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일요일 예배의 기원

최주훈 목사............... 조회 수 863 추천 수 0 2019.11.28 10:29:31
.........

<일요일 예배의 기원>


주일 예배가 언제 어떻게 정기모임이 되었는지 알 수 있는 정확한 자료는 없다. 다만 ‘일요일’(해의 날)이라는 용어는 그 기원이 태양신을 숭배하는 고대문화 아니면, 로마의 '밀교'로 불리는 미트라 종교에서 영향 받았을 것이라고 추측할 뿐이다. 그렇다고 해서 교회의 주일 예배가 이방 제의 문화에서 나왔다고 섣불리 판단할 필요는 없다. 이에 대해 학자들은 크게 두 갈래 정도의 견해를 가지고 있는데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첫째 견해:
일요일 정기 예배 모임을 유대교 안식일 전통과 관련시키는 견해다. 초대교회 공동체 구성원 중 상당수는 유대계 그리스도인이었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유대인의 관습인 안식일을 준수하던 습관이 그리스도인들의 정기모임으로 이어졌다. 정확히 하자면, 이들은 안식일이 시작하기 전 ? 해가 지기 전- 회당에 모여 예배를 했고, 이것이 곧 주일예배의 기원이 되었다는 학설이다. (사도행전을 읽어보면 쉽게 알아채겠지만 바울의 여행에서 회당은 언제나 선교의 전초기지 역할을 했다.)

유대인들에게 안식일 저녁은 한 주간의 매듭이거나 시작이 된다. 그날 이곳에 모인 사람들은 옹기종기 집에 모여 성찬을 함께 나누었다(행2:46). 안식일 저녁에 모여 떡을 떼는 모임은 자연스레 헬라-그리스도교 공동체에게도 이어졌다. 물론 헬라파 기독교인들은 안식일 법을 준수하지 않았지만 말이다.

행20:7-12에서 언급되는 “그 주간의 첫날”은 바로 이때를 뜻한다. 안식일이 시작하는 첫날 저녁 무렵이 곧 정기모임의 시작으로 본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대목은 이제부터다. 역사적으로 보면, 초대교회의 배경이 되는 2세기 로마의 황제는 트라얀이었다. 그는 유대인들의 폭동을 원천봉쇄하기 위해 안식일 저녁 모임을 금지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 때문에 유대-그리스도인들의 안식일 저녁 모임은 결국 일요일로 연기 될 수밖에 없었고, 그 때문에 떡을 함께 떼며 저녁에 모이던 그 모임의 성격은 단순한 식탁모임에서 예배의식화로 변할 수밖에 없었다.

상당히 설득력이 있지만 안식일 관습과 연결시키는 이 가설의 한 가지 약점이 있다. 예수 부활의 의미가 부각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2. 두번째 견해:
앞에 설명한 가설을 요약하면, 유대인의 안식일 모임 시간을 이용했다가 황제의 집회 금지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안식 후 첫날(일요일) 정기 모임이 되었다는 것인데, 이 가설은 일요일(해의 날)을 정기 예배 모임으로 정하게 되었다는 역사 배경을 골자로 하고 있다. 결정적인 문제는 일요일(해의 날)이 주일(주의 날Dominica, Dimanche)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밝히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런 약점을 넘어서기 위해 두 번째 견해는 복음서 기사(눅24:36-37,요20:19-23,26-29)를 근거로 삼고 있다. 성서에 따르면, 예수는 안식 후 첫날 부활했고, 그날 저녁 제자들의 식탁에 참여한다.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제자들이 함께 나눈 첫 번째 식탁은 곧장 기독교 예배의 상징이자 중심이 되었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매 일요일 저녁 식탁 모임이었던 것이 점차 주일 낮 공동예배로 자리 잡았다는 가설이다. 그 때문에 기독교 초기의 정기모임은 저녁이 아닌 낮 모임이더라도 성찬 중심의 예배가 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 가설의 장점은 일요일 정기모임을 그리스도의 부활 사건과 연결하여 설명한다는 데 있다.

두 가설을 교회 공동체 입장에서 비교해보면, 당연히 두 번째 가설이 훨씬 쉽게 받아들여졌을 게 분명하다. 진위 여부를 떠나서 역사적 설명 방식보다는 신앙적 설명 방식이 더 친숙하기 때문이다.

덧) 무엇이 옳은 견해인지는 일단 주님 만나면 물어보는 것으로 남겨두고, 그 후에 어떤 식으로 주일 예배가 자리 잡았는지 계속 풀어보자

(핵심어: 콘스탄티누스 황제 시기 국가교회, 태양신 숭배 사상과 기독교 예배의 접목 등)....

ⓒ최주훈 목사(중앙루터교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139 꼬리를 무는 사랑 file 한희철 목사 2019-11-29 511
35138 씻긴 돌 file 오연택 목사 2019-11-29 372
35137 성령의 새 바람 file 한별 목사 2019-11-29 884
35136 하나님 뜻 알아차리기 file 김민정 목사 2019-11-29 528
35135 대화와 기도 file 손석일 목사 2019-11-29 405
35134 교회의 우선순위 file 홍융희 목사 2019-11-29 740
35133 예배란 무엇인가? 최주훈 목사 2019-11-29 780
» 일요일 예배의 기원 최주훈 목사 2019-11-28 863
35131 인생을 주관하시는 하나님 새벽기도 2019-11-27 578
35130 거짓에 미혹되지 말라 새벽기도 2019-11-27 366
35129 구원받은 삶의 6가지 증거 새벽기도 2019-11-27 500
35128 희생의 복음 김장환 목사 2019-11-25 851
35127 불완전한 사랑 김장환 목사 2019-11-25 443
35126 가장 큰 피해자 김장환 목사 2019-11-25 409
35125 끝까지 지켜야 할 것 김장환 목사 2019-11-25 620
35124 이미 이루신 주님 김장환 목사 2019-11-25 370
35123 시대에 필요한 가치 김장환 목사 2019-11-25 455
35122 어린아이 같은 마음 김장환 목사 2019-11-25 403
35121 배려가 만드는 감동 김장환 목사 2019-11-25 456
35120 만인사제직과 여성 안수 최주훈 목사 2019-11-22 319
35119 빵이 주는 교훈 최주훈 목사 2019-11-22 592
35118 교회력 기원 최주훈 목사 2019-11-22 376
35117 나이보다 중요한 것 김장환 목사 2019-11-18 715
35116 이해가 만드는 상생 김장환 목사 2019-11-18 411
35115 내일을 향한 기대감 김장환 목사 2019-11-18 617
35114 유령 성도 김장환 목사 2019-11-18 454
35113 실천하는 사랑 김장환 목사 2019-11-18 572
35112 시대의 눈높이에 맞춰라 김장환 목사 2019-11-18 360
35111 정죄하지 말아야 할 이유 김장환 목사 2019-11-18 390
35110 믿음의 연단 김장환 목사 2019-11-18 676
35109 그리운 본향 김장환 목사 2019-11-15 539
35108 솔직한 고백 김장환 목사 2019-11-15 541
35107 사과의 4단계 김장환 목사 2019-11-15 459
35106 진짜 용서 김장환 목사 2019-11-15 718
35105 믿음을 선택하라 김장환 목사 2019-11-15 1252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