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인생 트로트...

경포호수가에서 피러한............... 조회 수 137 추천 수 0 2020.02.12 14:56:00
.........
출처 : http://cafe.daum.net/peterhan 

99260301.jpg

인생 트로트


애초 ‘미스 트로트’가 나올 때
트로트 특성상
중장년이나 노년층 외에
다른 세대에게 어필할 수 있을까하는
의문이 들었지만,

회를 거듭할수록
프로그램은 ‘중년들의 프로듀스’라고
불릴 정도로
엄청난 열풍을 일으켰다.


예선 참가자가 무려
15,000명이나 몰려 150:1의 경쟁률 속에
유소년부, 대학부까지 확대되고,
직업과 접목시킨 퍼포먼스,
춤과 랩을 활용하면서
이전보다 더
다양한 볼거리가 넘쳐났다.

심사위원들은
‘영혼을 빼놓는 노래’,
‘미친 사람들만 모여 놓은 것 같다’ 등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99260302.jpg
‘미스 트롯’이 종영되고
8개월 만에 재개하는 ‘미스터 트롯’은
여러모로 유리한 조건에서
출발했다하지만,

첫 방송 후
두 자릿수 시청률은
예능프로그램이 기록한 가장 높은
수치였기에
담당PD조차 놀라워하는 것은
당연했으리라.


‘미스 트롯’에서
우리가 송가인을 찾았다면,
‘미스터 트롯’에서는 남자 송가인을
찾아가기에,

이 프로는 이미 방송계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느 지인이 내게 그랬다.
“도대체 무슨 이유로
‘미스터 트롯’이 전 국민적으로 이런
인기를 얻고 있단 말인가?”

난 그 말을 듣는 순간
‘미스터 트롯’에 관한 글을 쓰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99260303.jpg
과거 트로트는 늘 B급 음악으로
취급했던 것은
나름대로 몇 가지 근거가 있었다.

먼저 음악 구성이 정형화된
네 박자 리듬의 일본 엔카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부정적 요소가 되었다.

더불어 일본 식민지 기간
탄생했기에
아예 없어져야할 시각까지 있었다.


이런 논란과 별도로
당시 어려웠던 시절에 트로트는
음악적 부분에서도 천편일률적이었다.

트로트는 뽕짝 리듬이라는 인식 속에
행사용 음악으로
일종의 싼 티 나는 하위 장르로 인식되어
푸대접받아 온 것은 사실이었다.


물론 트로트에 대한 다른 견해도 있다.
트로트는 한국적인 박자나
가락을 민요 등에서 도입하려는
시도가 꾸준했다는 점이다.

무엇보다도 트로트는
부르기 쉬운
친숙한 음악이라는 이미지 속에서
신세대 트로트 가수가 등장하면서,

더 이상 유치한 뽕짝이 아니라
가창력이 받쳐주지 않으면 통할 수 없는
명실상부한 진검승부의 한 판이
되 버렸다.

99260304.jpg
유행은 돌고 돈다고
이런 저런 이유로 지금 대한민국은
때 아닌 트로트 열풍에 빠졌다.

이전에
중장년층 전유물이었다면
‘미스 트롯’이 터닝 포인트가 되면서
이제 당당하게 전 세대를
어우르는 노래가 되면서 시선이 바뀌었다.


과연 ‘뽕짝’의 매력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면
트로트 가사에 가장 먼저 마음이 간다.

‘...우리 모두는 늙어가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익어가는 것이다...‘

‘하아~ 힘든 세상
어디 하나 기댈 데도 없는 이 세상
너뿐이다...’

‘너도 한번 나도 한번
누구나 한 번 왔다가는 인생
바람 같은 시간이야...’


가사마다 인생을 논하고 있다.
짧은 생을 살면서
왜 그리도 후회와 미련이 많은지
들을수록 고개가 끄덕여진다.

아무리 각 잡아 봐도
갈대처럼 휘고
잡초처럼 밟히는 인생이기에
차라리 소풍가듯 가자는 식의 가사들이다.

99260305.jpg
돌이켜 보면 우리 삶 속 어딘가에
트로트가 있다고 말하는 것은
트로트 역사 속에는
우리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해방의 기쁨과 이산의 아픔을
겪으면서 각 세대마다
참담한 정서를
트로트는 호흡하듯 뱉어내고 있었다.

가사를 곱씹으면 씹을수록
시대가 보이고
개인의 고통들이 새 희망을 트로트는
녹여내고 있었다.


슬플 때 들으면
구슬픈 가락으로 와 닿고,
기쁠 때 들으면
내 몸을 맡길 정도의 신나는 선율도
트로트 몫이었다.

이런 저런 이유로
중장년층에게 사랑받고 있었지만,

이제 젊은이들까지 가세하면서
가벼운 노래가 아닌
인생이 물씬 녹아 묻어나는
트로트가 되었기에
지금 지금의 인기는 당연할지 모르겠다.

99260306.jpg
이런 인생기상도는
한 걸음 더 나아가 현실을 반영한
감성을 터치하기에
모든 세대를 아우르고 있다고 본다.

‘산다는 게 다 그런 거지...
인생은 지금이야
아모르파티...
가슴이 뛰는 대로 하면 돼...’

가수 김연자가
부산대학교에서 이 노래를 불렀을 때,
기자들은 ‘아모르파티’를
‘트로트계의 혁명’이라고 명명했다.

젊은이들이 좋아할 EDM와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가사에는
인생의 깊은 뜻이 담겨져
남녀노소를 아우를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조합의 트로트로 평가했던 것이다.


이애란의 ‘백세인생’은
더 쉽게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시켰다.

60세부터 시작하는 노래가사로
나이 많은 분들이나
좋아할 노래라 생각했는데
오히려 ‘백세인생’은 젊은이들에게 ‘짤’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익살맞은 가사와
전통 민요 같은 음악이 어우러져
나이와 상관없이
전세대의 오성을 만지면서
자리를 잡아간다.

99260307.jpg
트로트는 이렇듯
가사와 감성에서 많은 점수를 따면서
어느 덧 ‘새로운 복고’를 의미하는
‘뉴트로(New+Retro)’열풍
한 중앙에 서 있다.

언젠가 본 듯한
어릴 적 추억을 찾아내고,
그리움이 묻어 있던
시절을 찾는
‘뉴트로’와 트로트 열풍이 서로 관련이 있을 줄
누가 알았겠는가.


‘뉴트로’ 열풍의 성지로 뜬
동묘시장, 망리단길, 망원시장엔
젊은이들로 넘쳐나고 있다.

그 곳에서
촌스럽고 오래된 물건들이
옛 향수를 그리워하는
4050대 뿐만 아니라,

그 시절 본 적도 없는 젊은 세대들이
오래된 구닥다리 물건들을
새롭게 재현한
‘뉴트로 트렌드’ 감수성에 빠져있다.

'레트로'가
과거 향수에 대한 중장년층을
자극했다면,
‘뉴트로’는 한 번도 접한 적 없는
과거의 것에 대한 젊은이의
끌림이라 할 수 있다.

99260308.jpg
과거 위대한 유산을
소유하고 싶은 소비자의 이런 심리를 알고
판매자들은
옛날 물건들을 럭셔리하고
더 클래식하게 리폼하여 팔고 있다.

어찌된 일인지
추억까지 디자인하여
복각한 물건들이 늘어나고 있는 세상이 되었다.


고급스럽지 않은 싸구려
물건에서 아날로그 감성을 자극하기에,
고리타분한 것들이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셈이다.

오래됨을 강조해서
더 인기를 얻는 있는 책,
철물점, 게임 등
영역을 구분하지 않고 증가되는 추세다.

과거 놀아봤다는 어르신들의
장소가 다시 부활되고
인기를 얻으면서 놀이동산에서도
‘뉴트로’ 컨셉을 갖고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소확행’이후에
차라리 조금 부족하지만
아니 조금 불편하지만

오히려 한가하고 넉넉한
삶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이
늘어나면서
트로트까지 전염되어 온 것 같다.

99260309.jpg
아날로그를 경험해 보지 못했던
젊은이들에겐
갈수록 더 가속도가 붙고 있는
디지털에
염증을 느끼면서,

‘뉴트로’는
스토리텔링이 더해지면서
가보지 않는 미래에 대한 설렘은
트로트가 분명 간접경험이 될 수도 있다.


물론 불경기일수록
심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과거에서
안식을 얻으려는 행위는
희귀본능이라 할 수 있겠지만,

때가 때인지라
미로에서
나만의 감성이라 여겨지는 삶의 여유를
찾으려는 자연스런
색다른 발로로 여겨진다.


나는 지금 무엇을
인생 트로트로 여기고 있는가.

적어도
내가 쉼을 얻고
나를 돌아볼 수 있고
내일을 준비하게 하는 인생트로트를
갖고 싶다.

2020년 2월 12일 강릉에서 피러한(한억만)드립니다.

99260310.jpg
사진허락작가:하누리님,  이요셉님

^경포호수^http://cafe.daum.net/peterha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50 인기감동기타 [회개5] 맘껏 섬겨 드리지 못한 점을 file [1] 손제산 목사 2020-05-08 73
3349 인기감동기타 [회개4] 이게 목회냐고 file [1] 손제산 2020-05-07 96
3348 인기감동기타 [회개3] 돈을 떼 먹었습니다 file [1] 손제산 목사 2020-05-06 81
3347 수도관상피정 쉼표의 레슨 file [1] 강승찬 목사 2020-05-05 152
3346 인기감동기타 [회개2] 농땡이만 부렸음을 file [1] 손제산 목사 2020-05-04 82
3345 인기감동기타 [회개1] 하나님께 올린 헌금을 file [1] 손제산 목사 2020-05-03 126
3344 생명환경자연 지구 살리려면 원주민의 지혜 배워라 file 김민수 기자 2020-04-26 83
3343 경포호수가에서 나와 S의 관계 file 피러한 2020-04-25 108
3342 순전한신앙이야기 성경에서 이웃사랑은 인본주의가 아니다! 황부일 2020-04-19 194
3341 인기감동기타 [이해인 수녀의 詩편지28] 무지개 빛깔의 새해 엽서 file 이해인 수녀 2020-04-13 119
3340 사회역사경제 코로나 방콕하면서 묵상한 글 임헌수 목사 2020-04-07 217
3339 경포호수가에서 코로나19와 헤밍웨이 file [1] 피러한 2020-04-02 192
3338 생명환경자연 인류가 처한 위기를 보여주는 사진 모음 file LAvey 2020-03-30 118
3337 순전한신앙이야기 우리가 찾는 예배인가! 하나님이 찾으시는 예배인가! [1] 황부일 2020-03-26 209
3336 더깊은신앙으로 열두 제자명단, 어느 것이 진짜인가? file 박경은 목사 2020-03-22 176
3335 경포호수가에서 공감능력 부족의 결과~~ file 피러한 2020-03-20 115
3334 순전한신앙이야기 교회들에서 사라져 가는 하나님제일 주권중심의 신앙 황부일 2020-03-19 128
3333 한국교회허와실 예배에 대해 억울해 하는 교회와 성도들에 대해서... 김준길 목사 2020-03-18 149
3332 수필칼럼사설 예배당 내 자리 조성돈 교수 2020-03-13 201
3331 한국교회허와실 신천지에 대해 바로 알자 퍼온글 2020-03-06 184
3330 경포호수가에서 코로나보다 무서운 뉴스~~ file [1] 피러한 2020-03-03 204
3329 순전한신앙이야기 교회는 지금 무엇을 두려워 하고 있는가! 황부일 2020-02-22 205
3328 인기감동기타 코로나19 위험이 증가되는 상황에서 크리스천의 자세 file 이국진 목사 2020-02-22 222
3327 순전한신앙이야기 진정한 산 교육 황부일 2020-02-14 123
» 경포호수가에서 인생 트로트... file 피러한 2020-02-12 137
3325 수필칼럼사설 영화 기생충을 보며,빈부격차 주제에 관련된 이념의 문제,욕망의 문제를 [1] 박관수 목사 2020-02-12 277
3324 한국교회허와실 2020 2040 한국교회 미래지도2 file [1] 최윤식 박사 2020-02-05 211
3323 수필칼럼사설 설교만 아니면 할 만하다 [1] 최주훈 목사 2020-02-05 147
3322 순전한신앙이야기 재앙과 우리 신앙 황부일 2020-02-02 214
3321 목회독서교육 이제는 루터를 보내야 한다 최종원 교수 2020-02-01 107
3320 경포호수가에서 패턴의 중요성... file 피러한 2020-01-25 112
3319 순전한신앙이야기 인간들의 싸움 그 처절한 요인 황부일 2020-01-19 94
3318 목회독서교육 입당예배 최주훈 목사 2020-01-18 174
3317 순전한신앙이야기 《교회에 있어 신년(新年)의 진정한 의미》 황부일 2020-01-15 112
3316 순전한신앙이야기 내 삶의 모든 중심에서 그리스도가 과연 0 순위인가! 황부일 2020-01-06 227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