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일요일 예배의 기원

최주훈 목사............... 조회 수 863 추천 수 0 2019.11.28 10:29:31
.........

<일요일 예배의 기원>


주일 예배가 언제 어떻게 정기모임이 되었는지 알 수 있는 정확한 자료는 없다. 다만 ‘일요일’(해의 날)이라는 용어는 그 기원이 태양신을 숭배하는 고대문화 아니면, 로마의 '밀교'로 불리는 미트라 종교에서 영향 받았을 것이라고 추측할 뿐이다. 그렇다고 해서 교회의 주일 예배가 이방 제의 문화에서 나왔다고 섣불리 판단할 필요는 없다. 이에 대해 학자들은 크게 두 갈래 정도의 견해를 가지고 있는데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첫째 견해:
일요일 정기 예배 모임을 유대교 안식일 전통과 관련시키는 견해다. 초대교회 공동체 구성원 중 상당수는 유대계 그리스도인이었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유대인의 관습인 안식일을 준수하던 습관이 그리스도인들의 정기모임으로 이어졌다. 정확히 하자면, 이들은 안식일이 시작하기 전 ? 해가 지기 전- 회당에 모여 예배를 했고, 이것이 곧 주일예배의 기원이 되었다는 학설이다. (사도행전을 읽어보면 쉽게 알아채겠지만 바울의 여행에서 회당은 언제나 선교의 전초기지 역할을 했다.)

유대인들에게 안식일 저녁은 한 주간의 매듭이거나 시작이 된다. 그날 이곳에 모인 사람들은 옹기종기 집에 모여 성찬을 함께 나누었다(행2:46). 안식일 저녁에 모여 떡을 떼는 모임은 자연스레 헬라-그리스도교 공동체에게도 이어졌다. 물론 헬라파 기독교인들은 안식일 법을 준수하지 않았지만 말이다.

행20:7-12에서 언급되는 “그 주간의 첫날”은 바로 이때를 뜻한다. 안식일이 시작하는 첫날 저녁 무렵이 곧 정기모임의 시작으로 본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대목은 이제부터다. 역사적으로 보면, 초대교회의 배경이 되는 2세기 로마의 황제는 트라얀이었다. 그는 유대인들의 폭동을 원천봉쇄하기 위해 안식일 저녁 모임을 금지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 때문에 유대-그리스도인들의 안식일 저녁 모임은 결국 일요일로 연기 될 수밖에 없었고, 그 때문에 떡을 함께 떼며 저녁에 모이던 그 모임의 성격은 단순한 식탁모임에서 예배의식화로 변할 수밖에 없었다.

상당히 설득력이 있지만 안식일 관습과 연결시키는 이 가설의 한 가지 약점이 있다. 예수 부활의 의미가 부각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2. 두번째 견해:
앞에 설명한 가설을 요약하면, 유대인의 안식일 모임 시간을 이용했다가 황제의 집회 금지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안식 후 첫날(일요일) 정기 모임이 되었다는 것인데, 이 가설은 일요일(해의 날)을 정기 예배 모임으로 정하게 되었다는 역사 배경을 골자로 하고 있다. 결정적인 문제는 일요일(해의 날)이 주일(주의 날Dominica, Dimanche)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밝히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런 약점을 넘어서기 위해 두 번째 견해는 복음서 기사(눅24:36-37,요20:19-23,26-29)를 근거로 삼고 있다. 성서에 따르면, 예수는 안식 후 첫날 부활했고, 그날 저녁 제자들의 식탁에 참여한다.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제자들이 함께 나눈 첫 번째 식탁은 곧장 기독교 예배의 상징이자 중심이 되었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매 일요일 저녁 식탁 모임이었던 것이 점차 주일 낮 공동예배로 자리 잡았다는 가설이다. 그 때문에 기독교 초기의 정기모임은 저녁이 아닌 낮 모임이더라도 성찬 중심의 예배가 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 가설의 장점은 일요일 정기모임을 그리스도의 부활 사건과 연결하여 설명한다는 데 있다.

두 가설을 교회 공동체 입장에서 비교해보면, 당연히 두 번째 가설이 훨씬 쉽게 받아들여졌을 게 분명하다. 진위 여부를 떠나서 역사적 설명 방식보다는 신앙적 설명 방식이 더 친숙하기 때문이다.

덧) 무엇이 옳은 견해인지는 일단 주님 만나면 물어보는 것으로 남겨두고, 그 후에 어떤 식으로 주일 예배가 자리 잡았는지 계속 풀어보자

(핵심어: 콘스탄티누스 황제 시기 국가교회, 태양신 숭배 사상과 기독교 예배의 접목 등)....

ⓒ최주훈 목사(중앙루터교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5241 여보, 죽이 더 맛있어!" 고도원 2009-12-17 3575
35240 우리의 존재의 중심 - 시48편 이동원 목사 2011-06-13 3572
35239 핀 하나를 줍는 마음 김용호 2011-01-30 3571
35238 원자폭탄 같은 성령의 권능 김열방 목사 2010-04-29 3569
35237 기도하십니까? 예수기도 2011-01-15 3568
35236 행복해서 복음 전하기 김열방 목사 2009-12-07 3568
35235 영원히 갈하지 않는 생수 김장환 목사 2009-11-17 3568
35234 달 표면에 먼지가 얼마나 깊이 쌓여있나? 김계환 2012-04-23 3567
35233 부흥의 이미지 - 시85편 이동원 목사 2011-03-08 3567
35232 존경은 베풂에서 이주연 목사 2009-12-11 3567
35231 믿으면 순종한다 김장환 목사 2013-02-04 3566
35230 선한 목자 김장환 목사 2012-11-08 3566
35229 교만한 개구리의 결말 김장환 목사 2011-02-19 3566
35228 믿음으로 이루어낸 기적 file [3] 설동욱 목사(서울 예정교회) 2013-04-28 3565
35227 회개와 신앙 한태완 목사 2010-09-29 3564
35226 사랑에 빠진 인간의 뇌 김장환 목사 2010-06-13 3563
35225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 이주연 목사 2009-12-11 3563
35224 희망의 노래 예수은혜 2010-06-17 3562
35223 악인과 의인의 초상화 - 시52편 이동원 목사 2011-06-13 3560
35222 마취과 의사와의 만남 전병욱 목사 2010-05-17 3560
35221 성경적인 악인 -시10편 이동원 목사 2011-08-20 3559
35220 삶이 되려면 이주연 목사 2010-01-08 3559
35219 하나님의 처방, 할례의 비밀! [6] 황성주 박사 2011-04-23 3557
35218 복음과 율법 고훈 목사 2011-02-09 3557
35217 남방 시내들 같이 - 시126편 이동원 목사 2011-01-19 3557
35216 종말의 징조 이주연 2009-10-23 3557
35215 잃어버린 정체성 file 설동욱 목사(서울 예정교회) 2013-09-25 3556
35214 웃자 file 설동욱 목사 (서울 예정교회) 2013-12-27 3555
35213 500교회 개척운동의 동기 강문호 목사(갈보리선교교회) 2013-02-26 3554
35212 빈 무덤 김용호 2012-11-27 3554
35211 사명은 열정을 불러 온다 최현호 목사 2011-11-27 3554
35210 하나님을 경외하는 가정 이준성 목사 (역촌성결교회) 2013-09-16 3552
35209 사랑의 실천 류중현 2010-05-05 3552
35208 더 높은 차원 김장환 목사 2013-01-24 3551
35207 믿음의 방패 예수인도 2010-12-04 3551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