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명설교 모음

택스트 설교

설교자'가 확실한 설교만 올릴 수 있습니다.

저항과 변화의 신호탄으로서의 [믿음]

로마서 허태수 목사............... 조회 수 156 추천 수 0 2018.12.13 23:27:27
.........
성경본문 : 롬1:17 
설교자 : 허태수 목사 
참고 : 2018-04-16성암감리교회 http://sungamch.net 

저항과 변화의 신호탄으로서의 [믿음]

롬1:17

 

믿음이란 말은 종교개혁 이전에는 없던 말입니다. 그 때는 믿는 게 아니라 교회가 정해 놓은 규칙을 잘 따르면 되는 시대였습니다. 그러니 당연히 ‘예수를 믿어야 구원을 받는다’는 말도 있지 않았습니다. 루터 이전에는 교회나 교황 등의 외형적인 상징이나 표지로 구원을 얻는다고 했습니다. 그러다가 마틴 루터가 롬1장 17절의 성서 구절을 통해 회심을 얻었다고 하면서 당시의 신앙 체계에 반기를 들고 뛰쳐나오면서부터 ‘믿음’이라는 언어가 통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 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

 

루터는 그리스도교의 종교적 핵심 곧 구원론을 교회나 교황 등의 외형적인 상징이나 표지로 획득할 수 있다고 믿지 않았고, 신도 개인이 가지는 그 ‘믿음’이 그리스도교 구원의 핵심이라 설파했던 겁니다. 그러면 왜 신부가 아닌 일반 교우들은 이걸 몰랐느냐? 대다수가 문맹자들인데다가 라틴어로 된 성경은 신부만 읽을 수 있었으니까요. 교인들은 그냥 귀와 헌금 주머니만 들고 다니면 되던 때였습니다. 루터는 당시의 모진 괴롭힘과 박해를 뚫고 이 ‘오직 믿음(Sola Fide)’을 앞세운 이신칭의의 주장을 사수하여 프로테스탄트 혁명의 선두에 섰고 지금의 개신교 계통의 우두머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데, 예수의 후예들은 예수가 행했던 실천과 선언들, 곧 역동적이고 ‘운동성’이 담긴 입체적인 ‘사건’으로서의 ‘예수’를 버리고, 안온한 의자에 앉아 사건성이 제거된 예수를 ‘숭배’만 하고 그 숭배의 파토스(열정)를 악용해 예수라는 브랜드의 장사치들로 변질되었습니다. 루터와 그의 후예들이 루터가 당시에 ‘믿음’이라는 단어를 부여잡았던 저항의 정신과 당시 개혁운동의 사건 성을 쏙 빼버리고 ‘믿음’ 이라는 단어 쭉정이를 숭배하며, 나아가 믿음이라는 이름의 ‘왕국’을 세워 루터와 개혁가들의 이름을 팔며 장사를 서슴치 않고 있습니다.

 

지난 해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루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출간된 책 ‘루터의 재발견’에서 저자인 최주훈 목사(중앙루터교회)는 루터파 등 일단의 개신교 진영이라고 불리는 무리들이 들고 일어난 개혁과 혁명의 기치를 높이든 16세기 당시의 상황을 설명하면서 그들의 특징을 설명합니다.

 

1520년 루터는 로마 교회로부터 파문 교서를 받고 이듬해 보름스 제국의회(1521)에서 실질적 제재 조치인 제국 추방령을 선고 받는다. (…) 당시 유럽은 오스만 튀르크 족의 유럽 침입으로 기독교 세계가 위기에 봉착한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에 로마 교황청은 모든 제후들의 힘을 빌려 이슬람에 대항하는 정치적 연합을 모색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1526년 6월 25일 제 1차 슈파이어 제국의회에서 ‘지역의 종교는 그 지역의 통치자의 종교로 한다’는 종교 선택의 원칙을 결의하게 된다. 이 결의의 이면에는 보름스 제국의회(1521)에서의 루터에 대한 판결을 덮어 두겠다는 정치적 합의가 숨겨 있었다. 그러나 3년이 지나 이슬람 군대가 퇴각함에 따라 국제 정치 지형도가 급변하고 이슬람의 위협이 사라지자, 황제는 곧바로 개신교의 확산을 막기 위해 1529년 4월 19일 제2차 슈파이어 제국의회를 소집하게 된다. 이 회의가 열리기 직전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칼 5세는 모든 루터파 제후들에게 경고장을 발송한다. 루터파를 떠나 모교회 품으로 돌아오라고 권고하면서, 그렇게 하지 않으면 불과 검이 루터파 제후와 영주들을 찾아갈 것이라고 경고장을 발송한다.

 

이러한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루터와 루터파 제후들이 선택한 것은 항복이 아니었습니다. 아무리 뒤져 보아도 성서에 그렇게 적혀 있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수많은 회유와 갖가지 협박에도 그는 자신의 생각을 고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그가 ‘읽어버리고 만 성서’, 그러나 보통의 사람들에게는 읽을 수도 없고 해석할 수도 없게 라틴어로 쓰여 있는 그 성서 거기에는 당시 기독교 세계가 말하고 있던 셀 수도 없이 많은 그 종교적 장치들이 나와 있지 않았기 때문이었어요. 특히 루터는 수도사 생활을 하는 동안 참회와 형벌의 문제를 고민하였는데, 교회가 오랜 기간 동안 제작해 놓은 구체적이고 세밀한 ‘생명-정치’ 시스템, 그리고 그것을 통해 사람들의 삶을 뼛속 깊이 착취하는 행태는 성서의 이야기들과 전혀 부합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성서를 다시 읽었습니다. 최후의 심판과 구원의 주체는 사람이나 교회에 있지 않고 오직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읽고 말았습니다. 그리곤 그것에 올라타 소용돌이 속으로 기꺼이 휘말려 들어갔습니다.

 

그 후 루터와 믿음의 동지들은 누구도 신앙을 강요할 수 없다는 ‘신앙의 자유’, 교회 공의회나 사제의 권위보다 높은 ‘성서의 권위’, 성서는 성서 자체가 해석한다는 ‘성서 해석의 원리’, 이 원리들을 붙잡고 계속해서 자신의 고백의 길을 이어갔습니다. 무려 1천 여 년 가까이 이어온 역사의 전통과 관습도 성서에서 비롯된 그의 ‘믿음’보다 상위의 것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그의 ‘믿음’은 저항하는 믿음이었고, 좋은 게 좋은 것, 하던 대로 하면 되는 것이란 주장에 ‘아니오’라고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그가 말하는 ‘믿음’은 십계명의 제 1계명이 천명하는 것처럼 하나님 외에 다른 것을 의지하고 지탱하려고 하는 마음을 버리는 것, 즉 ‘오직(Sola)’이라는 태도로만 성립하는 것이었습니다. 개신교 신학의 다섯 가지 표제어인 ‘5대 솔라Sola’, Sola Scriptura 오직 성서, Sola Fide 오직 믿음, Sola Gratia 오직 은총, Sola Christus 오직 그리스도, Soli Deo Gloria 오직 하나님께 영광은 단독적인 것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강조를 뜻하며, 중세 로마 가톨릭 신학에 대한 반대 표제어라 할 수 있었습니다. 루터가 주창한 ‘오직’과 ‘믿음’의 결합이란 신자들의 믿음의 대상을 교회 기득권층 마음대로 지정하고 조작하던 것에 질문하고 반대하는 ‘믿음’이었던 것입니다. 번잡스럽게 헌금함을 채워야 연옥을 면하는 것도 아니고, 성찰, 통회, 정개, 고백, 사죄, 보속 이 여섯 단계로 이루어진 고해성사 ‘절차’ 또한 성서가 말하는 믿음이 아니었습니다. 믿음의 목적어들, 곧 믿음의 대상을 요리조리 자기 입맛에 맞게 귀에 걸고 코에 걸었던 관행을 정지시키고 오직 믿음 그 자체를 통해 구원으로 향할 수 있다고 주장한 것입니다. 즉, ‘비어 있는 것’으로서 믿음, 곧 다른 것 아닌 ‘오직 믿음 그 자체’라는 사실에 루터와 프로테스탄트는 주목했던 것입니다. 이제 루터 이후로는 믿음과 대상이 분리된 상태, 곧 주술적인 행위로서의 믿음에서 ‘믿는다’는 행위 자체로 시선을 돌릴 수밖에 없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 시대에서 ‘믿음’은 어떤 식으로 해석되고 있을까요? 새로운 저항과 변화의 신호탄으로서 믿음을 읽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성공회 신학자이며, 예수 세미나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역사적 예수’ 연구로 잘 알려진 마커스 보그(Marcus J. Borg)는 이 시대에 잃어버린 신앙 언어들의 역사적 연원을 살피면서 동시에 그 언어들이 지금 어떻게 우리 시대에 다시 새로운 의미로 새겨져야 할지를 설명하는 책 ‘그리스도교 신앙을 말하다 – 왜 신앙의 언어는 그 힘을 잃었는가?’를 썼습니다. 이 책 ‘믿음과 신앙’이라는 제목의 장에서 보그는 ‘믿음(Faith)’에 대한 여러 가지 사전적 정의를 설명하며 이들 간에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믿는다는 것은 확실성의 정도는 다르지만 무엇인가를 믿는다는 것, 어떤 진술을 믿는다는 것으로 정의되며, 실제로 믿는다는 것은 어느 정도 불확실성을 전제한다. 불확실성이 없다면 ‘믿다’가 아니라 ‘안다’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렇습니다. 굳이 보그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우리는 대체로 ‘믿는다’고 말할 때는 모두에게 자명하고 객관적인 사실에 대해서 믿는다고 하지 않습니다. 불확실한 것, 어느 정도 ‘가능성’으로 존재하는 그것을 거짓이 아니라 ‘참’으로 받아들이고, 진실로 받아들이고자 ‘결단’하는 그 행위를 ‘믿는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그 사실이 확률로 존재하고, 가능성으로만 존재하기에 ‘그렇다/아니다’라고 단정짓기 모호한 것들에 단호히 선을 ‘그어버림’으로써 그것에 형태를 주고, 형체로서 드러내는 일, 그것을 우리는 ‘믿는다’고 표현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믿는 기독교 신앙이란 ‘하나님에 대한 충절로서의 신앙, 하나님을 더욱더 중심에 두는 삶의 결실’이며, 특히 ‘하나님의 부력(浮力, buoyancy)을 믿고 의지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그는 이야기합니다. 이어서 보그는 이 ‘믿다’라는 동사는 신뢰하다(Believe in)라는 말의 의미와 가까우며, 이는 단순히 어떤 진술이나 누군가의 말을 진실이라고 받아들이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소중히 여기고 사랑한다는 의미에까지 다다르는 것이라고 설명하죠.

 

다시 말해, ‘부력을 의지하는 믿음’이란 이렇게 표현할 수도 있겠습니다. 마태복음서 14장에서 풍랑 속에 베드로에게 다가가 “믿음이 적은 사람아, 왜 의심하였느냐?”라고 말했을 때처럼 부력을 의지하여 바람을 보고 무서워하지 않고(마 14:30), 이 액체와 같은 세상의 바다 위를 뚜벅뚜벅 걸어가는 것, 발을 내딛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예수가 베드로에게 요구한 믿음이란 예수라는 것을 바라보고 그 사잇길이 어떠하든지, 무엇을 만나든지 ‘걸어오는 동작’을 멈춰서버리지 않는 것, 동작을 이어나가고 계속하기를 견뎌내는 것, 그 동작, 계속 움직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믿음은 어떤 거대하고 강건하여 유동하지 않는 단단한 그것을 부여잡아 이리저리 흔들리지 않는 명사적인 것으로서의 ‘상태’를 말하지 않습니다. 믿음이 목적어로 취하고 있는 그 부여잡은 대상들, ‘물(物)’을 믿음과 일치시키는 것은 더더욱 아닙니다. ‘믿음’ 은 진리와 진리라는 권위가 고정되어 있으며, 결코 변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기득권들의 허구적 현실을 ‘재구성, 재창조, 재설계’하는 언어입니다. 현실의 관행적인 ‘믿음들’을 부수고 ‘나는 이렇게 믿소!’하고 어깃장을 놓으며 연약하기만 한 새로운 가능성에 철갑옷을 입히는 행위입니다. 루터가 말한 프로테스탄트의 핵심이 저항과 질문, 소통의 문제라는 점도 믿음의 이러한 특징들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지 않겠습니까? 눈에 보이지 않고 계속해서 손에 잡히지 않는 하나님이라는 완전한 타자를 내 앞에 붙잡아 앞에 갖다 놓고 여기 저기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도록 형상화(形象化)하여 심지어 동전이 떨어지는 소리에 구원의 결정 여부를 갖다 붙이는 행위, 마녀라는 이름으로 눈이 감각할 수 있는 확실한 ‘적’을 생산하여 공포를 조장하는 알량한 정치전술을 펼치는 행위를 절단(切斷)하고 파쇄시키는 행위이지 않겠나 말입니다.


앞에서 ‘안다’는 것과 ‘믿다’는 것의 차이에서도 보았듯이 믿는다는 행위는 미완의 상태로 있는 것들에 경계를 주어 완전성을 부여하는 것이며, 이러저러한 가능성과 불온한 유언비어로만 치부되는 이야기에 숨을 불어넣고 그것을 이 땅에 뿌리내리게 하는 동적 행입니다. 적어도 ‘믿음’은 어떤 대상을 부여잡고 주워섬기며 숭배하고 그것에 종속되어 타자화하는 데에 그쳐서는 될 일이 아닙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란 ‘사건’ 속에서 밀고 당기고, 들고 나는 호흡하는 동적인 유기체적 세계입니다. 단단하고 변하지 않는 정적인 완전성을 붙드는 것은 어리석습니다. 세계가 부단히 움직이며 상호작용하는 존재임을 깨달아야 옳습니다. 움직임을 멈추면 죽습니다. 가라앉아요. 예수가 베드로에게 말한 그 믿음도 예수를 향해 계속해서 부력을 의지하여 걸음을 옮기는 ‘믿음-행위’ 때에만 성립합니다. 예수를 봤다는 이유로, 바람이 분다는 등등의 이유로 멈추면 물속으로 빠집니다. 다시 이야기하지만 움직임입니다. 하나님이 세계를 창조하고 움직인다는 ‘섭리’란 어떤 고정된 스케쥴이 아니라, 시간 속에서 사건의 결을 따라 동적 균형을 이룬 완전성을 의미하고, 우리는 그것을 하나님의 섭리로서 신뢰해야 합니다.

 

고로 믿음이란 ‘믿습니다’라는 행위로서만 존재할 뿐이며, 믿습니다’들’의 연속적 집합으로 이루어집니다. 고로 믿음은 행위와 둘이 아닙니다. ‘믿습니다’로서 하나입니다. 행위가 아닌 믿음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둥, 믿으면 행동이 자연스레 따라온다는 둥, 행위와 믿음을 언어 자체에서 구분하고 보는 자가 신앙의 적(敵)입니다. 어떤 대상을 고착시켜 받드는 일로서의 신앙은 이제 그만할 때가 되었습니다. 정초하고 깊이 머무르되 또다시 박차고 일어나 의심하고 끊임없이 다시 고백하는 ‘믿습니다’의 여정, 그 속에 우리의 숨과 삶이 있다고 나는 믿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경본문 설교자 날짜 조회 수sort
17292 요한복음 진짜 믿음과 가짜 믿음 요3:9-15  이한규 목사  2010-08-07 3591
17291 로마서 하나님의 선택과 유기 롬9:9-13  민병석 목사  2013-06-17 3590
17290 요한계시 종말론적 삶의 태도 계14:6-13  이동원 목사  2010-05-25 3589
17289 하박국 아름다운 감사(추수감사주일) 합 3:17-18  김동현 목사  2011-11-19 3588
17288 요한계시 문익환과 윤동주, 그리고 찬송가 582장에 스며있는 이야기들 계21:1  한인섭 형제  2010-07-05 3588
17287 사도행전 인생 밑바닥에서 통과해야할 세 가지 훈련 행25:1-12  김필곤 목사  2006-09-13 3588
17286 다니엘 하나님의 사람 다니엘 단6장  이동원 목사  2010-05-26 3587
17285 잠언 내일 일을 자랑치 말라 잠27:1  민병석 목사  2010-05-14 3584
17284 사무엘하 사울의 집과 다윗의 집 삼하3:1  강문호 목사  2013-05-31 3581
17283 사무엘상 길을 보여주면 가야 합니다. 삼상30:7-20  김필곤 목사  2012-05-26 3579
17282 디모데전 교회 직분자의 자질 딤전3:1-16  한태완 목사  2013-05-26 3577
17281 로마서 전도의 중요성 롬10:13-15  한태완 목사  2007-11-09 3574
17280 민수기 영원한 기업 민36:1-13  이정원 목사  2012-11-05 3573
17279 출애굽기 제8계명-도둑질하지 말라 출20:1-17  이정수 목사  2012-01-17 3571
17278 출애굽기 보혈의 능력 출12:1-14  김필곤 목사  2011-04-13 3571
17277 사도행전 빌립 집사 행8:5-8  박영선 목사  2009-06-22 3569
17276 출애굽기 성막문 출27:13-19  서진규 목사  2012-11-29 3568
17275 시편 하나님이 기뻐 받으시는 감사 시10:1-5  이정수 목사  2010-08-08 3568
17274 누가복음 PLAN-DO-SEE 비유 눅14:28-32  이정수 목사  2010-09-08 3567
17273 잠언 다시 일어나는 힘 잠24:16  한태완 목사  2008-02-03 3567
17272 룻기 나오미의 슬픔 룻1:3∼5  박상훈 목사  2010-10-27 3563
17271 학개 나의 무너진 성소(My Temple Lain In Ruins) 학1:1-11  김영봉 목사  2012-03-05 3562
17270 요한복음 <제자분석11> 이름없는 헌신자 -유다 다대오 요14:18-24  전병욱 목사  2007-11-22 3562
17269 누가복음 네 종류의 인간 그리고 씨 뿌리는 비유 눅8:4-15  허태수 목사  2013-07-14 3558
17268 출애굽기 지팡이를 삼킨 지팡이 출7:8-13  이성희 목사  2013-01-22 3558
17267 요한복음 깨닫게 하시는 성령 ..... 요14:25-26  이정원 목사  2010-11-09 3557
17266 요한계시 서머나 교회 계2:8-11  석원태 목사  2009-12-16 3556
17265 시편 하나님을 찾기에 갈급한 영혼 시42:1-11  한태완 목사  2011-04-01 3555
17264 누가복음 하나님을 찬양하는 이유 눅19:28-40  정용섭 목사  2010-08-16 3555
17263 요한복음 예수님은 선한 목자입니다. 요10:11-18  김필곤 목사  2010-05-24 3555
17262 마태복음 성탄의 기쁨 마2:1-12  김필곤 목사  2011-03-15 3554
17261 창세기 꿈을 품게 하시고 이루시는 하나님 창37:5-11  김필곤 목사  2013-03-11 3553
17260 마태복음 내 사랑하는 아들 기뻐하는 자 마3:16-4:11  이동원 목사  2010-01-13 3553
17259 요한복음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요21:15-17  차옥숭 자매  2004-08-27 3553
17258 고린도후 내 은혜가 네게 족하다 고후2:1-10  길희성 형제  2008-05-19 3551

설교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