수도원 개원을 앞두고(2) 이스라엘 수도원 방문 당당뉴스 2018-07-04 244
3199 순전한신앙이야기 신앙은 이데올로기가 아니다! 황부일 2018-07-03 126
3198 수도관상피정 봉쇄 수도원 개원을 앞두고(1) 봉쇄 수도원을 세워라. 당당뉴스 2018-07-02 282
3197 수도관상피정 이스라엘 수도원을 찾아서(5)게라시모스 수도원, 세례 요한 빈들 수도원 당당뉴스 2018-07-02 270
3196 순전한신앙이야기 그리스도의 옷은 벗고 세상 옷을 입는 현대 교회들 황부일 2018-06-19 251
3195 수도관상피정 이스라엘 수도원을 찾아서(4)유티미우스 수도원, 네게브 사막 수도원 당당뉴스 2018-06-14 531
3194 수도관상피정 이스라엘 수도원을 찾아서(3)야곱의 우물 수도원, 가르멜 갈멜산 수녀원 당당뉴스 2018-06-06 594
3193 수도관상피정 이스라엘 수도원을 찾아서(2) 성묘교회, 성조지 수도원 당당뉴스 2018-06-05 240
3192 순전한신앙이야기 목회사역에도 영전(榮典)이 있는가? 황부일 2018-06-03 142
3191 순전한신앙이야기 견생과 인생 file 황부일 2018-06-03 157
3190 수도관상피정 이스라엘 수도원을 찾아서 (1) 채리톤 수도원과 마르사바 수도원 당당뉴스 2018-05-29 268
3189 순전한신앙이야기 예배에는 이런 은혜가 있다 황부일 2018-05-28 207
» 경포호수가에서 무엇을 남길 것인가... 피러한 2018-05-18 208
3187 사회역사경제 밀양에 나타난 기독교 file 김영한 교수 2018-05-10 270
3186 순전한신앙이야기 교회에서 어린이 주일 어버이 주일은 없어야 한다 황부일 2018-05-06 242
3185 선교화제현장 [기획4] 카페 교회 꿈꾸는 목회자를 위한 3가지 조언 file 뉴스엔죠이 2018-05-02 200
3184 선교화제현장 [기획3] 카페 교회 1년 만에 문 닫은 까닭 file 뉴스엔죠이 2018-04-30 178
3183 선교화제현장 [기획2] 카페 교회 1세대 목사들의 생존법 file 뉴스엔죠이 2018-04-29 199
3182 순전한신앙이야기 교회는 세상의 희망도 변화도 아니다 [1] 황부일 2018-04-28 262
3181 인기감동기타 ⑫빛으로 산다는 것 김남준 목사 2018-04-26 237
3180 인기감동기타 ⑪목사는 학문인이어야 한다 김남준 목사 2018-04-24 127
3179 경포호수가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 file 피러한 2018-04-21 180
3178 더깊은신앙으로 [이지현의 두글자-옹근] 비우면 채워주시니 온전하지 않겠는가 최용우 2018-04-19 272
3177 순전한신앙이야기 대체적으로 교인들은 잘못된 가르침을 더 좋아한다 황부일 2018-04-18 206
3176 선교화제현장 [기획1] '카페 교회'를 아십니까? file 뉴스엔죠이 2018-04-17 161
3175 인기감동기타 ⑩현대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김남준 목사 2018-04-16 138
3174 경포호수가에서 편하지만 외롭다... file 피러한 2018-04-03 120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