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일요일 예배의 기원

최주훈 목사............... 조회 수 863 추천 수 0 2019.11.28 10:29:31
.........

<일요일 예배의 기원>


주일 예배가 언제 어떻게 정기모임이 되었는지 알 수 있는 정확한 자료는 없다. 다만 ‘일요일’(해의 날)이라는 용어는 그 기원이 태양신을 숭배하는 고대문화 아니면, 로마의 '밀교'로 불리는 미트라 종교에서 영향 받았을 것이라고 추측할 뿐이다. 그렇다고 해서 교회의 주일 예배가 이방 제의 문화에서 나왔다고 섣불리 판단할 필요는 없다. 이에 대해 학자들은 크게 두 갈래 정도의 견해를 가지고 있는데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첫째 견해:
일요일 정기 예배 모임을 유대교 안식일 전통과 관련시키는 견해다. 초대교회 공동체 구성원 중 상당수는 유대계 그리스도인이었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유대인의 관습인 안식일을 준수하던 습관이 그리스도인들의 정기모임으로 이어졌다. 정확히 하자면, 이들은 안식일이 시작하기 전 ? 해가 지기 전- 회당에 모여 예배를 했고, 이것이 곧 주일예배의 기원이 되었다는 학설이다. (사도행전을 읽어보면 쉽게 알아채겠지만 바울의 여행에서 회당은 언제나 선교의 전초기지 역할을 했다.)

유대인들에게 안식일 저녁은 한 주간의 매듭이거나 시작이 된다. 그날 이곳에 모인 사람들은 옹기종기 집에 모여 성찬을 함께 나누었다(행2:46). 안식일 저녁에 모여 떡을 떼는 모임은 자연스레 헬라-그리스도교 공동체에게도 이어졌다. 물론 헬라파 기독교인들은 안식일 법을 준수하지 않았지만 말이다.

행20:7-12에서 언급되는 “그 주간의 첫날”은 바로 이때를 뜻한다. 안식일이 시작하는 첫날 저녁 무렵이 곧 정기모임의 시작으로 본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대목은 이제부터다. 역사적으로 보면, 초대교회의 배경이 되는 2세기 로마의 황제는 트라얀이었다. 그는 유대인들의 폭동을 원천봉쇄하기 위해 안식일 저녁 모임을 금지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 때문에 유대-그리스도인들의 안식일 저녁 모임은 결국 일요일로 연기 될 수밖에 없었고, 그 때문에 떡을 함께 떼며 저녁에 모이던 그 모임의 성격은 단순한 식탁모임에서 예배의식화로 변할 수밖에 없었다.

상당히 설득력이 있지만 안식일 관습과 연결시키는 이 가설의 한 가지 약점이 있다. 예수 부활의 의미가 부각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2. 두번째 견해:
앞에 설명한 가설을 요약하면, 유대인의 안식일 모임 시간을 이용했다가 황제의 집회 금지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안식 후 첫날(일요일) 정기 모임이 되었다는 것인데, 이 가설은 일요일(해의 날)을 정기 예배 모임으로 정하게 되었다는 역사 배경을 골자로 하고 있다. 결정적인 문제는 일요일(해의 날)이 주일(주의 날Dominica, Dimanche)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밝히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런 약점을 넘어서기 위해 두 번째 견해는 복음서 기사(눅24:36-37,요20:19-23,26-29)를 근거로 삼고 있다. 성서에 따르면, 예수는 안식 후 첫날 부활했고, 그날 저녁 제자들의 식탁에 참여한다.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제자들이 함께 나눈 첫 번째 식탁은 곧장 기독교 예배의 상징이자 중심이 되었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매 일요일 저녁 식탁 모임이었던 것이 점차 주일 낮 공동예배로 자리 잡았다는 가설이다. 그 때문에 기독교 초기의 정기모임은 저녁이 아닌 낮 모임이더라도 성찬 중심의 예배가 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 가설의 장점은 일요일 정기모임을 그리스도의 부활 사건과 연결하여 설명한다는 데 있다.

두 가설을 교회 공동체 입장에서 비교해보면, 당연히 두 번째 가설이 훨씬 쉽게 받아들여졌을 게 분명하다. 진위 여부를 떠나서 역사적 설명 방식보다는 신앙적 설명 방식이 더 친숙하기 때문이다.

덧) 무엇이 옳은 견해인지는 일단 주님 만나면 물어보는 것으로 남겨두고, 그 후에 어떤 식으로 주일 예배가 자리 잡았는지 계속 풀어보자

(핵심어: 콘스탄티누스 황제 시기 국가교회, 태양신 숭배 사상과 기독교 예배의 접목 등)....

ⓒ최주훈 목사(중앙루터교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35241 삶은 ‘나누라’고 주어진 ‘선물’ 물맷돌 2019-12-30 249
35240 사람의 마음을 고통스럽게 하는 것은 두 가지 물맷돌 2019-12-28 490
35239 방황해도 괜찮아, 그게 삶이야! 물맷돌 2019-12-28 299
35238 자기 자신과 소통하려면? 물맷돌 2019-12-27 242
35237 무엇이 보이느냐? 물맷돌 2019-12-27 338
35236 언제든 잘 수 있는 사람 김장환 목사 2019-12-26 410
35235 헛된 것을 쫓는 삶 김장환 목사 2019-12-26 671
35234 비어있는 십자가 김장환 목사 2019-12-26 654
35233 인생에서 터널을 지날 때 김장환 목사 2019-12-26 562
35232 사랑이 없는 행함 김장환 목사 2019-12-26 446
35231 영원을 위한 이별 김장환 목사 2019-12-26 373
35230 예수님의 마음으로 섬기기 김장환 목사 2019-12-26 363
35229 조절할 수 있는 분노 김장환 목사 2019-12-26 315
35228 걸어가는 사람 물맷돌 2019-12-26 256
35227 새해 맞이할 준비 [2] 물맷돌 2019-12-26 1128
35226 모든 인류에게 가장 중요한 날 물맷돌 2019-12-25 346
35225 성탄절 선물 물맷돌 2019-12-25 776
35224 손을 펼칠 때 오는 열매 file 김민정 목사 2019-12-24 366
35223 과실나무 심은 마당 file 손석일 목사 2019-12-24 243
35222 파브와 사브 file 홍융희 목사 2019-12-24 295
35221 자격 없음 file 한희철 목사 2019-12-24 282
35220 새로운 시각 file 오연택 목사 2019-12-24 291
35219 축복하면 달라지는 것 file 한별 목사 2019-12-24 380
35218 나와 다른 너 file 김민정 목사 2019-12-24 205
35217 단풍이 물들어 가듯이 file 손석일 목사 2019-12-24 165
35216 어떻게, 남편이라는 사람이… 물맷돌 2019-12-24 211
35215 성탄절에 맛보는 ‘평화와 기쁨’ [1] 물맷돌 2019-12-24 916
35214 인내의 열매 김장환 목사 2019-12-23 662
35213 십자가의 무게 김장환 목사 2019-12-23 826
35212 순수하고 믿을만한 김장환 목사 2019-12-23 282
35211 가장 좋은 영성 김장환 목사 2019-12-23 366
35210 슬픔이 없는 이유 김장환 목사 2019-12-23 227
35209 장수의 섭리 김장환 목사 2019-12-23 180
35208 인생의 낙하산 김장환 목사 2019-12-23 208
35207 인내를 키우는 고난 김장환 목사 2019-12-23 674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